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여기글 보면 석박사 후 진로를 국챡이나 교수쪽만보고 있다는 글이 많은데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10.16

8

2175

앞으로 학령인구 감소로 공대출신 엔지니어가 전분야에서 줄어들어서 대기업도 쓸만한 인력 구인난이 엄청 심해질건데 왜 기업연구소를 고려한다는 글을 찾기힘들지. 기업연구소 완전 개꿀인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춤추는 안톤 체호프*

2023.10.16

직업 선택은 본인 가치관 차이 아닐까요?

기업에서 일하는 것이 좋은 사람도 있고 교수가 좋은 사람도 있고 정출연이 좋은 사람도 있고

2023.10.16

어차피 학령인구 줄어도 대기업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뽑을만한 주요대학 학부생/대학원생수는 줄어들지 않을거 같은데.

대댓글 5개

2023.10.16

반대로 전체 대학 수가 줄어서 전체 교수 TO의 수가 줄게되고, 고령화로 정부 세수가 줄어들어서 r&d에 정부돈을 투입하기가 어려워지니 정출연 TO도 줄게되어서, 기존에 대학이나 정출연으로 빠질 박사급 연구원들이 전부 대기업 연구직을 노리게 되면서 지금보다 경쟁이 더 치열해질것으로 생각함

2023.10.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반대로 국내 대학원에 유학생이 늘어날수도 있음. 한국도 첨단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대학이 많고 수준급이라 가능성은 충분할것 같은데. 호주나 캐나다 대학이 차지하는 유학산업에서 상당부분을 한국이 대체할만한 역량과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여지는데.

2023.10.16

한국이 싱가포르처럼 영어를 공용언어로 채택하지 않는 이상, 영어권 국가인 호주나 캐나다 대학을 상당부분 대체하는건 무리가 있다고 생각함.

2023.10.16

일본 문부성 장학금 모델이 있긴 함

2023.10.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본 모델은 절대 비추임.
그래서 일본 랭킹 폭망한거. 일본인들 통계보면 석사진학률만 90프로고 박사진학률은 10프로임.
나머지 외국인들로 채우려 햇으나... 비영어권으로서 최상위권 떨어진 애들만 받음.

도쿄대 공대 불과 5~10년전 랭킹 10위 내에도 들엇다가 현재 랭킹 개 ㅈ 폭망

2023.10.16

가치관 차이죠. spk 인기랩이고, 학교로도 많이 빠지는랩에서 학위받았는데, 사람들마다 "난 무조건 기업간다" "난 무조건 학교목표한다" "난 졸업후 그냥 정출연 목표한다" 등 생각보다 갈립니다. 그 사람의 능력과 무관하게 갈려요. 물론 실적좋은사람들은 대체로 학교생각하면서 해외포닥 목표하는 경향은 있지만요.
또한 학교 목표하는사람들도 단순히 교수직을 목표하는사람도 있고, 연구할수있는 학교만 목표하는사람도 있고 다양합니다.
생각보다 단순히 "난 교수해야징" 하는사람보다는 "국립대교수하면서 그냥저냥 편하게 살아야지~" 혹은 "연구중점대학에 어떻게든가서 빡세더라도 원하는연구 하면서 살아야지" 등등 점점 구체적으로 미래를 그리게 돼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