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삼성리서치 삼성종기원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4.01.04

13

3777

삼성리서치랑 삼성종합기술원 입사난이도가 어떻게되는지 아는사람있어? 그냥 서포카 학석박정도 나오면 무난하게 가나? 아니면 실적분야도 좀 졸업생기준 상위권~최상위권되어야되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덤덤한 제임스 맥스웰*

2024.01.04

분야가 제일 중요합니다

2024.01.04

분야 안맞으면 지방대 학석박한테도 밀림.
긍정적인 알프레드 노벨*

2024.01.04

그냥 같이 일해야함
그럼 100프로 됨

대댓글 2개

2024.01.06

같이 일하면 100프로 되는거 확실한가요?

이렇게 부정확한 말 하시는 분은 안 뽑아요
긍정적인 알프레드 노벨*

2024.01.06

90프로로 수정하겠음
아래 리서치 댓글 보셈
같이 일하면 뽑아주겠다고 하는거 봤었음

2024.01.04

관련과제나 교수님이 해당출신이면 유리하고 일단 분야핏이 무조건 맞아야함 석박비율 1:2정도 되지않나?

대댓글 1개

2024.02.22

석사가 있남...

2024.01.04

분야 그렇게 다르지 않으면 학석박 skp 면 보통 쉽게 감.

이건 개꿀 팁인데, 연말에 진행하면 난이도가 엄청 어려울수도 있고 쉬울수도 있다. 임원들은 한 해에 신입 경력직 (박사) 뽑아야 하는 목표 수치가 있는데, 이거 달성이 이미 되었으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달성 안 되었으면 될 가능성 높아짐. 이런 경우 해당 부서에 현재 상황이 어떤지 듣는게 중요하다. 그리고 가려는 부서에 아는 지인이 좀 잘하는 사람이라 그 사람이 추천해주고 입방정 떨어주면 합격률 올라감.

대댓글 1개

2024.02.22

다운턴이라 티오가ㅡ.ㅡ

2024.01.06

삼성리서치 재직 중인데요
보통 해외 연구소하고 일을 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 전문성 및 영어 능력치를 두루 봅니다.

박사를 뽑을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은
산학과제로 같이 일하던 대학원생 분들을 뽑거나 혹은 해당 분야 전공자를 추천받아 뽑아요.

대댓글 2개

2024.01.06

아 국박인데 해외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그런 루트군요. 대부분 거기있다 미국회사 취업하려고 할 것 같은데.

2024.01.07

앗 제가 오해할 만하게 적었네요.
해외 연구소라 함은 SR이 여러 나라에 연구소를 두고 운영하고 있어요. (미국, 폴란드, 이스라엘, 러시아, 중국, 우크라이나 등등)
해외 인력을 SR(한국 본사)이 관리하면서 과제를 하기 때문에 영어를 잘해야 된다는 뜻이었어요.

그리고 국내 대학하고도 산학을 하는데
SR에 인력이 필요한 시점이 생기면, 당연하게도 같이 일하던 대학원생 분들이 제일 먼저 머릿속에 떠오를 수 밖에 없고, 그 분들 위주로 뽑힐 가능성이 꽤 크다고 할 수 있죠.
다만, 예외도 항상 있으니까
꼭 같이 일 안했더라도 지원해 보세요. 저도 예외 케이스 중에 한 명입니다.

2024.02.22

유명학회에 채용설명갑니다.
설명회가 없으면, 한국저자 리스트뽑아 컨택해요.
유명학교도 다운턴아님 매년 설명회가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