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읽다보니 정출연이 아니고 기업연구소를 가는 경우 논문실적이 많이 필요 없다는 글이 많은데 대기업 연구소 희망하는 경우엔 논문 실적말고 뭐가 중요한가요? 분야는 재료공학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09.01
나이, 학벌, 전공이나 연구분야
대댓글 6개
2023.09.01
교수님 추천서가 가장 크게 작용할까요?
2023.09.01
ㄴㄴ 취직은 그냥 레퍼 체크 정도만 하는걸로 암
2023.09.02
박사 대기업 연구소 취직나이 33이면 많이 늦은 편일까요?
2023.09.02
ㄴㄴ
2023.09.02
레퍼 체크가 뭐죠?
2023.09.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정도 단어 확인은 본인이 검색하세요. 구글에 네글자만 쳐봐도 되겟네
2023.09.02
실적 많이 봐요ㅋㅋㅋㅋ여기 대부분 학부생이나 졸업도 안한 학생들인데 선배들이랑 교수들한테 물어보세요. 당장 주변 박사들 실적들만 봐도 감 나올텐데
대댓글 1개
2023.09.02
학벌에 비해 논문실적은 비중 별로 없음. 학벌이 제일 중요. 학부가 설카포 이상이면 논문 없어도 프리패스임 반대로 학부가 서성한 미만이면 네이쳐 자매지 있어도 떨어지더라
2023.09.02
글쓴이분은 cs쪽은 아니지만, 최근 네이버/카카오 등등 인재채용이 거의 막히다싶이 해서 정출연에 대한 선호도가 다시 올라가고있다 하더라고요. 반대로 몇년전만해도 ai잘나갈때는 CHI 많이 썼던 실적 좋은사람들도 네이버/카카오/구코 같은 회사로 많이 빠져나갔습니다. 근데 일반적으로 말하는 삼전 같은경우에는, 보통 논문이 조금 부족해도 쉽게 가는 느낌이였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대학원 학벌이 높을수록 직무연관성을 적게보고, 반대의경우에는 직무연관성을 많이 본다고 채용담당자에게 들은것 같습니다. (저는 학계에서만 취업생활을 했어서, 정확히는 모릅니다만..) 그리고 윗분 학부 서성한 미만은 자매지있어도 떨어진다는 소리하는데, 학부 무관 spk박사는 취업들은 다들 쉽게 하는편입니다. 저도 사기업채용시장 경험은 없지만, 졸업후 5년동안 정출연/해외포닥/학교 임용하면서 선후배동료들중 사기업 빠진경우 많이봤는데, spk대학원 박사의 경우에는 삼전은 정말 쉽게들 들어가는 느낌이였습니다. 그 외에 미국기업이나 CS기업은 조금 결이 다른듯했고요.
2023.09.03
상위권 대학이 아니면 전공 분야가 잘 맞고 교수님의 평판이 좋은 것이 중요하지요.
2023.09.03
그래도 논문 너무 없으면 물박사라서 싫어함
2023.09.03
기본적으로 기업이 원하는건 당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물입니다. 채용 관련 문제가 궁금하신 것 같은데, 채용 관점에서만 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가장 중요한건 입사 예정 부서의 업무 관련 연구경험입니다. 업무 관련 연구 경험이 있으면 현업에 투입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들어가는 시간과 자원이 적을수밖에 없겠죠. 기업은 기초 연구를 하는 석학을 뽑고 싶은게 아니라 당장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사람을 뽑고 싶은 겁니다.
그럼 문제해결 능력은 어떻게 검증하냐가 다음 질문일 텐데요, 채용 담당자들은 박사출신 연구원들이 디펜스 및 심사를 통해 문제 해결능력이 기업에서 필요한 수준까지는 검증받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논문 실적이 좋다면 문제 해결능력이 좀 더 좋구나 라는 증명은 될 수 있겠지만 채용의 합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은 아니라고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결국 대기업 연구소에 채용되려면 무엇이 필요하냐면, 내가 지금까지한 연구 업무가 지금 당신네 업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어필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논문 편수가 아니라요). 학위과정동안 내가 이런 연구를 했는데, 이 연구 중에서 가고자 하는 부서의 어떤 관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하는 계획을 어필하는거죠.
애초에 대기업 연구소에서 박사 채용시 서류 외의 다른 평가 최대한 간소화 하고, PT면접만 중심적으로 보고 판단하는 이유가 이겁니다. 업무 관련 연구를 했느냐를 서류로 판단하고, 그 연구를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느냐를 PT로 확인하는 거죠.
어차피 프레시박사가 기업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순 없고,제대로 인식하고 있을수도 없지만 (능력의 문제가 아닌 보안의 문제) 그러한 어필 과정 중에서 어떠한 업무에 빠르게 투입될 수 있는지 (혹은 최소한 그런걸 생각하고 일하는지)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그러니까, 대기업 연구소를 목표로 한다면, 평소에도 어떤 부서에서 무슨 일을 할지 생각하면서 일하시고, 면접을 잘 준비하세요.
2023.09.01
대댓글 6개
2023.09.01
2023.09.01
2023.09.02
2023.09.02
2023.09.02
2023.09.02
2023.09.02
대댓글 1개
2023.09.02
2023.09.02
2023.09.03
2023.09.03
2023.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