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여기 글들 펙트임?

2023.09.15

22

5377

Sh에서 박사중이고

우리 연구실 선배님들
지거국 교수도 됐고, 정출연, 삼성 등등 퍼져있음.
주변 연구실 친한 선배는 지금 ist로 교수 가있고.
근데 여기서 선배들한테 못들은 이야기 들이 여기 너무 많아서 내가 세상을 모르는 건가 싶음.

여기 글들 보면
1. 지거국 교수들 spk 박사들 한테 열등감 느낀다?
-> 선배는 spk, 해외 박사들 경쟁 뚫고 미국 포닥에서 경력
잘쌓아서 임용 됐음. Spk 박사에 대한 열등감은 1도 못볼 뿐더러, 본인 연구 생각 뿐이던데 여기 글들 보면 혼란스러움..

2.spk 아니면 교수들이 떠먹여준다?
-> 내가 당하고 있는 지도는 뭐임? 맨날 맨땅에 헤딩하면서
울고웃고 하는데 이런 글 보면 그냥 헛웃음 나옴.

3.spk랑 sh랑 박사 연봉이 다르다?
->이건 나도 선배들한테 자세히 안물어봐서 모르겠음.

4.사회 인식 자체가 다르다?
->물론 이 연구분야 전혀 모르는 사람들은 그럴수 있다 보는데, 어쨌든 학계에서는 서로 다 알지 않나? 저 사람 잘한다 못한다... 연구하는 사람들이 왜자꾸 사회 인식으로 박사의 실력의 중요성을 등한시하는지 모르겠음..

5. 정출연에서 현직? 이라는 분이
Spk랑 그외랑 일하면 티가 난다는데 이것도 어떤 부분에서 티난다는지 의문임.. 나도 skp나 해외 여러 박사생들과 일하지만, 정발 케바케 아님?

물론 최고점이 되려면 좋은 곳 가야한다 생각하고
거기에는 spk가 많다 하지만,
Sh에서도 못할건 전혀 없다 보는데(실력 되면)

여기 spk랑 나머지 인식보면
내가 연구 인생 헛으로 살고있나 싶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체한 루이 파스퇴르*

2023.09.15

3은 ds쪽 간 사람에게 듣기로는 spk만 과장부터 (정확한 직급 내부에서 뭐라고 하던데 까먹음) 시작하고 나머지는 한단계 밑에서 시작한다고 하더라고

그래서 연봉에서 차이가 날 듯

대댓글 9개

2023.09.15

대기업에서 그사람 능력으로 안가르고 단순 박사학위로 직급부터 가른다는건 좀 충격이네.. 학부도 아니고 박사인데..

2023.09.15

그거 10년 얘기..

2023.09.15

10년전
자상한 아담 스미스*

2023.09.15

옛날에는 해외박사/국내박사로 나누다가 나중에는 해외+spk / 그외 국내박사로 그렇게 나눴었음.
15년, 16년에도 그랬는데 지금은 모르겠네.

2023.09.15

ㅇㅇ 맞음 spk 6년차 이상부터 과장급 cl3이고 나머지 국박은 대리급

2023.09.15

제가 좀 찾아보니까

예전에는 그랬던것 같은데
최근에는 박사 연차수와 전공이 얼마나 적합한지, 학생의 능력등을 고려해서 과장 대리 나눠서 주는것 같습니다. 물론 spk는 높은 직급 받는건 맞는것 같네요.

http://emsel.khu.ac.kr/index.php?page=view&pg=1&idx=863&hCode=BOARD&bo_idx=1&sfl=&stx= 여기보면 경희대 박사도 졸업하자 마자 과장으로 가네요.

2023.09.15

그리고 삼전에서 오래 일하신 분이 쓰신 글 보니까

1. 회사와의 업무 적합성이 좋아야 좋은 대우 받고
2. 학교와 상관없이 성과 좋은 사람이 잘나간다 합니다.(물론 좋은 학교 사람들이 잘하는 경우가 많겠지만, 학력이 전부가 아니란 뜻 같네요)

https://m.hibrain.net/braincafe/cafes/38/posts/208/articles/415860?pagekey=415860&listType=TOTAL&pagesize=10&sortType=CNT&limit=50&displayType=TIT&siteid=1&page=1

2023.09.16

지금도 알게모르게 인사팀에서 따로 리스트 빼서 관리함

2023.09.17

Spkyk ist 아닌데 울 연구실 선배 졸업하고 과장급으로 갔는데
눈치보는 맹자*

2023.09.15

다른건 모르겠고 1번 4번은 말같지도 않은 헛소리임. 학계 커리어로 진입한 순간부터는 당연히 어딜가든 학문적 성과로 평가함. 어느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느니, 학부가 어디니 따지는 사람은 아직도 지능이 고딩입시때에 머물러 있는 저능아 취급 받는게 현실임. 방구석 찐따들이 본인 연구는 안되는데 주변에 지보다 못나 보이는 애가 연구로 잘나가고 하니 열등감에 인터넷이라고 아무똥글이나 싸지르는거임. 신경쓸 가치도 없음.

2023.09.15

일던 여기 대부분 학부생임

2023.09.15

2번은 SPKYK얘기했었고, 본인은 YK학석박
SPK YK SH 내려갈수록 교수 개입이 일반적으로 커지겠지만 큰 차이는 없다고 봄.
YKSH을 지거국이나 지사립(YK지방캠) 정도랑 비교하면 뚜렷한 차이가 남.
일단 학생이 논문을 제대로 못적음 (논리력이든 글구성이든 영어실력이든) 그래서 교수가 처음부터 끝까지 다 고치든지 해서 논문 써줌. 근데 지방대 학생들은 본인이 초안 쓴걸 교수가 피드백 해준거니 본인이 논문 쓴거라고 착각을 함ㅋㅋ
내가 진짜 많은 사람 봐왔는데 교수가 논문 써준 애들 졸업하고 다 빌빌댐ㅋㅋ

2023.09.16

여기는우물한개구리들이 자기만이 옳다고 짖어대는 곳이기 때문에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2023.09.16

포닥은 spk든 어디든 사실 지도교수의 추천이나 학진 등의 장학금 유무가 훨씬 중요합니다.
저도 탑대학이라고 해야할지, 탑오브탑대학(MIT 버클리 스탠포드) 아랫티어라고 해야할지 모르는 곳에서 포닥했지만, 주변에 포닥온 한국인들 생각보다 학교 정말 다양합니다. 쉽게말하면 지거국이나 분교 박사출신들도 동학교에서 포닥하고 리턴후 교수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그중 지도교수가 공동연구하면서 사실상 펀딩을 대주는거라서 거의 꽂아준것과 같은 경우도 많아요.
풀펀딩 해외포닥은 여튼 국내대학 순위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는 spk학석박이지만, 말씀드린것처럼 다양한 학부/대학원 출신들 만나봤지만, 얘기하다보면 학부/대학원에 자격지심있는경우 꽤나 빈번하긴 합니다. 한양대, 성대만 해도 충분히 좋은학교기에 그런걸 크게 느끼진 않을거에요.

2023.09.17

아무도 신경안씀 그냥 본인만 잘하면됨

2023.09.17

학부 spk는 좋은데 솔직히 대학원은ㅋㅋ
Y학부출신 입장에서 그냥 대학원 올려치기는 학벌세탁으로밖에 안보임

대댓글 1개

2023.09.17

대학원 학벌이 실력을 20%라도 커버쳐줄수 있으려면 미국 Top10, Top20은 가셔야함

2023.09.18

3번은 3년전까지 참이었음. 지금은 몰?루.

spk아니었어도 한급 더받고 간사람도 있고 반대도 보기는 함.

근데 1년 차이뒀던거는 대략적으로 그랬ㅇㅇ

2023.12.17

먼소리여 우리랩실 선배 국립대 박사하고 삼성과장인디

2024.06.13

그래봤자 다 노예임 뭘그리 고급스럽게 얘기들함 노예들끼리

2025.04.28

분야마다 상황마다 다 달라요 오키? 일반화 하기 어려운게 학계이고 취업시장임. 그리고 님은 일반화에서 평균값이 아닌 outlier 일수도 있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