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지식을 말하면 특정될거 같아서 정확한 용어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교수님께서 장치 A와 B의 차이가 무엇이냐고 물어보시던데 A와 B의 토대가 되는 시스템의 수식이 다르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교수님께서는 A와 B가 내는 결과물이 다르다고 대답하셨습니다.
주변에서는 저놈 뭐냐는 눈빛으로 저를 쳐다보더라고요. 교수님께서 이분야 공부좀 했냐고 물으시길래, 저는 무안해서 그냥 전공책 조금 본게 다라고 대답을 했습니다.
수업이 끝나고 교수님께 찾아가서 제가 설명을 너무 간추려서 말한거 같은데 혹시 답을 잘못한겁니까 라고 물어봤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자네가 시스템에 대한 특징에 대해 말하고자 한걸 이해했다고 대답 잘한거라 하셨습니다. 이 시스템의 수식이 어떻게 유도된건지 아냐고 설명까지 해주셨습니다.
어쨌든 한편으로 안도하면서 연구실로 갔는데 연구실선배가 저를 붙잡더니 교수님이 수식 다른거 몰라서 물어봤겠냐고 강의때 엉뚱한 소리나 하면서 연구실 망신 좀 시키지 말라고 했습니다.
저는 그 당시 제가 한 대답에 대해 역지사지를 하면 언뜻 듣기에 엉뚱하다는 여지가 있는것 같고 청중의 반응을 보면 나름 일리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질문을 한 당사자가 제가 대답을 잘했다고 말했으면 내가 답을 잘한건데, 그럼 내가 왜 풀이 죽어야하나 싶습니다.
평소 유별나단 말을 곧잘 듣고살긴 하지만 마냥 사리분별도 못하고 살진 않은것 같습니다.
이젠 어느쪽 말이 맞는지 조차 모르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3.10
평소에 말재주가 없다는 소리를 듣고 살지만 글쓰는 걸 보면 교수님들도 나름 논리적이고 똘똘하다는 말씀도 하시곤 했습니다.
이번처럼 반응이 극과 극으로 갈리니 뭐가 맞는지 판별도 안되고 왜 이런거로 골머리 썩혀야 하나 싶습니다.
주변에 말해봤자 어차피 내가 듣고싶어하는 답 골라들을거고 너가 옳다는걸 증명하고 싶어서 묻는거냐는 소리만 할거같아서 어디서 묻지도 못하겠습니다.
조언좀 구하겠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3.10
듣고싶은 조언이 뭔지 적어놔야 조언좀 구하겠습니다 에 대한 대답 을 해주죠. 인간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는 크게 의사소통의 문제입니다. 목표 관계 자존심 이렇게 3개 카테고리만 잡고 말하세요. 그 의외는 말하지않으면 관계에 스트레스는 안받을 겁니다.
2024.03.10
제가 아는 범위내에서 추론해서 말한거니까요 그리고 살다보니 쿠션어가 좀 필요합니다. 제가 아는 한은 ~이렇습니다. 아니면 제가 여기에서 이걸 말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 등등 . 그리고 사람이 사람을 싫어하면 조금이나마 트집을 잡고 싫어하는 인간들이 있는데 그 사람들 그릇이 원래 작은 겁니다. 안그런 사람들이 더 많아요
2024.03.10
어떻게 생각해야 좀 마음이 편해질까요
2024.03.10
둘 중 한명의 말을 믿느냐 마냐 하는 문제씩이나 되지 않는 것 같은데요? 물론 전후상황을 잘 모르지만 대충 짐작해보자면 수업시간에 다소 핀트에 빗나가는 (그래도 왜 그런 대답을 했는지 이해는 되는 정도의) 대답을 했고, 교수는 그럴 수 있다고 격려해준거고 선배는 핀트 잘 맞춰서 대답해야지, 하고 꼽을 준거고. 같은 사건이어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를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거랑 별개로, 수업때 잘 몰라도 일단 대답하는 태도 자체는 좋다고 봅니다. 배우는 입장인데 틀릴 수도있죠.
대댓글 1개
2024.03.10
여기서부터는 그냥 제 뇌피셜로 하는 오지랖인데, 보통 후배가 수업시간에 대답 좀 잘못했다고 연구실 망신을 시키지 말라느니 하지는 않습니다. 가능성이 두가진데, 선배분 성격이 보통이 아니시거나 평소에 뭔가 맘에 안드는 점이 있었거나 인 듯 해요. 이 짧은 글로 다 아는듯 말하기 좀 미안합니다만, '팩트냐 아니냐' 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지 않은가 싶습니다. 그런데 인간관계에서는 참이냐 아니냐가 중요하지 않을 때가 있잖아요? 그냥 각자의 의견이 있는 것이다, 라고 생각해보면 마음이 좀 편해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024.03.10
누구를 믿어야할지 정답이 있는게 아닙니다. 본인이 그냥 생가하고싶은대로 하세요. 유일하게 믿어야 할 사람은 자기자신 뿐입니다.
2024.03.10
교수입장에서, 저렇게 라도 수업에 참여해주시는 학생을 아주 많이 더 선호합니다
2024.03.10
꼰대 선배를 두셨군요
2024.03.10
누구말을 믿을지는 본인 선택입니다만, 대학원생은 본인의 생각에 대해 확신을 갖고 방어하는 것도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24.03.10
결론, 교수도 선배도 다음주쯤에는 이런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지 못함. 아무것도 아닌거임 그들에겐.
2024.03.11
질문하는걸 두려워하지 마세요. 상대에게 공손한 태도로 본인의 궁금증에 대해서 질문하는걸 눈치 볼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인들이 대체적으로 질문하는걸 발표자에게 부담 주는 거라 생각하는데 정말 잘 못 된 생각입니다.
2024.03.11
묻고 답하고 자신의 생각을 얘기하는건 공부/연구의 기본입니다. 수업시간에 이런걸로 눈치주는 사람들이 잘못한거죠. 틀리고 맞고를 떠나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 자체가 중요합니다. 심지어 경험이 많은 교수님들도 하시는 말이 항상 정답은 아니기에 모르면 찾고 공부하고 물어봅니다. 틀리더라도 말하고 배우는게 낫지 모르는걸 그대로 두면 발전 없습니다. 잘 하셨습니다.
2024.03.12
대답이 정답인지 아닌지는 당연히 문제거리도 아니고, 교수가 물어본 것에 자기 의견을 낸 것 가지고 나대지말라 발목 잡는게 정말 웃기네요. 교수 의도에 벗어나는 답을 이야기해 연구실 망신 시키는게 그렇게 싫으면 자기가 먼저 나서서 정답을 이야기하든가.
2024.03.12
그 선배가 글쓴이 분에게 나대시는 중이시네요. 저 수업중 일어난건 글쓴이는 잘못이 없어요.
교수도 질문을 포괄적으로 했으니 학생이 교수 의도와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호응 유도차 포괄적이고 가볍게 질문 하는 편이라 답변도 여러 각도에서 보는 시각이 나오는 편이에요.
2024.03.10
대댓글 3개
2024.03.10
2024.03.10
2024.03.10
2024.03.10
대댓글 1개
2024.03.10
2024.03.10
2024.03.10
2024.03.10
2024.03.10
2024.03.10
2024.03.11
2024.03.11
2024.03.12
202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