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4 - 그분 어글리 코리아네
소국민 주제에... 대국에 가서 몬소리임...
조지아텍 수준이 어떤가요?
11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20 - 억 넘는거받고 하는거대비 편하다 이런 얘기 안했으면 합니다. 가성비 떨어지는직업인건 하브넷만가도 널려있어요. 다들 그정도받는거 이상으로하고 기업가도 국내외 2,3억은 받는사람 천지인데, 그럴듯한 인정 명예로 편한직업처럼 포장하는거 불편합니다. 여기 대학원생들 많을텐데 대충해도 인정받는다는거 여론몰이 아닌가요?
학교분위기마다 다르다는거 압니다. 현실을따져도 그리고 적어도 저희는 지금이 위기로느끼고 최대한 조교수포함 공격적인 운영을해나가고있습니다.
말씀하신거처럼 극단적인 예시는 루팡하는 교수들아닌가요? 회사에도 물박사들 많은데 그것처럼 일반적인 교수들 욕먹이지마세요.
본인이 저 루팡 계열에 없으시면 이런글 올리지마세요. 동료교수들끼리도 저런글 올리면 박수치고 호응해주는지 궁금하네요!
교수 삶이랑 월급에 부정적인 얘기 많은거같은데
10 - 바꿔말하면 그 상위 0.1%빼고 나머지 99.9%는 잘 먹고 잘 살기 어렵다는거네요. 그러니 다들 돈 얘기만 하죠.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0 - 그래도 시도할건 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엄연히 [불법] 이민자를 싫어하는것이지, [합법]적인 이민자를 반대하는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보면 [합법적]인 절차만 누가봐도 명료하게 만들면 (힘들겠지만요) 그것만 명료하다면 유학이나 포닥은 또 명료해지는것 아닐런지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4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9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7 - 헤르츠씨는 프로젝트와 펀딩 예산 삭감과 구조조정이 뭔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있는것 같은데, 익명커뮤에 분탕치러온 대학원과 미박과는 영 관련없는 분 같네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0 - 뭐가요?진지한데 어설프게 공감하지 말아주세요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6
논문 출판하면서 사소한 과정들이 정말 비효율적(?)인것 같습니다..왜 그럴까요?
2024.03.16

서브미션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느낀 점인데...
뭐 어떤 기술적인 이유가 있어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저널은 각종 출판사가 있죠?
Nature, Elsevier, Oxford, SpringerNature 등...
근데...어차피 같은 출판사를 경유하면 계정 하나만 파서 submission 할 때, 저널지 지정 후에 하는 방식이 안되는걸까요?
새 저널에 낼 때마다 새로 아이디를 파야하는 것도 이게 디게 번거롭네요.
그리고 accept되고나서도 이거 환장하겠네요.. 이것도 적어도 1저자한테도 메일을 쏴줘야하지않나 싶습니다만
첫번째 논문은 교신저자가 두 분으로 지정되있었긴한데, 저희 교수님에겐 메일이 안 오고 다른 한 분에게만 proof 메일을 보내질 않나...
두번째 논문은 교신저자에게만 proof가 왔는데 여기는 무슨 이유인진 모르겠으나 링크가 제가 열질 못하네요...ㅋㅋㅋㅋㅋ...
교수님 이메일에 로그인 후에 거기서 링크를 눌러야될 정도로 보안이 철저한가 ㅡㅡ;;
proof 과정도 그냥 revision 파일 올리듯 editorial manager 사이트에서 들어갈 수 있게 해주면 좋을텐데요...
그런 출판사도 있을 것 같지만 지금 낸 두 출판사는 그런 기능이 없습니다..
하다보니 여러모로 ..답답하네요 ㅋㅋㅋㅋㅋ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김GPT 732 84 160754
논문 한편 완성에 김GPT 0 8 1119
이틀동안 논문을 효율적으로 읽는법 김GPT 0 3 1535
연구비 삭감은 논문표절하는곳부터 김GPT 8 4 1754
Authorship 참 어려운듯 김GPT 1 2 914
논문을 위한 논문... 김GPT 61 21 8532
으아아앙 김GPT 3 0 639
곧 논문 발표네 김GPT 0 1 548
논문 김GPT 0 1 545-
62 29 30754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63 21 43912
초보 교수의 통수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52 10 837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03.16
대댓글 1개
2024.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