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120개 중 최소 20개는 우선 선발 한다는 걸로 아는데, 그 방식이 궁금합니다. 어떻게 우선 선발 한다는 건지 아시나요? 관련 서류 찾아보니, 그 방식은 못 찾아서요. 예를 들어, TO가 1개인 분과가 있으면, 점수와 무관하게 지방대 할당인가요? 그럼 서류와 면접은 왜 보는 거죠? 누군가는 어차피 점수와 무관하게 떨어질텐데?
일단 저는 지방대 할당 취지는 충분히 동의하면서도, 그렇다면 분리 선발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4.10
20명 우선선발이 아니라 그냥 120명중 최소 20명은 지방대로 선정하는걸로 알고있어요!
2024.04.11
업무추진계획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더라고요.
2024.04.11
지방에서도 연구성과가 좋고 잘한 학생들을 20명 골고루 선발했지 않을까요? 그 과정에서 특정 학과나 분야에 불이익이 있진 않을 것 같아요
2024.04.11
분야별로 1명 남짓 돌아가는 지방 최소 선발인원인데, 지방이라고 분야별로 잘 하는 학생 한 명도 없을까 싶네요. 지방대 학생 때문에 떨어졌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스스로를 더 발전시켜 내년에 합격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게 이로워 보입니다.
2024.04.11
지방대학 소속들은 무조건 글쓴이보다 못난 사람일것이다라는 전제를 깔고 쓴 글인것 같은데, 화이팅 하셔야겠네요 ㅎ. 글쓴분의 실적이 얼마나 뛰어날지 모르겠으나, 지방 할당 20%가 없었으면 분명 자신이 합격 할 수 있었다는 확신이 있었나봅니다. 전체 합격자 중 지방대 출신이 20명을 넘으면 어쩌려고 그러시나요? 제 모교인 어떤 지거국에서는 한 학교에서 박사만 8명 뽑혔던데.. 이 학교를 포함한 모든 지방출신 합격자들이 전부 지방 할당 덕분일까요? 그냥 본인 실력이 모자라거나 글을 못썼거나 말주변이 모자라서 면접 떨어졌거나 이 세가지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환경 탓 말고 본인을 탓하는게 세상살이에 조금 더 도움이 될겁니다. 화이팅 하세요 정말로..
2024.04.11
어떻게 선발하는지 방침이 상세하게 적혀있는 서류가 공식 홈페이지에 한글로 나와 있는데도 못 찾으시는 분이 지방대 운운하면서 분리선발 얘기하시는 게 조금 웃기긴 하네요
2024.04.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20명 중에 20명 지방대에 준 것 때문에 본인이 떨어졌다고 착각하시는 것 같네요. 정신 차리시고 연구에 집중하세요
2024.04.14
그냥 받아들이셔야 합니다. 나라에서 하는 모든 정책이 지방할당이 깔려 있어요. 공기업 입사가 대표적이에요. 십여년전에는 지방대가 차별 당한다고 학교랑 학점 다 가리고 인력 뽑았었는데, 오히려 서울권 학생들이 독식해서 아예 지방대 할당을 하는 겁니다.
정책이 그러하니,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실적대로 줄 세워서 뽑으면 지방대에서 못 따가니 할당을 하는 겁니다. 하다못해 국거에서 하는 연구비 지원 사업도 다 지역할당이 있어요. 개인적으로 과학기술계까지 이런 할당을 해야하나 싶습니다만...
2024.04.10
2024.04.11
2024.04.11
2024.04.11
2024.04.11
2024.04.11
2024.04.11
2024.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