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한국교수는 미국에서 막 태어난 아이디어갖고 귀국해서

2024.06.09

26

8655

그걸로 처음 10년간 벌어먹고산다.. 그후엔 학생들과 공생관계로 아이디어 얻고, 조언 해주고 상부상조한다..

이 말 그냥 우스갯소리인줄 알았는데 좀 보다보니 진짜같기도하고

사람사는게 다 거기서 거기인듯. 대학원 원서넣을때만해도 교수는 뭔가 넘볼수없는 사람들만 하는건줄 알았는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교수 대다수는 미국 사대주의 쩔죠. 심지어 한국에서 발표할때 인트로 자료가 다 미국꺼임ㅋ 감염병이 심각하다며 죄다 미국감염병환자 자료가져다 발표하고 있고

대댓글 2개

2024.06.10

그래야 논문 쓰기 편함.

2024.06.14

감염병? 미국은 일단 CDC 자료가 있고.. CID에 레퍼런스 널렸을 꺼고.. 암 질환은 SEER database가 넘사벽이고.. 중국 껀 뭐가 있지? 참 NPC NKC 는 남중국 주변일대가 성지인데 중국 National data 하나 제대로 없다는 건 아나요? 미국은 NPC NKC의 불모지임에도 불구하고 SEER database에는 NPC NKC 와 NPC Ksqcc 가 구분돼서 기재돼 있다는 거 아시나요? 한국 암정보 통계조차 NPC 를 한 코드로 묶어서 통계 낼뿐 NKC 와 Ksqcc 가 각기 몇 퍼센트 포션 차지하는지 national data 없습니다.

2024.06.09

윗분은 우선 미국이라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모든 인재가 모이는곳입니다. 고작 인트로할때 미국자료썼다고 사대주의라고 취급하는게 더 웃긴것같네요. 미국시장이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중 하나인데, 레퍼런스로 쓰는건 당연한거 아닐까 싶고요. 인트로는 당연하게도 본인논리에 가장 맞는걸 쓰는거고, 그게 미국이 아니라 뭐 중국인 대상이라도 논리에 필요하면 쓰는게 당연하죠.
그것과 별개로 모든 교수라는 직책이 되는순간 연구자가 아니라 연구관리자가 됩니다. 롤이 바뀌기때문에 어떻게보면 글쓴이분이 말한 상황이 어쩔수없는 상황이라고도 생각됩니다. 이건 국내외 관계없이 모두 그렇다고 생각하며, 연구아이디어를 본인이 적극적으로 내기보다는 학생을 관리하고 연구방향성을 제시해주는 역할이 자연스러워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반대로 교수가 되고나서부터 본인분야 연구를 꾸준히 팔로우하는 사람들이 많지는 않은게 아쉽기도 하네요. 사실 연구보다 수업에 중점을 둔 학교가 많은것도 사실이고요.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럼 미국자료를 들고오죠 중국자료를 들고옵니까? 윗댓글분은 사대주의가 아니라 현실감각이 없으신 것 같은데요..걱정됩니다.....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 자료를 가지고 오라고요ㅋㅋ 뭔 중국타령하고 있나요

대댓글 2개

2024.06.11

이런말 하는 본인은 뭐 얼마나 대단한 연구하는지 궁금하네 ㅋㅋㅋ

2024.06.16

자료가 제대로 된것이 없죠. 나 사대주의자.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런거보면 우리나라 사람들 건강보다 미국 사람들 안위를 더 걱정하는거 같음 ㅋ

대댓글 7개

2024.06.09

우선 저는 바이오나 의료계와 먼곳에서 연구하고있습니다. 다만 타겟하는곳이 한국이면 한국자료를 쓰겠죠. 과제제안서에도 한국OO질병을 위한 대책인데, 인트로에 무지성 미국사례를 들고올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그게 아니라, 타겟이 전세계면 미국은 정말 좋은 표본입니다. 성인병의 비율이 높기에 연구에 좋은예시로도 적합하기도하고, 무엇보다 인종이 정말 다양하기 때문에 미국자료는 꽤나 도움이 많이될거라 생각됩니다.
한국에서 연구한다고 한국자료만 써야된다고 말하시는게 오히려 더 내셔널리즘이 아닐까 싶네요.. ㅎㅎ 한국시장이 가장 크거나, 한국이 리딩하는 연구분야가 아닌이상에는요.

2024.06.09

그리고 제안서를 얼마나 써보신지 모르겠지만, 어차피 제안서는 대다수 세계적 최고 데이터, 국내 최고데이터를 작성할겁니다. 그런 제안서가 아니라, 단순히 한국에서 발표하는데 왜 한국자료 안써!! 이건.. 너무 좁은우물에서 살아가시는게 아닐까싶네요.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자료도 쓰라는거지 한국자료만 쓰라는게 아니예요. 자꾸 곡해하시네. 미국자료만 왕창 보여주고 어쩌고저쩌고하는 미국사대주의자가 많아서 하는말이예요. 균형잡힌듯하게 자료를 보여주는경우도 강대국 자료먼저 우리나라 나중 순서로 보여주죠. 뭐 일견 어쩔수없다는건 당연히 알고 저도 필요하면 미국자료 가져다 잘 쓰지만 그게 너무 당연시되지는 않았으면 좋겠네요.
제안서도 말 나온김에 얘기하자면 대부분 제안서 연구현황에 미국에서도 이러저런거 최근에 많이하고 핫하니깐 우리도 해야된다고 쓰지않나요? (k-어쩌구) 미국에서 하면 그게 정답인양 따라가지 않나요? 저는 우리나라 사람들 좀더 주체적으로 연구했으면 좋겠네요. 물론 연구비라든가 현실적인 문제로 어쩔수없다는거 잘 알기에 답답하긴하지만요.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게 아니라 미국자료가 많은거지 레퍼런스도 미국이 많고 ㅋㅋ
님은 꼭 논문쓸때 kci만 인용하세요 ^^ 그래야 사대주의 없는 학자니까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은 미국 꽁무니만 졸졸 따라다니세요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우리나라 과학계에 흥선대원군이 등장했네요 ㅋㅌㅋㅌ 무식하면 용감하다는게ㅋㅋ

2024.06.10

우선 마르케스님은 세상의 넓은걸 조금 경험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잘하는 사람들을 레퍼런스 삼고 따라가는걸, 단순히 사대주의로만 치부하는게 솔직히 좀 안타깝네요.
물론 우리나라가 다른나라보다 미국에 훨씬 오리앤트 돼있는것도 알고있고, 저또한 같은이유로 스위스/미국 두 선택지중 미국으로 왔습니다. 하지만 와보면 미국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 인재들이 모여있는곳입니다.
저도 spk학석박에 졸업하자마자 운좋게 정출연도 재직하다가 넘어왔는데, 미국에서 생각보다 정말 많은것들을 배울수있습니다.
어떤 느낌때문에 미국꽁무니만 따라간다고 생각하는건지 부분적으로는 이해는되지만, 사실 너무 부정적으로만 생각하시는듯 합니다. 배울건 배워야죠. 산업혁명 일어나고 있을때, 세상이 어떻게돌아가는지도 모르고 청나라가 가장 큰나라라고만 판단한게 좋은결과로 이루어지진 않았잖아요.

2024.06.11

아이구야....

그래서 학생이 배우고 그래서 함께 연구하는 거임.... 그래서 탑스쿨 교수가 되길 원하는 것이고요...

2024.06.11

제일 잘나가는 나라 자료를 가져오는 것 뿐입니다. 한국이 제일 잘하면 한국 자료 가져옵니다. 심지어 외국인들도 한국 자료에 관심가집니다.

2024.06.11

무슨말하는지 진짜 이해가 안되네요.

한국에서 연구가 무슨 소리인지 ㅋㅋㅋㅋㅋ 그냥 전세계가 같은 연구를 하고 있는거에요.

대댓글 2개

2024.06.11

한국에서만 연구한 논문도 좋은 논문 많습니다 ^^

2024.06.14

논문으로 나오면 이미 한국 것이 아닙니다. 학계가 공유하는 거죠. 그 연구의 새로운 컨셉이 peer reviewer 들한테 이해되고 받아들여져야 논문으로 나오는거 아니겠습니까?

2024.06.11

미국은 많은 분야에서 학문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우수대학들은 우수인재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어 전 세계 인재들을 끌어모읍니다. 우리나라 사람도 미국에서 수업료를 안내고 생활비도 받으며 학위를 딴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면 자연히 친미국적 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독일에서 성공적으로 공부한 사람은 친독일적 성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겠지요. 우리나라도 전세계 우수인재가 모일 수 있게 한다면 전세계에 친한 인사를 심는 효과를 가질 것입니다.
그리고 공생관계라는 말이 부적절한데 회사 사장은 직원이 있어야 사장이 있는 것인데 공생관계라고 하지 않습니다. 실험을 하는 연구는 연구인력이 필요하고 대학원생이 그 역할을 합니다. 실험이 필요 없으면 대학원생 없이도 연구합니다.
그리고 교수의 역할에서의 중점은 그 대학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연구중심 대학이 되려면 대학원 중심대학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 대학은 극히 소수입니다. 자기 경험을 말 때 조심해야 하는 것은 자기가 다니는 대학의 위치를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결과가 됩니다.

2024.06.11

뭔가 어떤 연구실 학생들은 좀 남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만 같네요...

2024.06.12

남이 만든 자료나 아이디어에 대해 어느 정도 관용과 이해심을 가지고 바라보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네요

2024.06.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참 눈물겹다

2024.06.16

연구에 미국연구 한국연구가 어딨다는건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