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식으로 구체적으로 사고하지 못하면 좋은 선택을 하기 힘들고 좋은 조언을 받기도 힘듭니다.
우선 작성자의 학문적 베이스가 재료 베이스인지, ai 베이스인지 모르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 어떤 방향으로 작성자님이 접근할 수 있는지도 모릅니다. 어떤 방향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서 진로가 매우 달라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최근 AI를 기존 소재 데이터베이스에 접목하여 신규 소재를 발굴 하는 논문을 nature 본지에서 본 적 있는데 학생이 말하는게 이런 연구라고 가정하고 얘기해볼게요. 저는 전문가가 아니지만, 해당 논문을 참고하면 이런 연구는 아주 러프하게 데이터베이스 구축 - ai 활용 신규소재 발굴로직 개발 - 개발 소재 검증 - ai 개선로직 개발 등으로 나눠볼 수 있을것 같은데요. 여기서 학생의 백그라운드 및 흥미가 어디 있으며 이 과정 안에서 어디에 기여하는게 좋을지 생각하고 분야 및 진로에 대해 물어봐야지, 그냥 아무런 노력도 사고도 없이 막연하게 졸업 후 진로 알려주세요 이런 식으로 말하면요, 어딜 가도 바로 폐급으로 찍힙니다.
그래도 도와드리자면 얼핏 듣기로 회사도 이런 분야에 관심은 갖고 있지만, ai에게 학습시킬 db가 아직까지 충분한 퀄리티가 아니어서 진척은 매우 느린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연구소나 학계에선 db 부족은 더 심할 것으로 생각되구요. 이런 이유 때문인거같은데 서울대 재료과에도 제대로 이런 종류의 연구 수행하시는 분 없고, 다른 과에 한두분 계신걸로 알고있습니다.
결론은 회사와 조인하지 않고 이런 연구해서 실적내고 교수되긴 힘들다.
다만 소재 회사라 해도 공정 및 애플리케이션 쪽에선 ai 전문가들과 코웍 많이 합니다. AI 베이스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로직 개선 쪽으로 기회가 있을수도 있겠죠.
So in everything, do to others what you would have them do to you, for this sums up the Law and the Prophets 비판받기 싫으면 비판하지마세요
2023.12.07
제가 님에게 평가해달라고 했습니까?
님은 제 자녀가 아닌데요. 라는 논리로 하면 저도 똑같이 님한테 평가해달라고 한 거 아닌데요 할 수 있겠죠.
지식은 많아도 이런 식으로 말하면요, 어딜 가도 바로 폐급으로 찍힙니다.
2023.12.07
저 정도가 그렇게 불편하면 여기 질문해서 쉽게 정보 얻을 생각하지 말고 혼자 머리싸매고 찾아보세요. 시간내서 답변해준 사람한테 감사하다고 말하지는 못할망정. 그리고 평가받기 싫으면 회사 가서도 본인 인사고과 평가하지 말라고 하세요.
2023.12.07
그래요. 생각해보니 제가 말이 좀 심했습니다. 제가 좀 꼰대고 오지랖이 넓어서 가벼운 말에 굳이 오바해서 많이 적었네요. 미안합니다.
요새 밑에 데리고 있는 애들 사이에서 의사소통 문제로 갈등이 좀 있는 거 같은데, 그 친구들한테 해주고 싶은 말들이 마침 생각나서 화가 나기도 하고..도와주고 싶기도 해서 쓸데 없는말 많이 적었어요 사과드리겠습니다
밑에 애들한테는 입을 더 다물어야겠습니다.
2023.12.07
지금 시작해서는 늦었다 생각드네요. AI ML 썻다는 재료 논문들도 딱히 임팩트있는것도 별로없고 그냥 핫하니까 한번 해먹고마는 느낌입니다. 몇일전에 AI로 신소재 발굴 어쩌고 하루아침에 네이쳐 본지 두방치기로 낸사람이 있는데... 몇일 지나니 여기저기서 욕하는 분위기네여
2023.12.07
흠 성자님은 어려워 보이네요..
2023.12.07
If you, then, though you are evil, know how to give good gifts to your children, how much more will your Father in heaven give good gifts to those who ask him
2023.12.07
대댓글 8개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