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정출연 vs 대기업

2024.05.19

10

4479

정출연 연구소 VS 대기업 연구소

요즘 선호도가 워라벨이 좋은 대기업 쪽으로 들어오고 있다.
정출연과 대기업 찐으로 장기적으로 봐도 대기업으로 가는게 맞는 것인가?

업계 탑 기업 VS 업계 탑 티어 정출연

복지는 기업이 짱
근속년수를 따지고 멀리 보면 정출연이지 않을까?

다들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서 글을 남겨봅니다.
의견을 좀 주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5.19

직업에 대한 선호도나 우선순위, 업무 환경에 대한 트렌드는 생각보다 자주 바뀌는 것 같아요.
초등학생 희망 직업이 공무원이라며 화제가 된 지 10년도 안 되어서 요즘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고 하죠.
세상은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대세보단 본인의 성향을 잘 고려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칠칠맞은 블레즈 파스칼*

2024.05.19

근속년수를 따지고 멀리 보면 요즘은 대기업 아닌가요?

2024.05.19

본인이 좀더 원하는게 뭔지에 따라 다를듯 싶네요.
돈보다 연구중심으로 보내고 싶다면 정출연이 맞구
돈,복지를 찾으면 대기업이 맞습니다.

비교자체를 봤을때 박사학위자라고 가정하면 대기업도 대지금도 대부분 큰 하자없는한 50중반까지는 다다닙다. (본인발로 안나가는한)

워라밸은 부바부가 워낙커서 어디가낫다라고 말하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대신 대기업은 연구보단 회사 직무에 해당하는 기술개발이 주력이고 여러 협력업체들을 조율하며 산업계에 가장 위에서 필드에 대한 이해도를 쌓을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출연은 보통 사기업보다는 내 전공, 내 연구해온 주제와 좀더 일치시켜 일하며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구요. 정출연 역시 기술개발이전이나 벤처창업으로 대기업못지않게 또는 더 받을수도 있으나 일부케이스인점은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본인의 가치를 어디에 더 두는지를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2024.05.19

윗분들 말대로 시기에 따라서 다르죠. 경제가 나쁠수록 안정적인 직장이, 좋을수록 소득좋은 직장이 선호받는건 당연한겁니다.
그것과 별개로 정출연의 연봉테이블은 사실 큰 문제입니다.
5-6년 전만해도 정출연 > 사기업이라고 말했지만, 최근에는 결코 그렇게 말 못해요. ETRI같은기관만 봐도 ETRI를 붙고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대기업 오퍼받으면 대다수 후자로 넘어갑니다. 그래서 최근 ETRI에서 신입사원 뽑아도 금방 사기업으로 도망가는것 때문에 얘기가 많이 나왔고요.
다만 정말 최근에는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기관이 채용규모를 대폭 줄이면서, 정출연으로 다시 많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저도 정출연생활 하다가 학교를 목표해서 해외포닥 나왔는데, 주변에서 가장큰 불만은 금전적인 것이고 이건 무시못한다고 생각해요.
윗분말대로 기술이전으로 돈 잘버는 "극소수"가 전체 평균연봉을 높이는 기이한 곳입니다. 논문실적에 대해서도 크게 매리트가 없어서 그런 과제실적은 젊은 선임/연구원들한테 다 맡기고, 많은 책임들은 기술이전/표준화만 관심있어해요. 기관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정출연에서 책임들의 연구태도에 정말 실망 많이했기에 조금 부정적으로 보는것도 감안해주시길..

대댓글 1개

2024.05.19

여튼 워라벨+업무강도 : 정출연 >>>> 사기업
금전적 : 사기업 >>>> 정출연
이렇가도 생각합니다. 정출연에 있을때 책임급들이 많이들 하던 말은 항상 본인보다 못하던 동기/후배는 요즘 나보다 3배넘게 받는다더라 이런얘기입니다.

2024.05.19

정출연과 대기업을 비교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어요. 연구 및 근무 환경 차이가 매우 심합니다.
물론 경제 상황, 분야, 시대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정출연은 실적을 갖추고도 쉽게 가지는 곳이 아닙니다.
특히나 요즘 같이 TO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과학깃술, 경제인문사회 분야까지 포함해도 1년에 박사급 정규직 자리가 300개는 될까요? 아마 그 이하일겁니다. 박사 졸업자는 매년 15,000명 이상씩 나오고 있죠.
실력이 있고 없고를 떠나 2% 정도 극소수의 박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직장이 정출연입니다.

2024.05.19

정출연에서 워라벨 꿀빨며 과제 수행해서 인센 타고 기술이전 일년에 한두건 하면 대기업 초과함

2024.05.20

전공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본인의 변신 능력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본인의 성격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2024.05.24

ai 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하는데 10년후에도 사기업에 박사인력이 많이 필요할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연구소 대규모 인력 감축이 20년내로 일어날거에요.

2024.06.09

본인이 연구하는 것이 좋고 과학자로 살고 싶으면 출연연이 최고의 직장이죠. 그리고 출연연의 연봉의 경우 과제인센, 기술료 등으로 개인이 만들어나가는 것이라 편차가 큽니다~ 무엇보다 본인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나간다는 자유도는 돈 주고도 못사는 복지라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