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로봇 연구 관련 질문

2024.06.11

6

1763

현재 연세대 전전 4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KP 기계과 웨어러블 로봇 랩에 관심이 있는데,
웨어러블 로봇 랩에서 석사를 마치고 박사 유학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1. 웨어러블 로봇 뿐만 아니라, 로봇 산업 전반과 로봇 소프트웨어(강화학습 매니퓰레이션)에도 관심이 있는데, 웨어러블 로봇 랩을 졸업해도
추후 취업을 했을 때 산업용 로봇, 이족/사족보행 로봇 등 일반적인 형태의 로봇 관련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까요?
(교수님께서는 nature 등 논문을 내시는걸로 보아 의료 쪽에 관심이 많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2. 로봇 관련 연구를 진행하면 SW/HW 전반적인 이해가 높다고 판단하여 직접적으로 로봇을 다루지 않는 테크회사의 경우도 좋아하는 전공이라고 들은 바가 있는데, 사실인가요?

3. 또한 soft-robotics와 wearable robot(exoskeleton, 웨어러블 로봇 팔) 의 산업 쪽 전망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IF : 2

2024.06.11

1. 회사 가시면 시키는거 해야되니 원하던 원치않던 다른 주제를 할 수도 있습니다. 학계라면 자유롭게 주제를 잡을 수 있으나 박사주제와 동떨어진 주제로 새롭게 시작하는건 현실적으로 매우매우 어렵습니다. 희망하시는 두 주제가 너무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라 둘 중 하나를 확실히 정하시는게 좋습니다.
2. 맞습니다. 실무 능력이 좋다고 선호합니다. 반대로보면 실무 능력 키우는 시간이 필요해 빠르게 논문 쓰기는 어렵습니다.
3. soft robotics는 아직 산업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먼 미래에는 모르겠으나 당장은 전공살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웨어러블 로봇은 이제 막 시장이 형성되고 있어 그나마 나은편입니다만 대기업에서는 잘 다루지 않기 때문에 장점 살리기 어렵습니다. 애초에 로봇분야가 제대로된 시장이 없어 전공살리려면 대기업 선행연구소로 취업하거나 스타트업 하셔야 됩니다.

참고로 SKP 로보틱스랩들의 경우 인기랩들이어서 석사후 유학이 목적이라고 하면 입학이 매우 어려울듯 합니다.

대댓글 3개

2024.06.11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위에서 언급한 두 분야 모두 흥미롭게 공부하고 있는데, 추후 취업 및 상용화/사업화 가능성을 생각했을 때 slam이나 planning 쪽이 나을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IF : 2

2024.06.11

글쎄요... slam이나 planning 다 중요한 분야죠. 다만 slam은 많이 연구되어서 이미 전문가가 많은듯 합니다. planning도 만만치 않게 고인 분야지만 CS에서 다루는 분야라 국내에 전문가가 많이 없으니 (한국은 CS는 잘 없고 기계과 중심의 로보틱스 랩이 많습니다.) 희소성은 있을것 같습니다.
근데 취업이나 사업은 세부 분야보다는 플랫폼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세부 기술 분야도 중요하지만, 개발한 기술이 사업성 있는 로봇 서비스에 꼭 필요할지를 보셔야 겠죠. 그리고 미래는 아무도 몰라서... 특히 로봇과 AI분야는 매년 변화가 심해서 아무도 예상 못합니다... 알았으면 이미 제가 때돈 벌고 있었겠죠 ㅠㅠ

다만 주요 로봇산업 ....이동성 있는 로봇에 로봇팔을 이용한 액티브한 서비스 제공이 중심이 될건 확실해 보입니다. 거기다 그동안 기술 개발 흐름을 봤을 때...
과거: 산업용 로봇 공장환경, 고정된 위치, 정해진 반복작업
현재: 모바일로봇, 정해진 사이트(미리 만든 map 필요)에서 물류, 배송, 서빙 등, 이동만 하는 수동적 작업
다음단계는 아마도 복잡한 환경에서 이동도 잘하고 매니퓰레이션도 잘 해서 능동적인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게 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먼 미래를 보고 대기업들은 휴머노이드에 투자하지 않나 싶습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그러니 어떤 분야가 유망할지, 또 재미있어 보일지... 스스로 찾아보시고 고민해보시길 바래요.

2024.06.11

SLAM이 나 planning이 보통 인기고 많이 하니까 더 나을 수 있는데 전망은 아무도 모르죠. 제가 드리고 싶은 조언은 웨어러블보다 이족/사족 보행 모바일 로봇, 산업용 로봇 쪽에 더 관심이 있으신 것 같이 느껴지는데 돌아갈 생각 말고 학교를 낮추더라도 처음부터 그 분야 하는 랩으로 가시라는 것입니다. 국내 석/박이면 석사 때 wearable하고 박사때 다른 로봇을 할 수도 있습니다만, 유학이면 본인이 하던 분야로 박사를 지원하는 것이 제일 유리할 것이고 관심 분야가 있으면 spk가겠다고 굳이 돌아가는 선택을 할 필요가 있나 싶어서요.
그런 다른 분야 필요없고 웨어러블이 내 1순위다 하시면 제가 잘못 짚은 것이니 그대로 진학 준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4.06.12

1. 가능하겠으나, 사족/이족보행을 연구하는 업체가 많지는않고, 그렇기에 대부분 관련연구 졸업생을 선호하겁니다. 웨어러블도 종류가 다양하니, 모터기반의 제어가 들어간걸 연구하면 충분히 연관성을 어필할수있다고 봅니다.
2. 국내기업 한정으로는 맞는듯 합니다.
3. 산업전망이야 앞으로는 많아지겠고, soft robotics는 분야가 넓기에 뭐라하지 못하지만 사실 제대로 보여준게 pneumatic gripper정도밖에 없습니다. 예전이야 핫한 주제였지만, 지금은 origami robotics나 뭐 soft robotics가 예전만큼 관심을 받고잇지는 않고요.

저도 카이스트 로봇랩 졸업생이지만, 언급하시는랩 보면 P면 김기훈교수랩인듯하고, 카이스트면 뭐 김정/공경철/경기욱 랩일듯하네요. 우선 석사후 유학간다는 상황속에서 랩컨택을 통과하실수있을지부터 걱정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6.12

그리고 윗분말대로 웨어러블쪽 전공하면 학계로 가지않는이상, 대기업은 현차 로보틱스랩과 SR정도인데, 그 둘다 채용규모가 크지 않습니다. 특히 SR은 애초에 웨어러블 부서가 유지될지부터가 궁금하고요. 어차피 박사유학 생각하신다고하셨으면 지금 목표치와 나중 목표치가 달라질겁니다. 근데 저도 해외탑스쿨 포닥까지 했지만, 해외 탑스쿨에서 나와도 사실 갈만한곳이 다이나믹 로보틱스 이런곳말고는 또 애매하기도 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