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신생랩 교수님 논문이 적어요

2025.10.17

18

1877

관심 있는 랩실이 신생랩인데, 교수님이 쓰신 논문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 같습니다.

교수님 학력 정말 좋으시고 탑저널에 실린 1저자 논문 하나는 정말 대단한 성과인 것 같은데 절대적인 논문 수가 적습니다. 석박하실 적 논문 수도 그렇게 많지 않은데 포닥 시기는 전체 통틀어 1저자 논문이 아예 없고 공동저자로만 세네 편 쓰셨어요. 비슷한 시기 저희 과로 새로 오신 다른 교수님은 포닥시절 1저자, 공동저자 논문을 매년 많이 내신지라 더 비교가 됩니다...

내신 논문은 다 좋은 저널에 실리긴 했지만 왜... 논문 수가 적으신 걸까요...? 포닥 때 연구를 안 하신 건지 막 액티브한 연구자는 아니신 건지 걱정이 되네요... 아니면 아직 심사 중인 논문이 많을 가능성이 높을까요...? 근데 포닥 4~5년 동안 저 정도밖에 안 쓰신 게 정말 의아해요. 학부생 입장에서 알 수가 없어 질문 드립니다...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10.18

잔잔바리 여러개보다 임팩트 있는 두세개가 나은거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0.18

그 탑저널 하나가 정말 임팩트 있는 논문이긴 한 것 같습니다...ㅠㅠ 감사합니다!

2025.10.18

윗분 말씀도 공감됩니다. 하지만 포닥4-5년동안 본인이 주저자로 못쓴건 분명 마이너스입니다.
이경우, 제 생각에도 심사중인 논문이 많을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그게아니면 여러가지 본인 경력, 경험등을 강조해서 임용이 됐을수도 있겠고요.
저도 탑스쿨 포닥하면서 여러포닥들 만났고, 그중 연구방향을 아예 틀면서 3-4년하면서도 프로젝트 수행은 잘하고 열심히 해서 포닥연장은 계속 됐지만, 주저자 논문은 없는 경우들도 좀 봤습니다. 이런 분들이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은 안되지만, 논문실적이 필요한 학생들 입장에서는 충분히 고민할만한 사항은 맞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0.18

면담 신청하고 스리슬쩍... 논문이 아직 심사 중인지 여쭤보고 싶네요ㅜㅜ 교수님께서 연구방향을 자주 변경해오신지라 새로운 분야에 두려움은 없으신 것 같고, 저도 굉장히 액티브하고 열정 넘치는 성향이기에 사람 대 사람으로는 좋을 것 같긴 한데, 막상 논문지도력이나 활발히 연구를 하실지에 대해서는 걱정이 크네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10.18

분야에 따라 다른데 어느 분야인가요

대댓글 1개

2025.10.18

화학~신소재쪽이십니다! 분야가 굉장히 new한 편이긴 한데 생명, 물리, 화학 등 여러 지식이 복합적으로 필요한 것 같아요

2025.10.18

포닥때 주저자 하나도 없다 = 지도교수 품에서 벗어나서 독립적/주도적 연구 능력 증명 부족 = 대학원때 쓴 탑저널 좋은 논문은 지도교수/연구실 빨일 확률이 크다 = 그래도 네트워킹 잘타서 교수됬다 = 본인이 1저자로 적은 논문이 최소 10편 이하면 제자들 논문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기 힘든건 사실

연구력, 머리, 아이디어는 둘째 치고 "논문 작성" 자체에 지도력이 약할 가능성이 농후함. 물론 뭐 열심히 하셔서 꾸준히 성장하는 스타일이라면 몰라도.


대댓글 2개

2025.10.18

ㅠㅠㅠㅠ...... 1저자 논문이 10편에 턱없이 모자라시네요... 말이 좋아 함께 성장한다고는 하지만 역시 고민이 많이 됩니다... 솔직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10.18

전 반대로 임팩 있는거 1개 작성해본 사람은 자잘한 논문 수십개는 훨씬 더 쉽다고 봐요. 그런데 그 반대로 IF 10정도 중상위권 논문 다작으로 교수가 되신분은 자매지 이상의 하이임팩트는 더 어려울수도 있다고 봅니다.

2025.10.18

교수로 임용된 이유가 있을테니 그냥 믿고 따라가보세요.

대댓글 1개

2025.10.18

말씀 감사합니다!

2025.10.18

어떤 분야 연구하는지 모르겠지만 제 분야에서 논문 한 편 올리는거 수 년 걸리는 경우 허다해요. 대학에서 임용한건 이유가 있으니 따라가 보면 해보시는거 괜찮을듯 제 생각엔 앞으로 학계를 리드할거라 생각하는거 같네요 지도교수가 젊으면 석박 이후로도 같이 할게 많아요

대댓글 1개

2025.10.18

연구실 소개나 면담 때 교수님의 비전이 굉장히 인상깊었고 논문이 정말 재밌었던지라 열정을 바쳐 개국공신하고 싶다가도 역시 포닥 시기나 논문 수가 마음에 걸리는 것 같습니다ㅜㅜ 링크드인 보면 연구자 간 네트워킹은 잘하시는 듯한데... 역시 부딪혀 보지 않는 이상 모르는 일인 것 같네요ㅎㅎ... 말씀 감사합니다!

2025.10.18

김치국부터 마시는듯하네요. 교수 아무나 임용되는거 아닙니다. 논문은 분야나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수 있는 부분이구요. 게재된 편수가 적다고해서 실력이 부족하다고 단정짓는것도 어불성설이죠. 컨택해서 그 교수님이 님을 뽑아준다고 하시면 그 때 걱정하세요.

대댓글 1개

2025.10.18

학과에 훌륭한 교수님들이 많이 계셔 컨택에 더욱 신중하고 고민이 깊어졌던 것 같습니다... 저도 정말 대단하신 분인 것은 알지만 신생랩이 신생랩인지라 학생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불안해지는 것 같네요ㅠㅠ 말씀 감사합니다!

2025.10.18

교수 임용에 여러 요소가 있고 나이나 펀딩도 능력으로 처서 동일한 급의 지원자면 더 나은 사람을 뽑죠
확인해보세요 동일한 실적이면 펀딩이 많은 사람이 학교에 좋습니다

2025.10.18

요즘 교수 임용 진입 장벽이 많이 낮아졌습니다. R&D 예산 감축과 더불어, 대기업 연봉과 비교하면...그래서 윗 댓글들이 교수 아무나 되는거 아니다 라고 하시지만, 3~4년 전 오신 분들이랑 최근에 오신 분들의 실적 차이가 좀 두드러지게 납니다. 분야별 편차가 있겠지만, 그러한 경향성은 학교 내부적으로도 공공연하게 공유되는 내용입니다. 포닥을 무려 4-5년이나 했는데 논문을 못 썼다면, 능력적으로 우려가 되는 부분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논문 작성 관점에서 학생들을 지도가 원활히 될지도 우려됩니다. IF가 높아질수록 연구가 좋아진다고 볼수도 있으니, 교신저자들의 Name에 더 가중치 부여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2025.10.18

분야에 따라 다릅니다 같은과 내라도 다를수 있음. 동일 과목 가르치더라도 분야 학회에 따라 실험 요구량이나 전체적인게 꽤 다릅니다. 1저자 5개 내고 교수 되시고.. 뭐 학부생이 논문 가끔 쓴다 소식 들리는데 이런 분야는 해당 안되는 얘기죠 실험하는데 한세월이나 여러 메트릭읗 봐야하는경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