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SCI 여러개 쓰기 힘들까요

2024.03.27

22

4836

타대 박사 갈 거라서 나는 남들보다 실적이 좋아야 한다, 졸업 전까지 SCI 여러개 써내는 게 목표다, 아는 형(전기전자 쪽입니다)도 석사 동안 SCI 서너개 써냈다는 것 같더라 이런 식으로 고민 상담을 했는데
주위 대학원생분들 중에 '박사도 아니고 석사가 2년 동안 SCI 2~3개씩 써내는 거 말도 안된다'고 하는 말이 많아서요

저는 AI 쪽인데 김박사넷 보면 AI 분야는 타 분야보다 논문 쓰는 주기도 짧다고 하던데 그래도 힘들까요??
(노력은 열심히 할 수 있습니다! 지금도 자율출퇴근제지만 9 to 9로 열정 가득 연구/공부 생활하고 있습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쩨쩨한 찰스 다윈*

2024.03.27

그거 아는형 본인이 한게아니라 지도교수 또는 위에 박사가 하드캐리한거임ㅋㅋㅋㅋ

대댓글 2개

2024.03.27

사업 참여 외 개인 실적용 저널/컴퍼런스는 아예 개인주의로 돌리는 랩이라고 해서 이런 건 아닐 거 같아요
쩨쩨한 찰스 다윈*

2024.03.27

아직 입학안하셔서 모르시겠지만 시스템상 거의 불가능해요. 입학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2024.03.27

역량좋으면 2편이상 충분히 쓸수있죠

2024.03.27

미국에서 유학했는데 내 분야에서는 미국 석사학생들이 SCI 논문 쓰는 경우는 진짜 거의 없었는데… 한국은 많이 다르네.

대댓글 1개

2024.03.27

한국도 분야, 상황마다 천차만별입니다.
불가능한 건 아닌데 일반적이진 않은 것 같네요.

2024.03.27

AI든 EE든 1편 쓰기도 힘듭니다. 머신러닝 쪽이 다만 리뷰 사이클이 규칙적으로 돌아서 졸업전까지 기회가 약간 더 있어요

2024.03.27

석사때 SCI 2편 쓸거면 몇년 있다가 그냥 박사 받을 수 있는거 아님?

대댓글 1개

2024.03.29

제가 그렇게 썼는데, 그런거 없습니다 ㅋㅋㅋ
새로운 주제로 리비전까지 알아서 진행했는데 박사졸업은 실력과는 상관없네요
오히려 잘하는사람들 졸업만 늦어지고

2024.03.27

제가 본 괴물같은 친구는 참여자 포함하서 17편이었어요.
석사때요.

대댓글 1개

2024.03.27

논문공장 최우수 사원

2024.03.27

착각을 하고 계신 것 같은데 석사가 논문 쭉쭉 뽑아낼 정도면 석사과정은 왜 있겠습니까... 그냥 혼자 박사하죠 일부 예외적인 케이스를 커먼하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2024.03.27

99퍼 석사는 못 씀 1퍼센트는 가능 님이 그 1퍼센트일거라는 생각들면 해보셈

IF : 1

2024.03.27

자신도 잘해야하고 + 운도 좋아야하고 + 지도교수도 열정적이면 여러개 가능

2024.03.27

할만합니다 ㅋㅋ

2024.03.27

Ai같은거는 쓰기쉽습니다

2024.03.27

신임교수님들 연구할때 석사과정들 데리고 많이하죠.
주 아이디어 교수님들이 내시고 적극적으로 보조하죠. 논문 쓸 때도 손을 많이 대시구요.
뭐 주된 역할을 하는 석사과정 학생을 1저자로 올리지만 실체는 교신저자로 들어가있는 교수님들이죠.
반대로 박사급들 어느정도 있는 랩은 더이상 석사들이 논문에 참여할 기회를 거의 얻기 힘들죠
완전 아웃스탠딩한 석사과정(학사때부터 연구 참가)가 아니면 기간내에 논문 쓰기 쉽지않아요.
물론 마이너 저널은 못할건 없죠.

무엇보다도 석사를 타대 박사로 간다는건... 그 지도교수님의 역량을 보는거지 학생의 퀄을 주로 보진 않겠죠.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논문 없이도 높은 퀄리티만 가지고 있다면 지도교수님과 이야기 잘 해보세요

2024.03.27

전기전자분야고 2020년 학위 받았습니다. 제가 박사하는 동안 석사가 sci쓰는건 1번 봤습니다. 아이디어도출-제작-실험-논문제출 까지 실수 없이 가야 10개월 정도 걸렸기 때문입니다..

IF : 1

2024.03.28

AI 옆동네 연구중인데 우리교수님 신임시절엔 선배들 석사동안 두편씩 쓰고 나감 이쪽은 내분야가 아니라서 잘모르는데 conference쪽은 일년에 세편씩도 내는것같던데

2024.03.28

박사 선배든, 지도교수님이 지난 몇년간 노력해서 이미 괜찮은 최신 연구결과를 보유하고있고 파생 연구도 가능하다면 여러개 작업할 수는 있다고 봄.
근데 석사생 혼자 잘나서는 불가능에 가깝지 않을까요. 본인도 그렇게 생각할거 같은데

2024.03.29

개인적으로 똑똑한 친구들 많이 봤지만 석사 때 본인 능력 100퍼센트로 논문 다 쓴 사람은 본 적 없습니다. 주변 도움- 박사과정 학생과 지도교수-의 도움을 많이 받았을 겁니다. 최소한 굉장히 알맞은 주제 선정을 해줬겠죠.

2024.03.29

화학소재쪽 아는 사람은 석사동안 공동저자 14편 썼고 앞으로도 주저자 포함해서 쓸 논문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하기 나름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