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학부, 대학원 학벌낮아서 어떻게든 실적 자기위로 하고싶어서 저널 등급나누기 급급한 당신을 보는것입니다.
부모님께 통화나한번더하세요ㅋㅋㅋㅋ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7개
2023.07.31
넷컴,싸어>Am입니다. 단순히 if만 보면 Am이 높지만 논문 선정률은 넷컴 싸어가 훨씬 낮고 학계에서도 넷컴 싸어는 빅페이퍼 자매지로 여깁니다.
보통 넷컴 싸어 떨어지면 AM으로 가지 그 반대의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대댓글 5개
무기력한 플라톤작성자*
2023.07.31
부모님통화ㄱㄱ
2023.07.31
넷컴 올려치기 작작좀..넷머나 넷나노 떨어지면 am으로 많이 빼기도 함
2023.07.31
하다하다 넷컴 싸어 am끼리 급나누네ㅋㅋㅋ나도 바이오라 am쓸 일은 없다만 다른 분야 사람들이 유독 재료 분야 내려치기 진짜 심한듯
순수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07.31
저는 동의합니다. (저희 교수님도 같은 생각) 쉬운 통계로, accept 난이도는, 넷컴/싸어가 AM보다 훨씬 높음.
순수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07.31
우리 연구실 순서, Nature/Science -> Nature 탑 자매지 -> PRL -> Nat. Commun./Sci.Adv. -> PNAS -> AM/Mater. Today -> AFM/Adv. Sci./ACS Nano/Nano Lett. 이정도 좋은 저널로 처줌..
2023.07.31
IF만 생각하는 학부생인가 싶어 들어왓는데 광역도발하는 어그로 종자네 뭐라도 된거마냥 나대는 모습에서.. 도덕성 우월성을 느끼는 캣맘이 겹쳐보인다
대댓글 3개
2023.07.31
ㅋㅋㅋㅋㅋ 원글작성자 저기서 언급한 저널 1저자 0개인건 잘 알겠음.
2023.07.31
미안한데 AM하고 SA씀
2023.08.01
아 글쓴이한테 남긴거구나
2023.07.31
글쓴이님 그 글에 새로 댓글 달렸던데 AS는 한참 아래라는뎁쇼. 나도 재료쪽은 아니지만 박사학위 받은 사람이고 그동안 지인 등이 AS낸거랑 넷컴, 싸어 낸거랑 비교해보든 명성도 비교든 상대도 안되는데 왜 우기시는지 모르겠음ㅋㅋ 그 글 내가 쓴것도 아니고 나는 내 생각포함해서 의견도 얘기못함? 넷컴이 AS랑 비교불가니까 그렇게 댓글달은거지. 팩트에 가까운 자기의견 얘기하면 죽일놈처럼 댓글다는 님이 웃긴거지ㅋㅋ
참네 넷컴 많이 올라갔네 ㅋㅋㅋ 내 지도교수 쳐다도 안보던 저널이었는데 넷컴은 무슨 역사도 없는 돈내면 내는 그런 저널 인식이었는데 나노레터 prl 내도 넷컴? 고려도 안했고, 재료쪽 아니지만 AM이 그래도 넷컴보다는 위지 무슨.. NMAT 떨어지면 AM 아닌가요?
우아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3.07.31
급나누기좀 그만해라. 당신같은 연구원들 있어서 한국이 이모양...
2023.07.31
머트리얼 분야는 아니지만, 신소재기반 어플리케이션르로 넷컴, am모두 내본경험 있습니다. 애초에 넷컴 어사 사어 pnas는 많은분야에서 낼수있기에 분야에따라서 저널을 바라보는 시선이 많이 다른건 다들 아실겁니다. 따라서 이런 비교자체가 의미가 없는거죠. 저희분야는 ncs 탑저널 한개 제외하면 넷컴/사어에 내거나 분야탑저널(if9-10)에 내는걸 고민해야되는 거고요. 한예로 am 넷컴과 prl을 비교해도 prl을 가장 좋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임용시에는 if높은 am이 큰도움이 되며, 분야마다 한정해서 보면 넷컴을 더 좋게 평가하는 곳들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도 대가랩에서 포닥2년더 했고 학계에 있지만 대가pi포함 지금까지 만난 어떤사람도 냇컴을 일반저널이라고 평가절하 하지않고 좋은저널 카테고리에 들어갑니다. 여기에 한두편 지도교수 이름빨로 내놓고, "나도 한편 써봣는데~ "라면서 평가할만한 저널은 아니라는거죠.. ㅎㅎ 참 다들 귀엽네요..
대댓글 1개
2023.07.31
그리고 저널은 에디터 데스크리젝과 에디터/리뷰어 운이 상당히 중요한건 다 알겁니다. 좋은저널에 내는게 꼭 가장 어렵다고 할순 없다는거죠. 저도 예전 am에 낼때 데스크리젝 당하고 as로 트랜스퍼될때, 대가pi가 해당논문 괜찮은데 ncs 분야 탑저널에 쓰자고 하셔서 상황이 이해가안됐는데, 에디터와 친분이 있으셔서 오히려 수월하게 게재됐습니다.
2023.07.31
Northwestern 재료과 Top group(Rogers)에서 포닥 중인 지나가는 인데요.
저희 교수님은
Science Advances, Nature Comm, PNAS를 high impact journal로 봅니다.
AM은 그 밑 AFM, Advanced Science는 다 떨어지면 내는데 분야가 재료가 가까우면 AFM 바이오에 가까우면 AS에 내십니다.
로저스든 제난바오든 한다리건너면 다아는데.. 언급해서 좋을게 있을런지 ㅎㅎ 저는 비슷하지만 타분야 대가랩 소속인데, 교집합이 있어서 거기 박사든 포닥 출신들이랑 잘지내는데 조심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로저스랩 출신중 로저스 칭찬하는사람 거의 못봄..
못된 미셸 푸코 *
2023.08.01
재밌네요... 지난번 해당 글에 어떤 분이 로저스 그룹도 AS낸다. 네컴 싸어랑 큰 차이 없다라고 쓴 댓글에 추천 수 어마하게 달린걸로 기억하는데 실제 로저스 그룹에 계시는 분이 그건 아니라고 못박음 ㅋㅋ
성실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3.08.02
이글보고 찾아봤는데 여담인데 해당그룹에 한국인포닥 개많네요 ㄷㄷㄷ
2023.08.01
근데 궁금한게 Nat comm이나 AM이나 취급은 비슷한데 한국에서는 IF 따지니까 무조건 AM이 좋은거 아님? 미국에서도 AM 냈네? 너 탈락 Nat comm이네? 너 합격 이정도는 아니잔음 그
성실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3.08.02
저희는 NS Nat 자매지 ----------------------------------- 탑저널 마지노선 Nat Commun PRL Sci Adv..... 여기까지는 거의 고정이고 (보통 transfer 하는편) 분야에 따라 Optica / Adv Mater / ACS Nano / Adv Sci 중 1~2개 ----------------------------------- 하이임팩트 마지노선 기타 하위저널
2023.07.31
대댓글 5개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7.31
대댓글 3개
2023.07.31
2023.07.31
2023.08.01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7.31
대댓글 1개
2023.07.31
2023.07.31
대댓글 7개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7.31
2023.08.01
2023.08.02
2023.08.01
2023.08.02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