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에 대한 평판?이 왜이리 안좋을까요?

2023.08.11

19

2263

지방대 학생입니다.

대학원 진학에 있어 교수님과 타 회사 대표님등 의견은 꽤나 긍정적이였는데 대부분 취업한 선배님들이나 동기들 입장에서 대학원을 진학한다하니 차라리 취업을 하라고 극구 말리시네요.

선배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3.08.11

평판보단 인식이라는 말이 맞는것같습니다! 죄송합니다

2023.08.11

뭐 미친 보스는 어딜 가나 있지만, 취업은 내가 퇴사해서 도망칠 수 있고 도망쳐도 돈은 주지만 대학원은 자퇴하면 뭐 학위를 0.1박사를 주고 이런것도 아니니...

대댓글 1개

2023.08.18

0.1 박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3.08.11

지나가던 부경인아 학부생인데.. 제 짧은 생각으로 최상위권 대학원 가서 정출연이나 교수임용 될 정도 아니면 대학원이 가성비가 좋진 않아 보여요
학사 학위로 대기업 취업이 되면 좋겠죠.. 근데 그게 어디 쉽나요,, 그래서 대학원 가는 케이스도 몇 보이네요, 저희 학교 기준으로 괴수랩 아닌 이상에 자대 대학원만 가도 대기업 연구소는 가더라구요
저는 벌써 3학년에 활동 거의 없고 학점만 4 근처라서.. skp는 못 갈 성적이고 ist 위주로 컨택중인데 학부 졸업하고 대기업 갈 스펙 됐으면 그냥 취업준비 할 것 같아요.

2023.08.11

대학원에 대한 인식은 어느 나라나 안좋아요. 젊은 시절 수년을 쥐꼬리 같은 월급 받는데 좋을리가 없음.

이글의 질문과는 상관이 없지만 그래도 대학원에 가면 연구라는 큰 메리트가 있고, 미래도 생각보다 괜찮음. 일반 사람들이 잘 몰라서 그런 말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2023.08.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은 가성비따지는 사람은 가면 안됨

2023.08.11

지방대라서 선배들이랑 동기들이 부정적이라고 생각하는거지 spkykssh 이런 학생들은 오히려 더 선호해요

대댓글 1개

2023.08.11

222 괜히 서울대생 대학원 진학률이 높은게 아님
체한 닐스 보어*

2023.08.11

기업에 가보시면 석박통합으로 박사학위까지 할 걸... 말하시는 분들 엄청 많습니다. 은근히 최종학력이 중요합니다..

2023.08.11

어차피 지방대 대학생들의 꿈은 대기업 아님?
대기업 바로 취직할 수 있으면 대학원 갈 필요없이 바로 취직하는게 베스트인데
학사만 마치고 대기업 취업 못하거나 (할 자신 없으니) 대학원 가서 뭐 스펙 더 쌓는거지
(대기업) 취업 > 대학원 후 (대기업) 취업 > 백수

대댓글 2개

2023.08.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렇다기엔 모든나라가 다 상위권 대학 대학원 진학률이 더 높음.

2023.08.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기업 걍 갈수잇는 학부 대학생들이 대학원을 더 많이 진학함.

2023.08.12

취업한 사람들은 자기는 안하고 성공했으니 굳이 할 필요 없다 이런거 아닐까요

2023.08.12

생애소득 관점에선 크게 손해보는건 맞다고 생각해요

2023.08.12

박사 중이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이건 하고 싶어서 하는 것 아니면 할게 못된다고 봄. 모든 직종(교직 성직 다 포함)은 금융 치료 및 중도 하차가 중요한데, 직장의 경우 어쨋든 일에 대한 돈이 지급되고 퇴사를 해도 이때까지 성과를 가지고 경력을 인정 받을 수 있는 반면 대학원은 목적이 학위기 때문에 돈도 없고 도중에 나가면 이때까지 해오던 것들의 의미가 많이 퇴색됨. 고로 효율성 면에서 정말 별로인데 대신 연구직이라는 특수한 직업에 대한 문을 열어주는게 메리트라고 보는 사람에게는 필수적이 되는거라 대중들에게는 인식이 좋을 이유가 없죠.

2023.08.12

본인이 어떤 타입인지를 알아보고 가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누구는 생애소득 관점에서 대학원이 손해라고 보는데 보통 대기업 부장님들이나 명문대 교수, 이런 분들은
소득 관점에서도 대학원이 훨씬 이득이다를 주장하십니다. 공대 높은 학부 일수록 삼성전자, SKT 무조건 붙을 스펙인데 대학원 가는 애들 많고요.

특정 분야 전문가가 되면 해외 취직, 명문대 교수, 기업 연구직->임원, 기술 창업 등등... 뭐 돈이야 벌 수 있는 기회가 정말 많죠.
다만 어줍잖은 논문 쓰고 물박사를 따서 '박사 학위'로 뭘 해보겠다 이런 건 저도 별로 안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3.08.12

그리고 명문대 학생들의 경우 솔직히 보상심리도 좀 작용은 합니다.
요즘이야 서울대 입결이 많이 낮아졌는데 과거 서울대 전정, 컴퓨터 가려면 지방의대는 무조건 붙는 성적 들고 들어갔습니다.
수능 투과목 응시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꽤 좋은 의대도 갈 수 있는 수준에서 적성 따라서, 혹은 진짜 크게 한 탕 하겠다는 마인드로 공대 온 거고요.

공대에서 의사 이상으로 인정받으려면 정말 인정받을 수 있는 공학 전문가 반열에 들던지,
약간 학교의 틀에서는 벗어나고 코딩실력, 인맥, 학벌 가지고 사업하던지 이런 방법밖에 없거든요

그래서 사실 서울대는 타 학교에 비하면 창업하는 비율도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국내에서 네이버 카카오는 물론이고 각종 모바일 앱, 게임 등으로
대박난 수많은 대표님들 상당수가 서울대 출신이고요.

2023.08.12

그래서 별로 일률적인 비교가 의미 없다고 봐요.
뭔가 이런 '높은 자리'에 대한 열망이 없다면 학부 졸업하고 대기업 취업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2023.08.1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군대 빼러 가는거 아니면 비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