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현재 대학원 진학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입니다. 물론 랩바랩 사바사이겠지만, 대학원 진학을 하신 분들과 진학을 앞두고 계신 분들의 다양한 생각이 궁금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분야는 생명과학입니다.
1. 연세대
연세대의 경우 24년 전기 석사로 입학이 가능한 상태이며, 교수님이 해당 분야의 대가이십니다. 다만 현재 회사를 운영 중에 있으시고 퇴임을 앞두고 계셔서 랩을 정리하는 단계입니다. 현재 해당 랩실에서 인턴 중에 있는데, 랩을 운영하시던 선배분들이 대부분 나가시고 저와 비슷한 시기에 입학을 준비하는 분들과 새로 들어오신 석사 졸업생 분들만 계셔서 다소 연구를 진행하기에 막막한 상황입니다. 교수님은 너무 훌륭하신 분이지만, 약간 방치당하고 있어 솔직히 좋은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는 않습니다. 제가 아직 미필인데, 석사 생활을 잘해낸다면 교수님의 회사에서 석전연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이 부분도 고민 중에 있습니다.
2. 포스텍
포스텍의 경우 입학이 확정되지는 않았습니다. 긍정적인 답변이 오가긴 했으나 입학을 하게 된다면 빠르면 24년 후기, 늦으면 25년 전기로 입학하게 될 것 같습니다. 입학을 하게 된다면 석박통합전형으로 입학을 할 예정이라 박전연을 할 생각입니다. 랩의 경우, 아직 인턴 생활을 하지 않아 정확하게는 알지 못합니다. 허나 재학생에게 물어보니, 교수님의 인품은 좋으신 것 같지만 마찬가지로 회사를 운영하고 있어, 방치된 학생이 몇 있는 것 같습니다. 랩은 활성화되어있는 상태인 것 같고, 연구 성과는 연대 연구실과 비슷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진학이 결정된다면, 이번 WURF부터 인턴 생활을 시작하게 될 것 같습니다.
요약하자면, 24년 전기 연대 석사 vs 24년 후기 or 25년 전기 포스텍 석박 인것 같습니다.
포스텍에서 인턴 생활을 시작한다면, 연세대에서 진행 중인 학부연구생활을 마무리 짓고, 입학을 포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포스텍에 입학하는 것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하고 있는 학부연구생활을 마무리 짓는 것이 다소 무섭기도 합니다. 대학원 진학하시는 다른 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3.11.24
서울에 있는 연세대
IF : 1
2023.11.25
전문연 문제 걸려있으면 학벌 높은게 좋을 것 같아요. 포스텍 석박 출신이 영어 점수만 있으면 전문연은 어렵지 않게 하는거로 알고 있어서요. 그리고 연세대는 학비랑 물가도 너무 비싸고.. 오히려 빚내서 다녀야 될 수도 있어요. 포스텍은 카이스트 만큼은 아니더라도 월급에서 등록금이랑 생활비 충당이 되는 수준이긴 해서요. 연구 환경 , 실적 ,alumni 잘 따져보세요.
근데 포스텍은 서울만큼 인프라가 구축 돼있진 않습니다.
대댓글 2개
2023.11.25
아 연대의 경우, 입학금과 등록금 전액 지원이 되는 상태이긴 합니다...!
IF : 1
2023.11.25
그러면 종합적으로 따져야겠네요. 학벌로 따지자면 포스텍이 조금 더 높다고 말할 순 있겠는데 사실 박사까지 하실거라 그렇게 큰 의미가 없을 거 같구요.
목표가 학계엔지 취업할건지. 그리고 분야를 어떻게 할 건지 . 졸업생들은 어디로 가는지. 실적이 어떤지. 교수님 김박사넷 평가에서 괜찮은지. 이렇게 다 따져보고 가셔야 할거 같은데요, 우선 연구 환경은 포스텍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포스텍 학생이라서 연구환경은 기가막힙니다.
2023.11.24
2023.11.25
대댓글 2개
2023.11.25
2023.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