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수준 낮은 질문입니다만

2024.02.03

12

1543

기존 물리학 전공자입니다.
3학년 마무리하고 컴공으로 편입했습니다
컴공이 취업하기 유리할 것 같아서 선택했습니다만
3년이라는 시간을 물리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이를 컴공과 융합해서 시너지를 내고 싶습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하고 계신 분 있으신가요?
어떻게 기존 전공을 활용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2.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두 전공을 융합할만핰 상황은 많지 않습니다. 그 풀이 넓으면 모를까 너무 한정될듯 하고요.
한쪽으로만 나아가세요

대댓글 1개

2024.02.03

네 조언 감사합니다!

2024.02.03

윗 댓글 모르는 소리.. ai 쪽으로 가면 엄청 많습니다
요즘 ai+물리, 화학, 재료 등 다른 학문과 융합하는거 대세에요
특히 물리는 컴퓨터 계산이 많은 학문이라 시너지 엄청 납니다

대댓글 2개

2024.02.03

계산물리 하시는 연구실에서 ai안하는 랩이 얼마나 될까...ㅋㅋㅋ 진짜 윗댓은 뭔소리인지 ㅋㅋ

2024.02.03

감사합니다

2024.02.03

양자역학 배웠으면 양자 컴퓨팅 함 해보세요. 연대 통계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박경덕 교수님 홈페이지 한 번 가보세요. 물리학 박사인데 양자 컴퓨팅 분야로 딥러닝 연구 하세요.

대댓글 1개

2024.02.03

오 고맙습니다 찾아봐야겠네요!!!

2024.02.03

재료과에서 전자구조 계산하는 사람으로, 최근 트렌드를 보면
재료분야에 AI를 활용해서 이것저것 많이 하고있는 분들이 꽤나 많이 보입니다.

근데, 이게 진입장벽이 더럽게 높은 분야인지라
AI의 발전 속도에 비하면, 약간 뒤쳐져 있다? 라는 느낌이 듭니다.

그도 그럴게, 안그래도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인데
( 재료에서 계산 과학 => 물리학 + 재료과학 + 코딩 약간 )
AI 까지 새로 공부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물리학 베이스에 컴공이면 요즘 시대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조합이 아닐까 싶네요 (적어도 계산 과학 분야에서는)

MIT의 그로스만 교수님 - CGCNN 논문 [ Phys. Rev. Lett. 120, 145301 (2018) ]
한번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어떤식으로 실제 재료 연구에 AI가 활용되는지 한번 보시면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2.03

잘 읽었습니다 방향성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추천해주신 논문도 꼭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2.03

tensor network

2024.02.03

통계물리 분야는 AI 그 자체를 연구하는 사람도 많고, 전산과학과 크게 구별되지 않아 컴공쪽 진로를 살리기 가장 좋습니다.
저희 과 통계물리 전공 학생들은 모두 네이버, 토스, 카카오 등 IT회사와 금융권으로 취업했습니다.

윗 분들 말씀대로 고체물리 분야에서도 AI를 접목한 DFT계산이라던지 코딩과 AI를 강력한 연구 툴로 사용하시는 교수님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 쪽 학생들은 재료나 화학, 배터리 회사로 많이 취업하더라구요.

광학 분야같은 경우는 박막구조가 아닌 이상 시뮬레이션 자체가 고난도입니다. 코딩 잘하는 친구들은 귀족대접 받습니다.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역설계나 인공지능 기반 설계의 도움이 절실한 분야이기도 해서 컴퓨터 지식이 뛰어난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필요한 분야이기도 합니다. 산업 수요도 가장 많다고 생각합니다.
고체물리쪽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수요가 제조업 기업에 몰려있어 CS분야에 비해 만족도가 낮을 수 있으나, 컴퓨터와 물리를 모두 잘하는 사람은 제조업 기반 회사에서 귀족대접 받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2.03

댓글쓴 분 덕분에 여러가지 방향성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