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IEEE Access 인식

2024.07.31

28

5452

이번에 투고하자는 의견이 나왔는데, 인식이 그렇게 안좋을까요?
OA 저널에 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ㅠ
IF도 3점대라 괜찮아 보였는데, 지금까지의 검색해본 경험으로는 인식이 너무 안좋아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4.07.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mdpi 보다는 낫고 scientific repkrt 보다는 구리다는게

학계의 입장임

2024.07.31

IEEE access, MDPI sensors는 쌍둥이임 이제 또다른 형제 IEEE sensors journal 도 있음(그래도 얘는 Q1에 걸침)

대댓글 1개

2024.07.31

그냥 Q1과 Q2사이 라인쪽 저널급

2024.07.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ieee access는 내면 붙는 곳입니다. 보통 교수나 랩에서 실적 급하게 채울 때 내는 곳이죠. 거기 내자는 의견이 누구 의견인지 모르지만, 만약 PI로부터 나왔다면 경험상 더 좋은 곳엔 내기 힘들다는 판단이 있어서겠죠.

그럼 거기에 빨리 내서 그 연구는 후다닥 정리하고 다른 연구에 집중해서 더 좋은 논문에 내세요. 안 좋은 결과 좋은 논문에 내려고 애쓰는 것보다 그게 더 생산적입니다.

대댓글 2개

2024.07.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acceptance rate 30% 인데 이게 내면 다붙음?

2024.07.31

ㄴ binary decision이니 accept rate가 30% 인 거죠... 눈가리고 아웅

2024.07.31

ㅋㅋㅋㅋㅋㅋ여기 심지어 첫 제출에 리비젼도 없이 바로 억셉주는 겅우도 있던데..

2024.07.31

자기 스스로 족쇄를 채우는거님 access 내는 순간

대댓글 16개

2024.07.31

참고 하라고 알려드림 임용 지원자가 access mdpi 이런 곳 논문이 주실적이면 안뽑음

2024.07.31

오바 좀 하지 마세요 족쇄는 무슨.. 없는 것 보다는 나은 수준입니다. 다른 저널과 같이 온전히 1편으로 인정받기엔 퀄리티 검증이 안되어 어려운거죠. 그러니 Access , mdpi 주 실적으로 교수 임용문 두두리기 어려운건 당연한 말이고요.

2024.07.31

오바라니 현실인데 내가 평가하는데 절대 안뽑습니다.

2024.07.31

Access를 내는 이유 급하게 실적이 필요함 학생이던 교수던 둘 다 잘못된 케이스

2024.07.31

임용 안되는건 access랑 mdpi가 있어서가 아니라 access랑 mdpi"만" 있기 때문이죠. 저도 평가하는데 오바좀 하지 맙시다.

2024.08.01

저의 경험에서는 access mdpi만 있는 사람과 access mdpi가 없는 사람으로 나뉘더라고요 ^^ 좋은 실적을 가진 사람 중 access mdpi 있는 사람은 못봤습니다

2024.08.01

프레쉬 박사로 임용시장 두드릴때는 mdpi access가 없을 수 있죠.

교수가 되어 다수의 과제를 하다보면 과제에 따라 급하게 실적을 요구해서 불가피하게 낼수밖에 없을때가 있습니다. 과제개시 1년차부터 어떻게 탑저널에 논문이 나갑니까... 사실상 6개월만에 제출-리뷰-게재까지 하라는 것인데 불가능합니다.

이전에 하던 연구를 실적으로 사사하는 것이라면 모를까 탑저널들 연구하고 라이팅하고 제출 후 논문 나가는데까지 걸리는 시간 고려하면 2년차에 내는 것도 빡빡합니다.

IEEE Access의 경우 그래서 서울대나 카이스트 교수님들도 왕왕있습니다. 하지만 당연히 그것만 있지는 않죠.

2024.08.01

그만큼 실력없는걸 탓해야지 어쩔수 없이 낸다고 하는게 짜증나네요 저는 1년차 때 1년 내내 밤내서 탑티어랑 저널 계속 투고 했습니다.

2024.08.01

생각할수록 짜증나네 1년 냐내 밤새면서 어떻게든 더 연구하고 힘들게 지냈는데 천하태평 교수되고 만족하고 살다가 급하게 access mdpi 털어내는 교수들 연구적우로 절대 인정 못함

2024.08.01

누가 님한테 인정받으려고 연구합니까 오바 좀 하지 마세요

2024.08.01

세상에 자기가 연구 열심히 해서 좋은 성과 거둔걸 남이랑 비교하면서 억울하다고 말하는 자칭 학자는 처음봅니다

2024.08.01

왜냐면 탑컨퍼런스가 실적에 인정이 안되거든요;;; 순간 열등감에 과하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주변에 Access MDPI 내고 졸업하고 박사라고 뻔뻔하게 사람 무시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더 그랬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죄송합니다

2024.08.01

매번 그게 되지는 않죠. 연구+게재까지 1년안에 되는 탑저널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더불어, 위에 말씀드린 젊은 신진교수님들이 본인보다 실적이 월등히 좋습니다. 수고하세요.

2024.08.01

참고로 투고는 실적이 안됩니다. 게재까지 되어야 과제 실적입니다.

2024.08.01

투고라 했는데 게제 입니다 ^^ 당연한 소리를...

2024.08.01

저희 분야에서는 제가 우리나라에서 탑컨퍼 실력 가장 많습니다 그러면 수고하세요 ^^

2024.07.31

괜찮은 논문인데 이게 왜 여깄지? 하는 논문과
이런것도 논문이 되는구나 하는 논문이 공존하는곳

2024.07.31

access 낼바에 안 내지

2024.08.01

목표에 따라 도움이 될수도 있고 안될수도 있습니다. 논문의 질을 따지는 곳으로 취직할 예정이시면 도움이 안될겁니다.

논문의 질을 따지는 곳에 도전하실 것이라면 없는 페이퍼로 치시고 좋은 곳에도 논문 많이 내시면 됩니다.

2024.11.20

현직입니다. 저희학교 기준 IEEE Access CV에 박혀있으면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