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불쌍한 중생을 위해 질문받음 AI관련

2024.03.01

40

2067

카이스트 컴퓨터비전 프레쉬박사
탑티어 컨퍼 10개, 1저자 7개

대학원입시, 분야, 인턴 등등 각양각색 질문받음

정보가 없어 고통받던 내 옛날 생각이 나 올려봄

조용히 물어보고싶으면 오픈채팅도 가능

https://open.kakao.com/o/ssk6X9cg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0개

2024.03.01

google scholar 기준 h-index 및 citation몇개인가요? invited talk 경험 있으신가요?

대댓글 4개

2024.03.01

정확히 거기까지는 알려드리기 좀 그런데 피인용 500은 넘습니다
톡 경험은 없네요

2024.03.01

1저자 JCR기준 Q1몇개신가요?

2024.03.01

눈쌀 찌푸려지는 영양가 없는 질문 왜 하는 거지

2024.03.01

7개 다 학회논문이라 jcr저널기준으로는 잘 모르겠네요 7개 다 메이저학회 (CVPR, NeurIPS, ICLR , ICML, ICCV , ECCV ) 안에있습니다
IEEE 저널 논문도 하나 있긴한데 비전쪽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않아서 안셌어요

2024.03.01

학부 석사는 어디나오셨나요!!

2024.03.01

컴공한테 Q1 저널을 묻고있누

2024.03.01

한국외대에서 AI융합대학을 신설해서 올해(24학번)부터 신입생을 받던데 전망이 어때보이나요?

대댓글 1개

2024.03.01

글쎄요 신임교수님들을 어떻게 잘 뽑느냐에 따라 다를것같네요

2024.03.01

취업 어디로함 & 급여는?

대댓글 2개

2024.03.01

거기까진..

2024.03.02

그럼 현재 아니면 앞으로 미국 vs 한국?

2024.03.01

AI분야 중 컴퓨터비전의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누구는 포화라 하지말라하고 누구는 나쁘지않다고도 하는데

대댓글 1개

2024.03.01

포화인것같은데 매년 시장이 커져서 연명이계속 되는거같아요

2024.03.01

선택 가능 하다면 빅테크취업 or 교수?

대댓글 1개

2024.03.02

빅테크

2024.03.01

그정도 실적이면 프레시박사 연봉 어느정도되나요?

대댓글 3개

2024.03.02

국내기업은 실적 좋으나 안좋으나 거기서거기던데 ㅋㅋ 왜이래살았나싶음

2024.03.02

형님 진짜 실적 좋으나 안좋으나 대우가 거기서 거길까요...? 탑티어 1저자 7개면 대한민국 탑이어잖아요...

2024.03.03

일단 7개따리로 탑 절대 아니고 국내기업은 ai 박사 연봉테이블 거의 고정으로 알고있음 스타트업같은데는 좀 다를수있는데 대기업은 거의 비슷한듯

2024.03.02

후배에게 국내 탑랩 박사 vs top 20 미박 유학 중 어느 길을 더 추천하시나요?

대댓글 1개

2024.03.02

해외취업 생각 있으면 미박.
교수생각 있으면 모르겠음 어차피 자기가 실적쌓는거라

2024.03.02

혹시 oral 논문은 몇편 있나요?
취업 혹은 임용 시 Oral과 포스터의 차이는 어느 장도일까요?
감사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3.02

개허접박사라 오럴이없음. 취업시에는 큰차이 없는거같은데 임용될때는 가산점이 확실히 있다고들음

2024.03.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내 ai 회사 삼성리서치 lg ai 네이버클로바 들이 ai박사 연봉 영끌 1.5억 맞춰준다는데 사실인가요?

대댓글 1개

2024.03.02

몰루? 사바사라 ㅋㅋㅋ

2024.03.02

엄청나시네유. 저중 석사때 탑컨퍼 몇편 쓰셨나요? 1편도 빡신거같은데 저리 많이..ㄷㄷ

대댓글 1개

2024.03.02

석사때 한편도 못쓰고 다 박사때씀. 석사때는 2티어랑 저널만있었음

2024.03.02

Gaussian splatting, sora 이런거 보면 한국 AI 수준 어떤 것 같나요? detection이나 nerf 계열은 월드 레벨에서 경쟁 개빡세고, 삼성이나 ETRI 등 5년치 연구계획서 쓰는 단계 또는 초기 단계에서 이미 엔비디아나 빅테크에서 완성 단계 모델 나오는거 보면 한도끝도 없이 따라가야만 하는 걸로 보이는데.. 물론 작성자 님은 월드레벨이 맞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3.02

한국 AI수준은 학계로 보면 선방, 인더스트리는
ㅈ망
극히 일부회사 몇개 팀 빼고는 인더스트리에서 AI 선도하는것 없음. 그 일부회사도 딱히..
그냥 전략바꿔서 콩고물 잘 주워먹는식으로 진화해야?

2024.03.02

형님 박졸 하시고 job 구하실때, 탑티어 7개면 해외에서 구할만 하신가요?

대댓글 2개

2024.03.02

그리고 요즘 컨퍼런스나 arxiv에 논문들 미친듯이 쏟아지는데, 논문 어떤 기준으로 읽으시고 얼마만큼 읽으시는지 궁금합니다

2024.03.03

관련된주제 논문 구글에서 추천해줌 ㅋㅋ 그거대충보고 읽고 탑티어 학회 논문 공개되면 키워드 쳐서 다읽어보고
해외 잡 구할때 중요한게 인턴경험 레퍼럴이라 논문만 많다고 다되는건 아닌듯 난 심지어 인턴도 가봤는데 잘 안됨

2024.03.03

와 단독 1저자 7편?

대댓글 1개

2024.03.03

공1도 한두개있음

2024.03.03

국내 AI 박사기준 탑티어 최소 몇 편 쓰면 적당한 실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작성자분 처럼 많으면 좋겠지만 지방대에서 혼자 박사를 시작했는데 일반적인 국내 AI 박사들 수준이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3.03

솔직히 이제 시작하는분들은 못해도 두세개 써야한다고 봅니다.
논문개수가 어마어마하고 국내에서도 잘하는분들이 정말많더라구요

2024.03.03

4학년 올라가는 YK CS 전공하는 학생이고 카이AI
석사 희망하고 이후 미박을 계획합니다

1.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학부연구생레벨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을 알려주실 수있나요?

혼자 개인 연구한 기간이 좀 있는데 사수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사수분들과 졸은 관계를 유지하고 연그에 최선을 다하고 싶습니다

2. 석사 때 연구실적을 탑티어에 내고 싶은데 주변 후배분들은 어떻게 하신걸까요? 정말 사수 도움없이 혼자서 하는걸까요?

대댓글 1개

2024.03.03

사수의 도움없이 내는게 불가능하지는 않은데 사수를 끼고 하거나 사수와 함께 논문 도움을 받아 작성하면 속도와 확률이 훨씬높습니다.
능력이 엄청 뛰어나면 사수 도움 없이도 가능하지만 많지않구요. 논문을 쓰는거랑 결과를 내고 실험하는거는 다르기때문에 논문퍼블리쉬를 해본 사수의 경험이 엄청나게 도움이 됩니다

진학에서 제일 도움되는건 학점이구요 연구실 인턴경험이 있으면 더좋습니다

2024.03.10

선배님 학부 인턴으로 어필될만한 경험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덧붙여 영어로 발표 혹은 회의? 할 일이 종종 있으신가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