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동1저자 순서

2024.04.09

9

1103

글펑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4.09

네 그리고 교수님 말 들으세요 그것 갖고 싸우기도 웃겨요

2024.04.09

그거 나중에 페이퍼에 공동1저자 표시하면서 알파벳 오더라고 풋노트 달면 됨

2024.04.09

공1은 순서 상관 없어용

대댓글 6개

2024.04.09

왜 상관이 없음?
본인은 모든 1저자가 다 맨앞인데
공1저자해서 두번째, 세번째 가는 사람은 보통 기여도가 맨앞보다 압도적으로 낮음.
좋은 저널의 경우 한 실험실에서 모든 실험이 어려우니 타실험실에 중요한 실험 맡기는데 교수들끼리 협상해서 1저자와 교신 모두 공동으로 가는 경우가 흔함.
그렇게 숟가락만 얹은 1저자는 논문 전체 스토리도 모르고 그냥 실험만 좀 해주고 1저자 얹은거임.
한 실험실에서 공동1저자 남발한다면 서로 실적 챙겨주기로밖에 안보임. 한 실험실에서 논문 내는데 공동1저자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음. 교수가 서로 좋으라고 공동1저자 주는건데 서로에게 독임.
내가 믿고 물박사라 거르는 경우가
1. 한 실험실 내에서 공동1저자로 나눠먹기한 경우
2. 타 실험실과 공동1저자 했는데 죄다 2,3번째 일 경우
이런 경우는 실력없는 물박사일 확률 매우 높지

2024.04.09

아 그런가요..? 저는 지금까지 공1줄때 진짜 1저자 기여한 사람들한테만 주는거만 봐서 실적 몰아주기는 상상도 못했네요..

2024.04.09

이건좀 케바케인게.. 정치적인이유로 뒤로밀리는경우도 있고..
저같은경우도 일의70퍼를 제가했는데 1-3저자 먹은경우도있고...
이런짓을 직접 당해보면 숟가락얹기라고 생각이 안드실텐데...

2024.04.09

저도 그럴뻔한적 있어요
상대교수가 자기학생 맨앞으로 보내고싶대서
내가 맨앞하겠다고 직접 얘기했음.
본인이 주장할땐 주장해야합니다.
예전에 공동1저자로 시작한거 2저자로 끝난적도 있었구요.
온화한 르네 데카르트*

2024.04.10

케바케입니다. ‘공동’1저자는 어찌되었든 equal contribution 으로 인정받으니까요.

다만, 공동1저자인 논문이 대다수인데 그 중에서도 두번짜가는 공동1저자가 대부분일경우는 의심 받을 수 있겠으나.. 대다수는 아닙니다.

2024.04.11

일단 최소 바이오분야는 실험 디자인하고 논문 작성 진행한 쪽이 맨앞1저자, 중요한 실험 해준 쪽이 두번째 1저자 가져감. 실험실마다 잘하는 분야가 다르기때문에 완벽히 50대 50의 기여도는 불가능함. 메인으로 주도한 실험실이 있고 자기들의 기술로 숟가락 얹는 실험실이 있기 마련임. 논문 작성에 대한 비중도 크게 다르기에 보통 8대2 정도 기여도가 됨. 그렇기에 본인은 공동1저자 죄다 2,3번째에 가있는 사람 보면 자기힘으로 논문 디자인 못하고 논문 스토리 작성도 못할거라는 편견이 생김. 본인이 논문 디자인 하고 주도적으로 논문 작성해서 맨앞 1저자 논문을 여러개 가지고 있지 않는 이상 그러한 의심은 피할 수가 없는 거임. 본인랩이 잘하는 실험 하나 해주고 Nat Comm 등에 공동1저자 하는 경우를 너무나도 많이 봐왔고, 공동1저자를 진짜 equal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본인이 숟가락을 얹은적이 많기 때문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