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박사넷이든 그냥 다른 사이트 글들이든 국내 학회는 맞춤법과 형식만 맞으면 무조건 억셉이다, 리젝되면 ㅂ신(제 의견이아니고 어느사람들의 극단적인 표현을 빌린것입니다!)이다... 뭐 이런 말밖에 못봤던것같습니다 국내학회의 수준은 해외유명학회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과 상관없이, 예를들어 이번에 KCC에 학부생 논문 낸 사람만해도 약 600명이상이 제출한 반면 매년 학부생 포스터는 약 20~30명 사이만 발표하던데 그러면 경쟁률도 엄청나고 붙는사람이 극소수인거아닌가요..?
제가 이쪽을 잘 몰라서 정말 단순 궁금증으로 여쭤보는겁니다! 어떻게 무조건 붙는다 억셉된다는 말뿐인지 이해가 안가서요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5.27
수준이 너무 낮으면 포스터 발표도 안하기도 하죠
대댓글 1개
2024.05.27
넵 그쵸그쵸 국내학회에 낸 논문들중에서도 너무 수준이 낮은것들은 당연히 포스터발표도 못하죠! 그런데, 제 말은 국내학회는 내면 (너무 수준이낮은걸제외하고는) 무조건 다 간다는데, 인원수로 보여지기에는 몇백명중 2-30명만 포스터라도 발표를하는건데 어떻게 무조건 다한다는건지 이해가 안간다는것이었습니다! 그냥 넷상에서 좀 쉬우면 무조건 내려치기해서 '그걸못가?못가면인간 아니지ㅋ' 이런식으로 부풀려 말한건지, 아니면 제가 몇백명중 20명정도한다는게 잘못알고있는거고 정말 신청만하면 웬만하면다가는건지요!
2024.05.27
분위기를 모르시는 것 같은데
제가 있던 연구실 기준.
KCC제출하는 이유: 편수 부족으로인해 교수님에게 요청이 옴.
--> 하던거 대충 한국말로 정리해서 내라~
이런 이유로 내면 붙는다이고
학부생 수준으로는 이런 논문과 경쟁이 되진 않죠... 수준이 낮다가 딱 적절한 말입니다 ㅎ...
다만 연구자라면 굳이 국내학회에 논문투고를 목적으로 연구를 한다...??? 저는 연구자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ㅎㅎ...
대댓글 3개
2024.05.27
오 맞습니다 제가 분위기 자체도 제대로 모르는 그냥 학부생이라 아예 감도 못잡고 궁금했던건데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5.28
본인은 학부때 얼마나 많은 투고를 해 봤는지 궁금합니다.
2024.05.28
저는 학부생 때 연구를 해본적이 없습니다 ㅎㅎ;; 대학원와서 시작했어요... 대학원오시면 느끼시겠지만 필요없는 실적이고 입학하실 때 조금이라도 필요하다고 조급하실 것 같은데 필요없습니다... 추가적으로 현재 조교수 1년차입니다... 저는 보유하고 있는 Kcc 등 국내학회는 실적으로 제출하지도 않습니다..
2024.05.27
프로선수가 유망주 경기 가서 골 못넣으면 안되는거랑 비슷합니다. 하지만 유망주들 입장에서는 딱 수준에 맞는경기인거죠.
2024.05.28
KCC가 뭐지...? 첨들어보는데
대댓글 2개
2024.05.28
KCCV
2024.06.08
이것도 진심 첨들어보는데
2024.05.28
국내 학회도 분야에 따라 경쟁률이 정말 천차만별인 것 같아요
2024.05.28
이미 KCI랑 SCI랑 구분해서 평가를 하는데 국내 논문 낼 정도 자료 조금만 영어로 해서 올리면 수준 낮은 SCI에도 낼 수 있을 정도니까 질 좋은 논문은 국내로 나오지 않게 되고 그러면 점점 더 기피되게 되고 악순환이죠
2024.05.27
대댓글 1개
2024.05.27
2024.05.27
대댓글 3개
2024.05.27
2024.05.28
2024.05.28
2024.05.27
2024.05.28
대댓글 2개
2024.05.28
2024.06.08
2024.05.28
2024.05.28
2024.05.28
2024.05.29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