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준비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찾아보니 아무리 늦어도 여름부터는 시작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고민되어서 질문드립니다. 저는 AI 전공으로 박사 수료한 상태고, 2티어 1저자 논문이 하나 있습니다. 뒤늦게 흥미를 가진 세부 연구분야가 현재 연구실이 추구하는 방향과 달라서 미국 포닥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어차피 처음부터 다시 할거면 박사를 다시 하는게 낫지 않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이가 있어서 최대한 준비를 빨리 끝내고 입학하고 싶습니다. 탑스쿨은 바라지 않고 연구 방향만 맞으면 됩니다. GRE, 토플 일정을 보니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닌 것 같은데 이렇게 벼락치기로 준비해서 합격한 사례가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10.14
저도 10월부터 토플 준비해서 12월초에 토플 점수얻고 지원해서 지금 미국 와 있습니다. 영어 잘하시면 지금부터 빨리 토플 준비하면서 컨택하고 서류준비하면 가능합니다
2025.10.14
기존 학교에서 석사out이 되긴하는건가요? Degree에 박사가 적혀있을때 플러스가 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심지어 박사 두개는 안된다는 원칙이 있는 학교도 많고요. 그렇다고 학부졸만 써두면 그거대로 약할텐데 전략을 생각해야죠.
2025.10.15
영어성적만(토플 100, gre는 준비x) 준비되면 못할것도 없고요 (저도 비슷하게 준비해서 나옴) 요즘 gpt때매 sop같운거도 많이 장벽 낮아져서 할만합니다. 대신에 학교리스트업에 공 많이들이셔야될거에요 아마 이거하는데 시간제일 오래걸릴겁니다. 다른 스펙은 제가 모르겠지만 현재 실적이나 상황(박사수료) 아주 경쟁력있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리서치핏이 잘맞아야될거고 컨택도 마니돌려보셔야될듯요. 그리고 추천서도 중요합니다.. 박사하신 교수님이 안좋게 써주면 꽤 치명적입니다
대댓글 1개
2025.10.15
박사수료 자체는 규정상으로는 문제없다고봅니다.. 커미티가 어떻게 판단할지는 모르겠지만요
2025.10.15
벼락치기를 지금부터 열심히 한다면 안될 것도 없다 봅니다. 다만 좀 빠르게 열심히 해야겠죠. 요즘은 GRE도 안 보니 사실 할게 SOP랑 토플뿐입니다. 다만 위에 분이 말씀하신대로 랩 서치가 정말 오래 걸려서.. 그거만 빨리 하면 안 될 건 없지 않을까요? 다만 박사 중인 학생이 왜 박사릉 지원하는지, 교수와 얘기가 잘 됐는지에 대해서는 잘 설명해야할 듯 합니다.
2025.10.15
요새 왜 GRE 안 보나요?
대댓글 1개
2025.10.16
다른 분야는 잘 모르겠고 트렌드가 그렇습니다. 특히 공학계열 쪽에서요. 추측하건대 GRE 시험 보는거보다는 연구 능력을 더 중요시해서 그렇지 않을까요
2025.10.16
나이가 있으시고 연구능력도 있으시니 포닥을 추천드립니다… 지금부터 졸업 준비하시면서 관심있는 교수님들에게 연락드리세요
2025.10.14
2025.10.14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5
2025.10.15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6
202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