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다 동문이죠 그런게 어딨어요 ㅋㅋㅋ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29 - 미국에서 석사하고, 박사는 미국 다른 곳에서 졸업했는데 두 학교 모두 동문이라면서 기부금 내라고 이메일 오네요. ㅋㅋ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29 - 잘되면 동문 안되면 동문아님ㅋ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29 - 학부때부터 그러는데 석사 과정때는 엄청 스트레스 주겠네요...탈출하세요..!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4 - 저도 개인적으로 "무조건 한 공간에 모여야 한다." <- 이 관념을 싫어합니다. 모여서 정말 의미 있는 일을 할 게 아니면, 단순히 모이는 것 자체만으로는 무엇도 보장되지 않으며 시간만 빼앗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일 거면 정말 의미 있게 모여야 합니다.
하지만 항상 근무시간을 항상 의미 있는 일로만 채우기가 힘듭니다. 교수님 말씀은 오래 있다 보면 의미 있는 일을 할 가능성도 늘어나니 더 열심히 일하자는 개념인 거 같은데요. PI로서 그다지 좋은 방향 제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일단 지도교수님이고, 실제로 평균 실근무시간에 큰 변동이 없고, 석사로 전환하기 전에 탈출할 기회가 있다면... 그냥 군말 없이 "네"하고 받아주세요. 좋은 관계로 마무리해야 추천서도 받고 취업을 하든 타대에 진학하든 하죠.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30 - 자자 혹시나 싸우시지들 마시교
한국도 이런 연구중심 대학이 여럿 생겨나고 성과를 내는거에
다들 박수 쳐주고 응원해주고 같이 잘해봅시당
미국처럼 아이비 리그 아녀도 명문대로 뽑히는 대학들이
많이 생겨나면 좋겟네요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8 - 컴활이 졸업요건이면
지잡인가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17 - 팩트는 ky랑 디지되면 ky가지 누가 디지갑니까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1 - 디지스트는 규모가 작고 연구실적의 양은 적어도 질높은 연구실적을 잘 내고있는거고
연고대는 규모가 크고 다수의 연구실적을 내는걸 잘하는거라서 서로 다른거라 봅니다.
누가위네 따져봤자 뭐가 중요함? 따지는 사람들 1저자는 제대로된 저널에 1편이라도 있는지 궁금함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14 - 그정도 했으면 미팅도 들여보내줄법한데 답답한 실험실이네요 ㅋㅋ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28 - 교수된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미팅을 참여 못하게 하는게 아니고 일부러 안하게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혹 학부생 입장에서 너무 빡빡해보이면 좋은 학생 도망갈까봐 + 대학원과정 학생들이 후배 들어와있는데 털리는 모습 보이면 자존심 상해 할까봐.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25 - 현직 교수입니다. 어떤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 학생이 학문.연구.공부를 대하는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설령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더라도 제 시야에서 진실된 태도로 임한다면 논문 하나 더 찾아주고 책 챕터하나 더 보여주고 하고 있습니다. 발전 가능성이 보이니까요. 능력이 좋아 투자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결과물을 가져오는 학생의 경우, 결과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하지만 마음이 가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 잘할수 있는 게 보이지만 학생 스스로 판단하여 본인만의 한계를 만든다면, 그냥 뭐....그 정도 애구나 생각하는거죠. 학생의 육성 관점에서, 실적/실력보단 태도를 더 가중치 둡니다.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11 - 한국은 학부 간판이 무슨 임용 보증수표마냥 생각하는 듯. 학부가 서울대라면 임용에 여러모로 장점이 있겠지만, 서울대라고 해서 다 교수가 되나요? 서울대끼리 경쟁하는 건 생각도 못하시나? 의대 입학하면 다 쉽게 돈버나요? 의대생끼리 경쟁해서 비인기과 받으면 적성 맞지않아서 평생 고생하고 마음고생합니다. 웃긴게 학부가 낮으면 대단하다고 생각하기보단 어떻게 저 자리를 갔을지 의심부터하는 후진국 마인드. 경제 선진국이라 셀프 위한하면 뭐합니까? 교수를 지원하거나 현직들도 이런 고등학생 입시같은 생각을 평생 떨치지 못하는데요. 중고등교육도 문제이지만 대부분 대학교를 진학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교수들이 제일 문제임. 교육철학은 무슨, 학생들이 과거의 본인모습, 미래의 에이스가 아닌 그저 본인 노예정도로 생각하지. 이런거 보면 간판 다 필요없음. 교수판에서 어떻게 사탄들에게 세뇌 당하지 않고 당당하게 소수로 살아남는지가 핵심임. 학부간판이 그렇게 중요하면, 서울대에서 다 학부 졸업하고 자대에서 편하게 다 박사를 받지 왜 유학을 하겠어요? 그리고 교수가 그렇게 좋은 직업인데 왜 낮은급 대학을 갔는데 재수삼수 아니 10수를 안하나요? 그냥 본인이 말하는 것부터 다 모순덩어리임. 스스로 생각 좀 하고 삽시다
일찌감치 교수직 마음 비우고 다른 길도 생각하면
16
수의대 대학원
2024.01.21

분야를 넓게 보다 보니 수의대 대학원도 알아보고 있는 중인데 수의대면 연구 주제나 대상이 거의 동물로 한정되어 있을까요?
연구실 홈페이지 둘러보니 그런 곳도 있고 아닌 것 같은 곳도 있어서 헷갈려서요 ㅠㅠ
찾아보니 연구 주제가 흥미롭고 교수님도 괜찮으신 것 같은데 동물 연구를 하고 싶었던건 아니라 섣불리 결정하기가 어렵네요… (개, 말 등 연구 대상이 딱히 명시되어 있지 않음)
예를 들면, 관련 연구 주제나 교수님이 괜찮다는 전제 하에 생화학을 배우고 연구하고 싶은데 수의생화학 연구실에 가는 건 너무 벗어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지인 통해 들어보니 소속만 수의대이고 사람 관련 연구하시는 분도 계시다는데 그럴 수도 있는건가요?
혹시 수의대 대학원 다니시는 분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대학원에서 과제란 도대체 어떤건가요? 김GPT 12 10 3412
대학원 제의 김GPT 0 12 8674-
31 18 11376 -
1 8 4773 -
1 18 3725
자대 연구실 1달차 취업 런 김GPT 3 8 3759
연구가 저랑 맞는지 어떻게 알까요? 김GPT 2 12 2645
의과대학 대학원 진학은 괜찮을까요? 김GPT 0 11 1401-
0 15 3585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316 36 66765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214 33 25900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31 23 6252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7 - 카이스트 컨택 없이 지원
9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식대관해서 말 많은데
18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0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4 - 가장 큰 문제는 재미있는 과제들이 없단 거임
22 - 카이스트 바뇌과 붙었네요
7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0 - 박사 2년차 무실적이면 평균이하인가요
11 - 대학원 생각을 안 하다가..대학원 가기로 결정하였습니다.
11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8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1 - 장학금, 인건비 안 줘도 되니까 직장병행
10 - 로보틱스 하시는 분 계신가요?
12 - 카이스트 vs 서성한 하닉계약학과
26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4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2 - 일찌감치 교수직 마음 비우고 다른 길도 생각하면
7 -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9 -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7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9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1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7 - 카이스트 컨택 없이 지원
9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식대관해서 말 많은데
18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0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4 - 가장 큰 문제는 재미있는 과제들이 없단 거임
22 - 카이스트 바뇌과 붙었네요
7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0 - 박사 2년차 무실적이면 평균이하인가요
11 - 대학원 생각을 안 하다가..대학원 가기로 결정하였습니다.
11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8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10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37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1 - 장학금, 인건비 안 줘도 되니까 직장병행
10 - 카이스트 vs 서성한 하닉계약학과
26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2 - 일찌감치 교수직 마음 비우고 다른 길도 생각하면
7 -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9 -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7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9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1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2
2024.01.21
대댓글 1개
2024.01.21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