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한국인은 뭔가 고정관념에 싸여 공부나 연구를 해나가는거같음 .

2024.04.05

9

3284

대학원 오니 학부때 공부했던 방식이 쓰레기였다.

이런 깨달음 얻는 대학원생 많은거같은데

또 대학원은 '연구'하러 오는곳이지 '공부'하러 오는곳이 아니다.

이런 고정관념에 휩싸여 대학원을 보내려는 이상한 애들이 많네 .

공부와 연구를 분리 할 수가 있나? 내가 부족하면 학부지식 펼치는거고

모르면 알면되는건데 .

저런애들이 스펙만 좋아서 국내 교수가 되니 연구력이 안좋 은가보다 .


학부생이든 석박사를 하든 교수를 하든 정해진 틀에서 못벗어나는 ㄲㄲ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쇠약한 한나 아렌트*

2024.04.05

공부와 연구 차이점이 몬가요

2024.04.05

ㅂㅅ같음

대댓글 1개

2024.04.05

이 글이
도도한 아인슈타인*

2024.04.06

ㅈㄴ 노벨상 수상자세요? ㅋㅋㅋㅋㅋ
소름돋네 지가 맞다는 듯이 글 싸는게

2024.04.06

표현의 차이같지만,

굳이 나누자면 공부는 기존에 있는 걸 학습하는거고

연구는 이걸 이용하고 발전시켜나가서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함. 시키는대로 공부만 하던 대학교때랑은 다르고 스스로 찾아나가서 더 공부하고 발전시키고 좋은 동료를 만나 디스커션하는 더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4.06

연구할 때 관련 연구 조사는 필수인거죠 이 부분은 공부에 해당할 것 같네요.

결국 연구>>>>공부 더 포괄적인 형태의 배움의 과정이죠 ㅎㅎ

IF : 1

2024.04.06

스펙만 좋은 건 쉬운줄아나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똥멍청한소리하네

2024.04.07

시간의 차이인 경우가 많죠. 텍스트북으로 나오는건 3~40년전까지 셋업된 이론인 경우가 많고 이후 정립되지 않은 건 논문에서 찾을 수 있으니 연구하고 실험하면서 빌드업 해나가는거죠. 러닝 바이 두잉이라고 연구를 해나가면서 기존 연구와 이론들을 펀더멘털하게 찾다보면 이전에 부족한 공부를 하기 마련이죠.

2024.04.07

근데 글쓴이처럼 말하면 진짜 공부만 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랩미팅때 뭐뭐 서베이하고 뭐뭐 follow-up 했습니다만 몇달씩 하는 사람이 있어서 그것도 문제임. 공부는 뭘 하든 필수이지만 그게 면죄부가 되어서는 절대 안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