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저도 그런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아쉽지만 메타인지 어서 하고 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게 좋겠죠.
2024.06.14
박사 학벌 따지고 있는 사람 있으면 같이 엮이지 않는것이 상책입니다. 실력 없어 내세울 것이 출신 대학원 밖에 없는 사람이라 엮이면 피해를 보죠. 탑티어에 커뮤니티라.. 저명한 교신저자 덕분에 떨어질 논문이 붙는 경우는 있지만, 단언컨데 논문 심사에 있어서 학교 영향은 0입니다.
대댓글 3개
2024.06.14
https://phdkim.net/board/free/55902/ 위 링크의 댓글에서처럼 탑티어 논문이라도 커뮤나 교수님 실적, 연구 방향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는 말씀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이런 말들때문에 머리가 살짝 복잡했는데 보일님 말씀이 맞았으면 좋겠습니다. 시간내어 댓글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4.06.15
지도교수 영향 있을 수 있다는 것은 기존 댓글에 드렸고요. 논문 억셉 or 리젝에 학교 영향이 있다는 글이 어디 있죠? 지도교수 영향도 그 분야에서 기반을 닦으신 "저명한" 교수에 한할 뿐이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2024.06.16
본인 경험 지도교수 영향력 매우큰듯요 물론 연구 결과가 평타는 되야 가능한 이야기입니다만 학위때 지도교수 동료교수가 탑티어 에디터였는데 그저널은 다른 저널보다 수월하게 리뷰들어갔던 경험이 있네요 그리고 피어리뷰에서도 악질 질문들은 뭔가 없는 느낌이어서 뭔가 에디터가 저희쪽에 호의적인 것이 느껴지더라구요 탑티어들 데스크 리젝률 보시면 아실텐데 지도교수 이름빨이 여기서 중요합니다. 포닥했던 유명한 미국 지도교수 일부러 끌고와서 탑저널 쓰는 경우도 그래서 그런듯 해요. 연구의 신빙성을 주는 꽤나 큰역할을 합니다.
2024.06.15
박사는 논문이 90%입니다. 열공하세요!
2024.06.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거국 좋은 학교인데 왜 열등감 가지시나요 ㅎㅎ
2024.06.16
진짜 한국에서나 설카포 어쩌구 지거국이지 외국 나오면 서울대가 어딘지도 모릅니다… 베트남에서 1위부터 5위 대학 어딘지 아시나요? 이런 비슷한 느낌일겁니다. 학벌로 스스로의 가능성을 예단하지 않으셨음 합니다.
2024.06.16
실력으로 NSC자매지 이상 뚫어보실 수 있다면, 단언컨데 어느곳에 가서도 꿀릴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학벌은 실적있으면 당연히 커버 쉽게 가능하고요, 반대로 학벌좋은데 NSC자매지 이상 없으면 그게 더 이상하고 낮게 평가받는 계기가 될수 있어요.
2024.06.14
대댓글 1개
2024.06.14
2024.06.14
대댓글 1개
2024.06.14
2024.06.14
대댓글 3개
2024.06.14
2024.06.15
2024.06.16
2024.06.15
2024.06.15
2024.06.16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