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적으로 어디 지원하거나 할 때 점수는 같은게 대부분인데 대충 쭉 흝어볼때는 공1저자 뒤쪽이면 걍 주저자 아닌걸로 보임 ㅋㅋ
그리고 공1저자가 한두개 있으면 모르는데 많으면 당연히 의심함.
대댓글 1개
2023.11.12
한 두개 있어도 그냥 ㅇ ㅏ 잡일 했구나 합니다 ㅋㅋㅋㅋㅋ
2023.11.11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똑같이 봐요
2023.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량에선 당연히 똑같고 정성에서도 순서로 평가 안합니다. 뭘 기여했나를 보죠
2023.11.11
똑같이 본다라는게 이론적으로 맞긴 한데 분야마다 분위기가 좀 다르긴 할듯.
2023.11.11
Lead author가 앞이긴하겠죠
2023.11.11
차이가 없다면 공동1저자 중에서도 앞으로 가려고 싸우지 않겠지. 정량적 평가에서는 동일한데 정성적 평가로 넘어가면 뭐... 그냥 기여도 높은 2자저 정도? 4년내 논문이 주저자 15편인데 전부 공동주저자 논문인 사람도 봤음. (뭐 다른 연구실과 협력도 아니고 전부 연구실 내에서 나눠먹기). 이러면 그냥 주저자 7~8편 정도인 걸로 보지뭐
대댓글 12개
2023.11.12
정성적 평가로 넘어갈때 기여도 높은 2저자라고 평가한다고요?? 현직에서 평가위원으로 참여해보신적은 있으신지.. 최소한 저도 정출연/학교 모두 임용시장도 거쳐봤고, 이제는 제가 심사도 들어가보지만 정량/정성적 평가 모두 동일합니다. 다만 보통 주저자 하면 첫번째 저자를 떠올리기에, 본인이 구글스칼라든 개인홈페이지에서 공주저자임을 강조해야하죠.
2023.11.12
저도 현직입니다. 학교/학과/평가위원(교수)마다 생각하는건 다를 수 있으니 교수님의 의견은 존중합니다만, 두번째 공동1저자를 단독 주저자와 동일하게 정량/정성적 평가를 주는게 더 불합리하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문장은 저에게 왜 갑자기 왜 말씀하신건지 모르겠네요.
2023.11.12
15편 사례는 제가 직접 평가하면서 본 사례이고... 우리 학과에서는 공동1저자가 그렇게 남발되지 않기 때문에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긴 하는것 같네요~
뭘 현직이에요ㅋㅋㅋㅋ 몇년간 공동1저자 구분해본적이 없는데 딱 보니 학부생이 뇌피셜 지껄이는거 같은데 모르면 좀 ㄷㅊ세요
2023.11.12
점수표 -> 정량적 평가 정성적 평가는 말그대로 심사위원이 평가하는거죠. 학교마다 정성적 평가도 점수표가 있기도 합니다만 (아니 그게 무슨 정성적 평가..?) 어느정도 자율성이 있는경우가 더 많음
학부생이라는 비난 댓글은 신선하네요ㅋㅋㅋ 본인이야 말로 고딩인듯.. 학계의 세계는 넓은데 지 생각과 다르면 학부생이라니
*저희 분야가 공동주저자에 부정적인건 저, 제 지도교수, 학교 친한 동료 교수 몇명 교신저자 논문 수백편 (아니 천편 될듯) 중 공동주저자 논문이 하나도 없기 때문임. * 그래서 우리분야에서는 연구실내 공동주저자는 인정 못받음. 타 연구실과 공동주저자는 뭐 공동연구니 이해는 한다만.. * 뭐 몇몇 분야에서는 공동주저자인 경우가 더 많은것 같긴 한데 그 분야는 내가 평가 할일 없으니 패스.
2023.11.12
공동주저자 많은 대학원생들 부들거리는거 같은데 그 분야 타학교, 주변 연구실 다 그러면 뭐 경쟁자들 다 똑같으니 계속 그러시면 되고 주변에 아무도 안하는데 본인 연구실만 그러는거면 실적 뻥튀기 하고 있는거니 그거 나중에 다 고려함
2023.11.1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니깐 그건 느그분야가 마이너한 ㅂ분야라 그렇고 일반적으로 안그런다고. 공1에서 순서 구분 안한다니깐 헛소리 하네. 뭐 없어서 교육 못받은 티 내지 말고 느그분야가서 놀아
2023.11.12
ㄴ네 다음 부들부들 대학원생 잘하고 계시니까 계속 그렇게 하시라고 말씀드리는데 왜 그러시나
2023.11.12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동1저자 순서로 구분 안하고 각 기여도 정성적으로 구분하는게 펙트고 순서로 구분한다는 사람은 그냥 어그로 끄는 뭣도 없는 애들임
깔끔한 알베르 카뮈*
2023.11.13
너무 부들대지 마세요. 공동1저자 아니면 1저자로 논문 못 쓰는 사람들처럼 보여요
2023.11.13
아 그리고 똑같다고 부들대시는 분들은 공동주저자 논문 쓰시면 항상 다른분께 제일 앞 자리 양보하시기 바랍니다~ 안 그러실거면 지금 거짓말하시는거 아시죠?ㅋㅋ
2023.11.12
제일 앞 보다는 덜하게 평가하긴 합니다.
2023.11.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당연한거 아님? 논문은 한개인데 주저자는 두명이고 개개인이 1저자랑 똑같이 평가받는다? 뭔 예수임? 아니면 무안단물? 진정한 창조경제네
대댓글 2개
2023.11.12
ㄴ이게 정답임 뭐 공동주저자 많은 인간들은 융합연구 웅앵엥 거리는데, 어쨌든 둘이 합쳐 논문 하나 쓴거면 절반씩 인정받아야 하는거 아님? 남들은 그 시간에 혼자 한편 쓰고 있는데 어쨋든 그래서 최근들어 몇몇 학교는 교원 승진 평가 시 주저자 총 숫자도 반영하더라. 그렇게 승진평가 점수에서 공동주저자 논문 칼질 당하는 교수님들은 자기들이 반대로 지원자 평가할때 똑같이 고려함. (정량적 점수표에는 안되어 있더라도)
답답한 피터 힉스*
2023.11.14
솔찍히 2명이 쓰면 2배 이상으로 뽑아내야지
2023.11.12
큰 차이 없어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깔끔한 알베르 카뮈*
2023.11.12
정성적으로는 똑같이 평가 받는데, 그래도 앞의 1저자가 더 기여는 했겠구나 생각하죠. 정말 똑같이 기여하는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
대댓글 1개
깔끔한 알베르 카뮈*
2023.11.12
정성적 -> 정량적
2023.11.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저자면 순서에 상관없이 똑같이보죠.
2023.11.12
정말 동등하게 1저자로 쓴 사람들은 footnote에다 coin toss로 순서 정했다고 적기도 함 ㅋㅋ
대댓글 2개
2023.11.1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레알임
소심한 피터 힉스*
2023.11.13
ㅋㅋ 진짜 이런경우나 alphabetical order 등등 안써져있으면 걍 일 좀 많이한 2저자인거지
2023.11.11
대댓글 1개
2023.11.12
2023.11.11
2023.11.11
2023.11.11
2023.11.11
2023.11.11
대댓글 12개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2
2023.11.13
2023.11.13
2023.11.12
2023.11.12
대댓글 2개
2023.11.12
2023.11.14
2023.11.12
2023.11.12
대댓글 1개
2023.11.12
2023.11.12
2023.11.12
대댓글 2개
2023.11.12
2023.11.13
2023.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