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open access 논문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2024.04.14

6

2728

논문 제출시 OA는 저널 측에서 지정해 주는 겁니까 아니면 투고하는 쪽의 선택입니까 ㆍ
그리고 OA 로 하면 논문 심사 기간이 좀 줄어드는 장점이 있는지요ㆍ
이번에 투고하는 저널의 OA 게재료가 7백만원 이나 되서 너무 높은거 아니냐는 생각
이라서 질문 드립니다ㆍ
또 다른 OA 의 장점이 있으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ㆍ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4.14

지금 해외에서 포닥중에있고, 예~~~전에 석사과정할때 access한편냈었는데 OA는 필수였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정확하진 않으니 잘 판단해보시고 제출하시길.. 또한 binary revision이였는데, 제 경우에는 리뷰어 한명이 상당히 깐깐하게 봤어서 (솔직히 저널 수준 고려안하고..) 두번투고(resubmission)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원래 OA의 경우 저자한테 구독료를 요구하는것으로 게재료가 상당히 비쌉니다. 저도 당시 과제실적때문에 냈지만, 돈 엄청 아까웠어요.
OA의 장점으로는 구독료 없이도 누구나 접근가능하니, 아무래도 인용이 더 많이 될 확률이 높겠죠.
근데 그런것 필요없이 OA든 아니든 그냥 좋은저널에 좋은연구해서 투고하면 인용 많이 됩니다.

2024.04.14

저희분야 유명저널에서 oa는 저자들의 선택입니다. oa하면 2000달러였나 추가비용 들어서 저희 랩은 아무도 안했습니다. 진지하게 연구에 임하는 집단이라면 저널 구독을 할 것이기 때문에 oa안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저도 oa는 굳이라는 입장입니다.

2024.04.14

과학지식은 인류 공동의 재산이라는 믿음하에 OA를 지지하는 입장입니다만, 저널이 추가비용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OA에 대한 부담을 과학자 개인에게 온전히 전가하는 현 출판구조에서는 선뜻 권하기 힘든 안타까운 부분이 있습니다.

2024.04.14

저널 자체가 OA라면 필수로 게재료 내셔야 합니다. 그 외 요즘의 전통저널은 하이브리드 형태를 취하고 있죠. 하이브리드같은 경우는 구독과 OA옵션 둘 중 하나 선택하시면 됩니다.
전통저널에서 OA를 선택한다고 해서 리뷰가 드라마틱하게 빨라진다 그런건 없습니다. 저자들이 논문의 접근을 독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과학적인 측면에서 기꺼이 비싼 게재료를 내겠다 선택하는 것일 뿐입니다.

2024.04.14

의견들 감사합니다 ㆍ
OA는 그다지 추천 하시지 않네요ㆍ
OA가 필수라면 몰라도 선택적 이라면 숙고 해봐야 되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4.14

하이브리드 저널은 선택지가 투고자에게 있고, OA만 지원하는 저널의 경우는 비동의시 투고가 불가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