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방대학나온 석사1년차입니다. 해외논문읽는데 보통 얼마정도 소요되나요?

2024.01.05

21

3044

안녕하세요 이렇게 글을쓰는거는 처음입니다만 요즘들어 제실력이 너무 부족한거 같아 다른분들 조언을 듣고 싶어 글을 적습니다
저는 지방대에서 전자과를 졸업해서 서울에있는 컴공대학원을 진학하였습니다. 교수님께서 논문리딩을 선호하셔서 논문위주로 세미나를 하고있습니다. 처음 석사시작했을때에는 15페이지정도되는 페이퍼를 읽는데 2주넘게 걸렸고 이제는 주에 토요일까지 하면 한주에 페이퍼 한개는 읽어집니다만 주위 분들을보면 주에 4개는 기본이고 김박사넷도 찾아보니 이틀에 3개 이런분들도 보여서 이쯤되면 제 능지에 문제가 있나 싶습니다. 만일 선배님들의 팁이 있다면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4.01.05

2-3시간정도요

대댓글 2개

2024.01.05

정말 실례가되지않는다면 그정도 경지에 오르시는데 어느정도 걸리셨나요?

2024.01.05

현재 석사2학년이고 15년도 수능기준 영어B형 만점이었습니다
경지라고 할 건 없지만 여기까지 오르는데(?) 얼마정도 걸린지는 모르겠는데 제가 학부생일때 보다는 확실히 줄어들었습니다
학부생때는 하루정도 계속 읽었던 것 같아요

2024.01.05

하다보면 늘어요 걱정하지마세요.

2024.01.05

읽는것보다 이해가 중요하겠죠...
다량의 논문보다도 한두가지의 논문을 집중해서 읽어보세요.. 연구실 논문이면 쉽게 물어보면서 읽을수 있을테니 더 좋을테구요..

2024.01.05

유사분야 1-2시간 모르는 분야 하루넘게

2024.01.05

본인 영어실력에 따라 다르죠?

영어공부 하세요 영어읽기 말고로 영어논문도 쓰셔야죠!
활기찬 윌리엄 켈빈*

2024.01.05

리뷰논문제외 그냥 논문 읽는거는 대충 10~20분 안으로 읽는데

2024.01.05

라인 바이 라인 읽어야 될 논문이랑 걍 스캔 한 번 하고 휴지통에 삭제해야 될 논문이랑 당연히 읽는 시간 차이 납니다.

2024.01.05

랩에서 논문 세미나 한다고 논문만 보면 되나 안되나?

적당한 기초서적을 알아서 공부해야지.

2024.01.05

아는분야는 3시간내로 컷인데 아예 모르는 분야면 미정

2024.01.06

영어실력이 아니라 그 분야에 지식이 쌓일 수록 시간이 짧아집니다. 조급해 하지말고 많이 읽어보세요. 그럼 나중엔 Introduction을 이해하고 Methods와 Figure만 봐도 대충 그 논문의 견적이 나옵니다.

대댓글 1개

2024.01.06

이런 경지에 오르면 2-3시간 만에 읽는다고 표현하는겁니다. 절대 영어가 유창해서 빨리 읽는게 아닙니다.

2024.01.06

영어가 문제가 아님. 어차피 ai돌려서 대충 감잡을텐데
수식이해가 젤 어려운듯. 이건 관련 논문 파고들면서 공부해야됨

2024.01.06

연계 논문이면 4~5시간 집중하면 디테일 빼고는 다 이해하죠. 완전 새로운 분야면 레퍼런스도 두단계는 넘어가야 하니 2~3주씩 걸리는 경우도 있고요. 석사 1년차에 해당 분야 경험이 없으면 논문 읽는데 오래 걸리는 건 당연합니다. 내공이 쌓이면 해결될 문제

대댓글 1개

2024.01.07

2~3주...? 그건 아니라고 본다 문과생이 공대 논문 읽는 것도 아니고 딴 일 안 하고 올인하면 아무리 어렵고 길어도 이틀~삼일이면 충분하지....

2024.01.07

대충 훑으며 논문의 전체적인 틀을 읽는데 1분, 인스트럭션 읽는데 10분 이내, 논문 전체 완벽한 한글화에 3시간 이내로 못하면 살아남기 힘들어요
추천드리는 공부방법은 논문 전체를 통으로 읽으면서 한국어로 완역하고 A4지 10포인트 한장으로 요약하는거 하루 한개씩 목표 잡고 해보세요
번역기도 상관 없고 자기 능력으로 해도 상관 없습니다. 최종적으로 하루 4편 이상 요약 안 되면 대학원생으로 자격 없는거에요

2024.01.07

ㅋㅋㅋㅋㅋㅋ 어이가 없네 위에사람들 ㅋㅋㅋ 읽는다의 의미를 잘모르죠? 정확히 말해줄께요. 글쓴분 위치에서, 번역기 도움없이 하루 온종일 걸리시고요, 내용 제대로 이해할려면 약 4번 이상 반복해서 읽으셔야해서 최소 4-5일 걸립니다.

2024.01.08

석사 1년차면 1편 읽는데.. 2시간?? 힘드시겠어요..첨부터 끝까지 다 읽겠다는 생각을 버리세요.. 논문 읽는것도 스킬입니다.

2024.01.08

한 문장을 읽어도 읽는 사람마다 그 속에서 가져가는 정보량이 달라요. 처음부터 속도 내려고 하기보단 놓치지 않고 온전히 모든 정보를 가져가는데 집중하는게 더 중요한거 같아요. 숙달되면 버릴 정보 버리면서 속도는 조절가능합니다. 2-3시간만에 읽어봤자 중요한 인사이트 다 놓치고 읽으면 그냥 아무 도움 안됩니다. 논문을 읽는 이유를 생각하세요. 논문 쓸때도 도움 더 됩니다.

2024.01.08

절대적인 시간 이외에 정보가 넉넉치 않아 일반화 하기 어렵겠지만, 제가 만난 새내기 원생들의 경우 논문 읽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글쓴분이 같은 타입이라고 확정할 수 없겠지만 논문을 책처럼 한문장 한문장 정확히 해석하고 넘어가시는건 아닌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물론 모든 문장을 잘 이해하는것이 기본이지만 논문에서 제시하는 문제, 해결방안, 적용방법, 결과 및 유의성 등은 논문을 세세히 뜯어보지 않고도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이 있으신지요?
대충 읽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논문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미리 파악하고 전체 글을 읽게되면 논지의 이해와 문장의 중요도를 구분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결과적으로 실력이 향상되게 됩니다.

스스로의 실력을 자책하지 마시고, 차근히 다시 살피시기를 바랍니다. 본인 지능을 의심할수록 한문장 한문장 잘 해석하려는 악순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나아지기 위해 미련하게 우직하게 나아가고 계신 모습에 박수를 보냅니다.

물론 전자과 출신으로 조금 부족할 컴공 지식을 평소에 넓게 습득하시고 견문을 넓히는 것도 필수입니다^^ 노력하고 계시니 나아질거예요. 잘하고 계신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