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석사 이상을 뽑는거면 대학간판보다는 어떤 랩실을 다녔는지, 석사 논문은 어땠는지, 연구활동은 뭘 했는지를 더 중점적으로 보지 않나요?
SPK는 대학원 간판도 어느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데 YK IST SSH 중경외시 부경 같은 라인에서도 이게 적용되는건가 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09.28
석사 취업은 학사 학부 학점이 더 중요합니다
2023.09.28
중요하지 않다고 말할 순 없습니다. 다만 학벌(학부/대학원)이 더 중요한지, 실적이 더 중요한지는 목표하는 취업하시는 곳에 따라 달라지겠죠.
시끄러운 알렉산더 벨*
2023.09.28
YK는 연구로나 취업으로나 SKP에 준할만큼 우수하죠
2023.09.28
무조건 더 중요.. 산학장학생 모집도 일부에서만..
2023.09.28
5대 의대 대학원도 대학 간판 유의미한가요?
2023.09.28
간판이 중요할거면 학부를 보겠죠.. 사기업 취업이면 SKY 카포
후회하는 찰스 배비지*
2023.09.29
석졸이든 박졸이든 사기업 취업 생각이면 yk 까지는가야 학벌로 불이익 받는거 없을듯
2023.09.30
skp yk ssh 정도 대학원은 기업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도 있고 기업 플젝하시는 분도 많고 기업에서 리쿠르팅도 더 많이 나옴. 그 기회를 살리는 건 본인 몫이긴 하지만 그 기회를 만나보는 것 자체는 대학 간판이 어느정도 기여함. 또한 주변에 연구나 공부에 대해서 롤모델을 삼을 만한 선배나 동료가 더 많을 수 밖에 없음. 비교하자면 학군지로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공부하는 양이나 퀄리티, 대화하는 내용들이 훨씬 시너지를 내기 좋은 환경임. 요약해보면 얻어가는 건 본인의 노력 여하에 달려있지만 본인과 비슷한 지향점을 지니거나 더 잘하는 사람들 더 좋은 케이스들이 이미 있어서 길을 헤메지 않을 수 있다라고 할 수 있음.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9
2023.09.30
2023.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