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수학과 졸업하고 공대 대학원 다니면서 느낀 재미있는 점

2024.04.22

35

17838

1. 기계, 전자 등 수학이 많이 쓰이는 학과 학생들은 수학을 은근히 잘한다는 자부심이 있음.
2. 생명 등 수학을 많이 안쓰는 학과 학생들은 본인들도 수학을 잘 못한다고 얘기함.
3. 수학 이론물리 등 진짜 수학을 많이 쓰는 학생들은 본인이 수학을 정말 못한다고 자책함

대학원에 가니 다들 수학 좀 한다는데 내가 볼땐 아닌것 같은데 그냥 웃겨서 적어봄. 분위기가 좀 수학과랑 다르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5개

2024.04.22

수학과 학부때 대단한걸 배우지도 않는데 그냥 도찐개찐임

대댓글 1개

2024.04.30

대단한걸 배우진 않지만 성질이 다릅니다.
슬기로운 알베르 카뮈*

2024.04.22

기계인데 모델링 이해하고 코딩할정도면 충분하니까요... 살다살다 수학과한테 웃기단 소리도 듣고 세상만사 신기하네요

2024.04.22

물리 수학 복수전공인데 난 공감함. 수학과 수업보단 고등학교 수학의 연장선에 가까운 공업수학까지만 땐 사람들이 가장 자신감이 높은듯. 더닝 크루거 효과같은 느낌

대댓글 8개

2024.04.22

공대 다니는 친구가 공업수학 시험은 잘봤는데 공대 역학과목은 너무 어렵다고 수학과 갈걸 그랬다 그러던데 참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나네. 추상적이고 난해한 수학을 접할 기회가 적고 공업수학정도의 수학만 접하는 사람들 일부가 착각하는 뭔가가 있긴 한듯.

2024.04.22

수학과 학부때 얼마나 추상적이고 난해한 수학을 배운다고.. 그것도 고등학교 수학의 작은 연장선에 불과함. 정작 순수수학 전공해서 교수된 사람들은 조용히 있는데 꼭 수학과 학부만 어중간하게 나온 사람들이 학부수준 수학에 온갖 미사여구를 다 붙인다.

2024.04.22

ㄴ요점을 파악 못한듯. 예를 들어 수학과 사람들은 함부로 자기가 수학 잘한다는 말을 꺼내지 않음. 왜냐? 잘하고 흥미있는 애들은 자기 한계까지 더 깊게 파고드니까. 근데 공대생들은 그렇지 않기때문에 '일부'공대생들이 착각을 하는 경우가 있다는거임. 그리고 난 수학과 학부과정이 대단히 추상적이고 어렵다는 말을 할 생각이 애초에 없음. 공업수학만 보는 공대생들이 그런 수학을 접할 기회가 없다고 한거지. 확대해석은 ㄴㄴ

2024.04.22

그리고 지금 생각해보니 같은 과목을 배워도 insight에서 차이가 나기도 하는듯. 공업수학 선형대수 배운 사람이랑 제대로 된 학교의 수학과 선형대수 배운 사람이랑 시선차이가 좀 있는 것 같음

2024.04.23

학부수학이 고등학교 수학 연장선이라는건 수학 전공수업 안들으신 분인듯

2024.04.24

고등학교 수학 연장선이라는게 그 추상적이고 난해함의 부분에서 고등학교 수학이나 학부수준 수학이나 도찐개찐이라는 말인데요.
학부때 배우는 수학이라봤자 기껏해야 20세기 이전 수학인데, 다른 학과 사람들이 하는 수학 무시하지 말고 좀더 겸손했음 좋겠어요.

2024.04.27

그정도 차이가 도찐개찐이면 공업수학 = 고딩수학

2024.05.18

당당한 스티븐 호킹님은 몰라도 너무 모르시네요ㅎㅎ 모르니까 당당할 수 밖에요.
20세기 이전 수학이요? 천만에요. 현재 수학과 학부/대학원 전 과정의 기초가 되는 수학기초론과 ZFC 공리계가 20세기 초에 확립되었어요. 엡실론-델타 이후 엄밀한 수학을 전개해가다가 마주한 난관인, 러셀의 역설을 돌파하기 위해 힐베르트의 형식주의가 이때 탄생했죠. 수학과 '학부' 대표 과목인 위상수학은 그 이후에야 등장한 학문이고요. 이렇게 다시금 재건했던 공리적 집합론에 또 한 번의 타격을 주었던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1931년에 발표되었고, 이는 수리논리학이라는 학부 과목에서 직접 증명한답니다. 수학사라도 알고 말하시는 게 좋을 듯 싶네요ㅎㅎ
수학의 본질은 추상화(Abstract)와 감상(Appreciation)입니다. 추상화와 감상을 훈련하기 보다는 적용을 훈련하는 공업 수학을 배우는 이들은 (엡실론-델타 논법이 말해주는 것처럼) 엄밀하게 서술한다면 수학적 실력(추상화 능력)이 전무하다고 볼 수 있죠. 그들이 구체적인 수학적 명제들을 추상화시켜서 본인만의 공리계를 확립하고, 그 공리계 안에서 본인만의 논리를 빈틈 없이 전개해 갈 수 있을까요? 전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당당한 스티븐 호킹님께서는 Axiom of Choice를 받아들이실 건지, 거부할 것인지 선택해보세요. 그리고 그 선택에 따른 Theorem들을 '직접' 증명해보세요. 그게 가능하다면 그제서야 당당할 수 있는 거랍니다.

2024.04.22

'모름'에 대한 기준이 다른 것 같아요
잘 아는 사람일수록 겸손하고 노력하죠

2024.04.22

동의함.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거든

2024.04.23

보통 주변에 보는사람들이랑 비교하니깐 그렇죠
솔직히 공대쪽에서 수학과랑 협업할일 얼마나 된다고 둘이 비교함

2024.04.23

이론수학이랑
공학수학이랑
방향이 다른거지 그냥

보고서를 잘쓰니까 글을 잘쓴다고 하는데
국문학과가 와서 웃긴다고 하는거랑 똑같은꼴 아닌가?

2024.04.23

ㅋㅋㅋㅋㅋㅋ 수학과 대학원 가지 왜 공대 대학원 와서 불편해함

2024.04.23

수학과 수학만이 수학인줄 알지요?

2024.04.23

그냥 수학과로 진학하지

2024.04.23

수부심 오지네, 나도 물리학과 나오고 공대왔지만, 수학 잘한다고 잘난척 하는 공대출신 한명도 못봄.......
조용한 비트겐슈타인

IF : 1

2024.04.24

수학의 난이도를 봤을 때는 수학과의 난이도가 높겠지만 근데 수학과도 분야가 여러가지지 않나?
잘 모르는데, 미적분학 대수학 해석학? 등 크게 4가지로 나뉘는 걸로 아는데 이 모든 걸 다 통달한 학생이 있긴함?

비꼬는게 아니라, 그래서 수학과 박사달면 뭐함?
진심으로 수학과 박사과정 딸면 먹고 살길이 험난할꺼 같은데...

컴퓨터사이언스든 공학이든 자연과학이든 수학 잘 하면 플러스 알파느낌으로써 최고의 무기지만 메인이 되는 순간 걍 인생 험난해질꺼 같은데 아닌가요?

공대생이 수학 잘하는 의미는 연구중인 시스템의 모델링을 막힘 없이 수식적으로 표현한다는 의미라고 생각하고,
수학과 출신이 수학 잘한다는 의미는 진심으로 모르겠네요.

모든 수학의 영역, 대수론 해석학 등 전부 통달한건가? 진심으로 궁금하네요

2024.04.24

유먼데 애들이 못받아주네 ㅋㅋ ㅠ

2024.04.24

공돌이들 긁혔네 맞는말이지 학부수준 전공수학이별거아니면 공학에서쓰는 수학은 고등학교수준임?

2024.04.25

난 에타에서 문돌이들 상대로 미적부심 부리는게 진짜 부끄럽던데

2024.04.25

과학과 공학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공학은 수학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수학을 잘하는 것입니다. 순수 수학은 학문으로서의 가치만을 추구하는 것이니 방향이 다르겠지요.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과 공학의 차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024.04.25

댓글에 공돌이들 긁힌거 개웃기네ㅋㅋㅋㅋ

2024.04.25

수교과인데 학부 때까지 본인이 수학 잘하는 줄 앎. 물론 몇몇 과목은 아니지만 그거 외엔 잘한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었음.
수학과 대학원 가서 아 아니구나 깨달음. ;) ...
박사 졸업하고 나면 심지어 내가 전공한 좁은 분야에서도 내가 무지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음.

2024.04.26

공대생들 긁힌거 웃기네 주변만봐도 이과부심부리면서 문과무시하는애들 ㅈㄴ 많은거 보이는데

2024.04.30

흥미롭군요

2024.04.30

누가 더 지식이 많니 이런걸로 싸우지말고 각자의 자리에서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사람이 됩시다..

2024.04.30

맞는말인데ㅋㅋㅋ

2024.05.01

ㅋㅋㅋㅋㅋ 댓글에 공대분들 말씀하시는게 웃깁니다 ㅋㅋㅋㅋㅋ
학부수준에서 배우는 추상적과 난해함은 고등학교 수준이라고 하는건 진짜 ㅋㅋㅋ
집합과 수의체계도 정독 못하고 떨어지실 분들 많을듯..

2024.05.02

솔찍히 본문글 동감함. 아는만큼 보이는 법임.
솔찍히 공대는 이론적으로는 18세기 물리학 이론을 발전시킨것에 가까움. 19 20세기 발견된 내용들 까지 있긴 하지만..

공학을 배우고 물리가 쉽다는 말 하는것과 비슷함. 둘은 다른 성질의 것인데.

공학수학도 순수 수학과는 거리가 매우 멀고, 한 18세기 수준임. 그때와 지금은 이해의 깊이도 천지차이고.

2024.05.02

다른 건 모르겠고 일단 학부 수학에서 뭐 배우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수학과 수학이 어떻고 하는게 그냥 웃김ㅋㅋ 잘 모르면 가만히나 있지

2024.05.29

공대 여러분 고등학교 여러분이 일등급 받고 공대수학에서 배운건 계산이지 수학이 아니랍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