논문 잘 쓰고 생활을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국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 서로간의 예의를 잘 지키는 학생이 좋음.
대댓글 1개
2023.07.24
이거 상당히 중요합니다. 저도 현직이고 임용당시 지도교수한테 똑같이 어떤 학생뽑으면 좋을지 물어본경험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똘망똘망하고 성실한 학생 5명뽑는것보다 더 중요한게, 연구실 분위기 망치는 미꾸라지 한명을 걸러내는겁니다. 그래서 인간성을 무조건 잘 봐야되는데, 이걸 단기간에 보는건 경험이 필요할것이라고 하셨던게 기억나네요. 물론 교수님은 spk시기 때문에, 학생들은 다들 똘망똘망하고 연구잘할테니 좀더 인간성을 보는게 중요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있는학교정도만 되도..(대충 국내 10~15위권) 솔직히 제 학위받던 연구실 수준이나 포닥갔던 곳 학생들 수준 기대치와는 차이가 상당히 커요. 지금 생각해보면 열심히 하는 학생은 그래도 "애효.. 그래 열심히했으니까, 건강챙기면서 하고 내가 어떻게든 마무리할게" 라고 처음에는 생각하지만, 고년차가 되도 성장하지 못하는 학생들 보면 막막하기도 합니다.
2023.07.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외모는 진짜 웬 개소리인지. 1. 빠릿빠릿하게 잘 알아듣고 커뮤니케이션 잘 되는 학생. 2. 연구 잘 하고 싶다는 욕심이 있는 학생. 욕심이 있어야 에너지가 생기고 적극적인 태도를 지님. 3. 꾸준하게 성실한 학생. 끓어올랐다 금방 식는 학생은 퍼포먼스 안 나옴. 4. 연구실 구성원들과 큰 트러블없이 잘 어울리는 학생.
2023.07.24
ㅇㅇ 외모는 깔끔하고 잘씻고 옷잘갈아입으면 문제 없음
열정적인 앨런 튜링*
2023.07.24
논문 잘 나오는 학생... 이왕이면 단순히 논문 많이 쓰는 학생보다 정말 창의적인 논문이 나올 수 있는 학생이면 더 좋고... (한국에선 지나친 욕심일수도)
2023.07.24
2023.07.24
2023.07.24
2023.07.24
2023.07.24
2023.07.24
2023.07.24
대댓글 1개
2023.07.24
2023.07.24
2023.07.24
2023.07.24
2023.07.24
대댓글 1개
202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