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정출연이나 교수 안할거면

2023.09.03

37

13416

박사 따는게 크게 메리트가 없을까요?

ssh 공대 대학원 석사 2학기차 학생입니다.

석사까지만 하고 취업을 할지 아니면 박사를 할지 슬슬 결정을 해야 될 것 같은데

박사를 하게 되면, spk나 해외 박사분들도 많으신데 교수나 정출연 연구원을 하기에는 제가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느껴집니다.

그러면 사기업 취업을 해야 할 텐데 이럴 바에는 그냥 석사로 취업을 빨리 하는 게 낫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기업 임원까지 가려는 생각은 없고, 연구분야도 취업이 잘 되는 쪽이라 석사 취업도 준비만 잘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박사 따고 사기업 취업할 바에야 그냥 석사로 취업하는 게 나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7개

2023.09.03

컴퓨터 기준 박사 타이틀로 입사 하면 의미 있는 거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9.03

어떤 이점이 있나요?
쩨쩨한 찰스 배비지*

2023.09.04

사카포 아니면 의미 없음

IF : 1

2023.09.03

응.. 솔직히 이게 팩트야.
(박사 마치고 대기업 입사하고 딱 현실을 깨닫는데 6개월 걸리고, 미친듯이 이직 준비해서 연구소로 탈출함)

대댓글 4개

2023.09.04

이유 여쭤봐도 될까요? 개인 사정으로 인해 대기업 입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인데, 댓글처럼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더라구요.. 전공불문 일반적으로 연봉은 대기업이 훨씬 높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많은 분들이 연구소나 학교를 선호하는 구체적인 이유가 너무 궁금합니다.

IF : 1

2023.09.04

님이 가고자 하는 회사 임원 분들 지인을 통해서든 한번 조사해서 봐봐. 특히 학력을 자세히 보면 박사라도 회사 입사한 후에 취득한 분들 많을걸? 이거면 설명 끝일 거 같은데..

그리고, 대기업이 연구소 혹 학교보다 월급이 훨씬 많다--> 이거는 분야마다 차이가 있다고 생각함. 적어도 나는 회사 다닐때보다는 많이 버는 것 같음. (근로소득+기타소득의 조합이면 일반적으로 같은 근로소득 대비 세후 소득이 많아)

IF : 1

2023.09.04

나같은 경우에는 회사가 나쁘다는 게 아니라 어차피 회사 갈거면 박사하는게 꼭 필요했나 그런 생각 많이 했었거든. (회사 내에서는 차라리 생산직이 젤 좋아 보인다는 생각도 들었었음. 제일 스트레스 덜 받고, 정년도 거의 보장이거든) 실제로 주변 보면 석사로 입사해서 회사 다니면서 박사 취득도 많이 하더라고.. 어차피 박사할거면, 좀 더 높은 목표를 갖고 시작해봐. 나도 님같이 생각했었는데, 입사하고 정확히 6개월만에 생각이 180도 바뀌더라.

2023.09.05

기업마다 또 팀마다 다를 듯.

난 미국에서 대기업 다니는데, 진급과 프로젝트, 일반적 커리어 성장 기회를 보면 박사는 필수임.

내주변 박사급 동료들 미국 탑10나와서 같이 연구중인데 다들 커리어적 만족감이 상당히 큼.

2023.09.03

박사가 길고 외로운싸움이지만
제가 학위받고 석사때 나간 동기들 만났을때
다같이 하나같이 하는말이
그때 걍 박사할껄입니다

대댓글 2개

쩨쩨한 찰스 배비지*

2023.09.04

교수 못할 능력이면 박사 받아 봐야. 회시에서 개빌할때 돔도 안됨. 괜히 눈만 높아서 피곤

2023.09.04

확실한 것은 배비지 님은 박사도 석사도 아니라는 거죠 ㅋㅋ

2023.09.03

사기업 간 선후배들도 다 만족하고 살던데요..
저는 오히려 정출연이라는 포지션이 상당히 애매하다고 생각함.
연구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그렇다고 선임연구원한테 연구할수있는 좋은환경 제공해주는지도 의문이고, 금전적 메리트도 없고, 뭔가 이도저도 안된다는 느낌임. 정출연 과책~보직자급에 있는 사람들은 다들 40후반~50대인데, 이사람들은 회사를 위해서 희생하는걸 조금 당연하게 생각하는 느낌도 큼..(본인도 그래왔고)
좋은논문 몇편을 써도, 인건비는 다 책임급이 가져가고, 오히려 짬일만 많아지고 득 되는건 별필요도없는 내부상 정도임. 그래서 외부세미나 많이 받아오면, 그것갖고도 안좋게 보는 사람들도 많고.. 여튼 고인물들이 많은 꽤나 보수적인 집단임.
본인이 주도적으로 연구하고싶다면 무조건 학교임.. 저또한 그래서 정출연 2년못채우고 나왔는데, 제 동기중 저랑 같은학교(k대)였던사람들 지금 전부 나와서 학교로 옮김..

대댓글 5개

2023.09.03

사기업도 괜찮다는 말인가요?

2023.09.03

저는 오히려 사기업가서 돈이라도 많이 벌든지, 아니면 학교로 가서 하고싶은연구 하면서 살거나 둘중 하나가 좋아보입니다.
정출연은 그 사이에 애매하게 떠도는 포지션..

2023.09.04

근데 정출연에서 눈감고 귀막고 10년 버티면 그땐 그 고인물들처럼 내 세상이 올 수도 있죠.. 물론 과제를 잘 만들어야겠지만.

2023.09.04

지금도 선임이라도 과책이면 실장조차도 뭐라 잘 못합니다. 다만 잘아시겠지만, 정출연은 소액과제를 굳이 안하려고하다보니, 본인이 대형과제 수주하는과정을 밟는게 쉽지않죠.
근데 정출연생활하면서 느낀게, 내가 잘해봤자 별로 득되는건 없구나 였습니다. 그냥저냥 연구욕심 두고 기술이전이랑 과제 적당히 진행하면서 살기에는 상당히 좋은집단이라 생각합니다. 탄력근무제까지 하는데 워라벨은 정출연을 이길곳이 없죠. 실제로 그렇게 사는사람들이 대다수라 생각하고요.
물론 책임급중에서도 연구 끝까지 열심히하시고 논문도 꾸준히쓰시는 유니콘같은분 몇분 계시고, 그분들은 존경합니다.

2023.09.04

정출연 예산삭감안은 절대 반갑지 않지만, 이번기회에 일 안하는 책임들 일시킬수있는 기회가 되면 좋을수도 있다고 생각되네요.. ㅎㅎ
그리고 무엇보다 정출연들어오면 알겠지만, 15-20년전 들어온 선배들은 석사급도 엄청 많아서, 파트타임이나 그냥 석사이신 책임들 정말 많습니다. (기관마다 차이는있겠지만, 최근10년간 들어온 인재와 그 전에 들어온사람들 차이는 거의 모든기관이 동일할듯)
풀타임 박사라고 다 잘하는것도 아니고 물박사도 많지만.. 그래도 전문지식도 없으면서 자꾸 연구 관여하고 어떻게든 논문/특허에 이름같이 올리려고 하는 책임급들이랑 일하다가 학교와서 순수 내 이름으로 연구하니 정말 행복합니다.

2023.09.03

질문자분이 어떤인생을 살고싶은지가 중요한게아닐까요

대댓글 1개

쩨쩨한 찰스 배비지*

2023.09.04

박사후 교수 못되 회사가면. 왜 나 여기 있나 하고 살겠죠. 석사하고 회사가면 박사할 껄 하겠죠
밝은 니콜라 테슬라*

2023.09.03

박사 받고 사기업 가는 것도 좋아요. 회사 가면 석사는 학사랑 별반 차이가 없는데 박사는 그래도 좀 다름. 기회측면에서도 그렇고.

대댓글 2개

2023.09.03

ssh 박사라도 괜찮나요?
쩨쩨한 찰스 배비지*

2023.09.04

뭐 실력만 있다면. 별차이 없음. 미국박사아니면. 국박은 학교갈 수준 아니면 거기서 거기

2023.09.03

정출연이나 교수가 좋은건 누구나 알지만
극히 소수가 앉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솔직히 운도 좋아야 하죠. 박사 졸업자 중에 5%는 될까요?

그런 논리라면 대다수의 박사가 의미 없다인데
그렇게 생각하실거 없습니다.
실력이나 전문성을 떠나
요즘엔 사기업에서도 박사 있고 없고가 라이선스 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2023.09.03

기업 기준 인식
박사 -------------- 석사 -- 학사
이 정도 차이로 봄.
한 분야 전문가 소리 듣는게 쉽지 않죠.
박사 간 다음 산학 장학생 일찍 하시면 생각보다 나쁘지 않은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IF : 1

2023.09.03

전혀 그렇지 않아요..
오히려 석사가 적당한 연구경력 + 인맥과 회사 짬밥으로 무장돼서.. 임원 진급 하는 경우 더 많아요. (대신 파트타임으로 박사 학위 취득)

2023.09.03

박사 하실거면 ssh에서 하지 마시고 더 좋은 학교로 가서 하세요

2023.09.04

취업용 박사 자체가 의미가 없어요. 정출연이든 교수든 사기업이든 박사의 본질은 본인 취업용 학위가 아닙니다
쩨쩨한 찰스 배비지*

2023.09.04

한국이 전세계에서 인구당 박사가 제일많이 나오는거 아시죠. 개나소나

대댓글 3개

2023.09.04

그냥 주무세요,,

2023.09.04

그건 그냥 생각없이 대학원 가는학생이 많아서 그럼. SKP에도 그냥 주변에서 대학원 가니까 친구따라 강남가듯 대학원 택하는경우 많아요

2023.09.04

고학력자 인력이 많아지는건 솔직히 국가입장에서는 긍정적입니다. 다만, 아무리 제조업, 기술 중심인 나라임에도 그 많은 박사급인재를 수용할만한 일자리가 있는지 없는지가 중요하겠죠.

2023.09.04

회사를 가더라도 박사는 따고 가는게 여러면에서 유리합니다

2023.09.04

공학계열이시면 최종목표가 창업이 되시겠네요.
회사, 정출연, 교수직 등 결국 창업하는 것이 가장 오래 일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창업할 때 분야마다 필요한 것이 있으니 거기에 맞춰 결정하시면 되겠네요.

2023.09.04

고등학교만 나와도 일자리는 있습니다.
그래서 누군가 나는 고등학교만 나와서 취직할란다고 말할 수 있지만.. 대학을 나오거나 석사학위 있는 분들상당수는 더 공부할 것을 권유하지요.

박사를 마친 제 입장에서는 더 공부하셔도 좋은 점이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2023.09.04

자기꺼 하고 싶은 마음이 있으면 석사로 가면 백퍼 후회... 석사는 그냥 연구 조금 맛본 사원임. 경우에 따라선 신입사원들하고 같은 일하다가 몇 년 지나면 석사한 직원이나 안한 직원이나 똑같아짐. 박사는 그래도 맡겨지는 일 수준이 좀 다름.

2023.09.05

요즘같은 상황이라면... 박사 학위 받으시고 포닥으로 해외로 나가세요 그리고 해외에서 정착하시길
해외에 있으면서 보이는 한국은 침몰하는 배와도 같네요
복합적인 이유로 한국은 이미 회생불가한 국가가 된거 아니냐는 리포트에 대해서도 종종 듣습니다
공학쪽에 있다면, 박사급 인재에 대해서는 늘 열려있으니 그냥 여유되시면 한국 탈출하세요

2023.09.05

반도체 배터리는 박사하는 거랑 안하는거랑 차이큼. 다른 분야는 글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