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과제를 많이 하는 랩이라 제가 들어오기 전부터 이미 제가 할 과제는 정해져 있었으며, 포닥분이 이미 그 프로젝트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고 계셨습니다. 제가 랩실에 들어오기 전까지 논문의 약 30% 정도가 진행되어 있었으며 기본적인 결과 값이 좋았습니다. 제가 조인한 후에는 나머지 70% (추가적인 실험은 매주 계속 하는 중, 데이터 뽑기, 피규어 그리기, 논문 쓰기 등등)를 담당하여 진행중에 있습니다.
제가 프로젝트를 모두 인수받은 후에는 포닥분의 감독 하에 혼자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공동 1저자로 들어가는게 맞나요 포닥분 1저자 제가 2저자로 들어가는게 맞나요..? 잘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이 논문이 제 주 논문이 되어 졸업 및 취업하게 될텐데 1년동안 저 프로젝트만 내내 하다가 2저자로 들어가게 되면 경력이 부실해보일까봐 걱정됩니다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10.25
포닥분이 결정하실 문제입니다. 한국에서는 보통 논문 쓰는 사람을 1저자 주고 실험 도와주는 사람들을 2저자 주긴 하는데 미국은 좀 다를 수 있으니... 한번 물어보세요
대댓글 1개
2023.10.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포닥분이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pi가 결정할 문제죠.
2023.10.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미 논문 30%가 진행되어 있었다면 솔직히 님 기여는 20프로도 안됩니다. 말그대로 이미 다 정해진거 시키는것만 한건데요. (추가적인 실험은 매주 계속 하는 중, 데이터 뽑기, 피규어 그리기, 논문 쓰기 등등) - > 논문쓰기 빼고(이것도 포닥이 대부분 썻을 거 같긴한데) 다 그냥 시키는 대로 했을거고 처음부터 혼자 햇으면 석사내내 하고 박사 가서도 논문 안나왔을거 2저자가 당연하며 혹시나 공동 1저자 준다고 하면 감사합니다 하면 됨. 먼저 1저자 달라고 하면 미친놈으로 볼 수 있음.
대댓글 1개
2023.10.26
맞는말. 30프로 완성하는게 초기 실험셋팅, 시행착오 고려하면 절대 30프로가 아니지
2023.10.25
만약 논문 리비전까지 도맡아 할 예정이라면 당당하게 공동 1저자 요구해 보아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대체로 한국인 학생들이 예의를 차리느라 저자권 싸움을 하지 못하고 손해를 보는 일이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나서면 안되겠지만, 자기 밥그릇은 자기가 챙겨야죠.
2023.10.25
당당하게 공동 1저자 주세요! 는 아닌거같고 말은 꺼내볼 수 있을거같은데 민감한 주제라 잘 이야기해보셔야할듯. 2저자 받기에는 좀 아쉽네요
무서운 쇠렌 키르케고르*
2023.10.26
사실 논문 저자문제에서 "몸쓰는 일"은 별로 안쳐주는 것 같습니다
그냥 정해진 루틴대로, 시키는대로 실험 수행한건 별로 의미 없어요 실험 설계를 하는데 얼마나 기여를 했고, 매뉴스크립트의 논리적 구성에 기여를 했는지가 중요한거죠
논문에서 제일 중요한건 실험을 얼마나 많이 기여했는지기 아니라 누가 실험을 기획하고 구성했는지에요. 님이 70%를 했다는건 그저 단순반복 작업을 했다는거고 그걸 왜 해야하는지 논리구조를 만든건 30%를 진행한 사람이 한거죠. 님같이 단순히 님이 시킨 일을 했는데 자기를 1저자로 안넣어줬다고 억울하다거 온동네방네 떠들고 다녔던 사람이 내 주위에도 있었는데 아주 가관이었어요.
2023.10.28
논문의 90퍼는 아이디어임 포닥이 생각해낸 아이디어로 단순노동을 통해 데이터 뽑고서 70%를 했다고 생각하면 답 없음 구라 안치고 님 대신 고졸 3달 교육시키고 데이터 뽑으라고 해도 님이랑 같은 데이터 나옴
2023.10.28
30퍼 진행도이면 이미 첫술은 뜬 상태로 투입이 되신거네요. 그렇다면 실질적인 기여 여부는 절반도 되실까 말까입니다. 왜냐면 본인이 사전연구 조사, 실험 계획, 사전 실험 등등 전부 건너뛰신거잖아요? 제가 몸 담은 자연계열 중 한분야에서는 그거 가닥 잡을때 실수 조금만 있어도 무조건 1년 동안 다시 준비하고 그래야 합니다. 근데 이미 진행 과정인건 가닥도 잡힌거잖아요? 그래서 본인이 처음부터 실험 디자인 짜는거부터 참여한거 아니면 공동1저자 달라는건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조금 선 넘은 처사일 수도 있다고 보입니다.
2023.10.25
대댓글 1개
2023.10.26
2023.10.25
대댓글 1개
2023.10.26
2023.10.25
2023.10.25
2023.10.26
2023.10.26
2023.10.26
2023.10.27
2023.10.28
2023.10.28
2023.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