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59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9 - 진정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는 알고는 있냐?
훨씬 교수에게 부담되는 방식임.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4 - ㅋㅋㅋㅋㅋㅋ 덧글보다보니 강사 자부심이 대단한 사람이었네 ㅋㅋㅋㅋㅋㅋㅋ
네네 돈 많이 버시고 님은 교수 강의 평가할 짬이나 되시니 대한민국 교육에 대단한 일 많이 해주십쇼.
근데 석사까지 밖에 안나온거 같은데 교수들의 전공 박사 수업은 들은 적도 없는 것 같은데 기초과목 몇 개나 학부수준 전공 수업 몇 개 들어본걸로 대한민국 교수들의 강의력 어쩌고를 논하는건 좀...
교수들중에는 본인들이 참여한 세계 대학이 쓰는 교재도 집필한 사람도 있고, 가르치는 내용 자체를 직접 연구한 학자들인데 강사가 너무 나대는건 아닌지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4 - 맞음 교수 자격도 안되는 사람이, 사람도 안된 사람이, 인성 개차빈인 사람이 학생들을 가르치는 현실이 우리나라의 현재를 반영함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2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5 - 막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2 - 학회 교통비를 누가 자비로 부담하나요? 대학원은 의무교육이 아닌데 형편에 맞게 생활하거나 취직 하면 됩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7 - 교수가 생활비 얼마 들어가는지를 모르겠냐?ㅋㅋ 다 모르는척 하는거지 에효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4 - 님 논리 대로면 대학원은 의무교육 아니니까 가난한 사람들은 학자의 길 꿈도 꾸지 말고 중소기업 들어가야죠? 좋은 것은 가진 사람들끼리 해야겠죠? 그죠?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6 - 글을 중간만 읽고 처음과 끝은 못 읽는 독해력 대단하십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8 - 조교수 평균연봉 8천 ㅋㅋㅋㅋㅋㅋ 서울대면 솔직히 다른대학보다 20-30%더 줘도 아무로 뭐라할 사람이 없을텐데. 어휴 쪽팔린다 교수 연봉이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6 - 이게 17년 동안 대학등록금 강제로 동결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좋다고 난리였겠지만, 17년 동안 교수 월급이 안 오르니 누가 교수하려고 하겠나? 17년 동안 물가는 얼마나 올랐는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이 사회가 받는 것.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0
대학원 연구 분야 선택.. 너무 고민이 많네요
2024.06.28

대학원에 갈 장학금을 받기 위해 현재 일본어 공부와 토플 공부를 하고 있고, 적대적 ai공격에 대처하는 방어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장학금 시험을 준비해야해서 연구 분야를 빨리 정하고 그 분야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야 하는 상황인데요.지금 하고있는 방어 프로젝트를 완성한 후 그를 토대로 사이버보안 연구실에 갈까 생각도 해보았고, 새로 도메인을 정하거나 그래프쪽을 1년반동안 열심히 공부해서 그 분야를 연구할 수 있는 실력을 키우자라는 생각도 드는 요즘입니다. 많은 분들이 미련하게 볼수도 있겠지만 엄청 확 끌리는 분야는 사실 없고, 저는 대학원 진학 이유가 타지에서 제 가치를 높이자 라는 생각이 더 큽니다. 그래서 분야를 어떻게 정해야 할지, 정한 후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지도 많이 고민이 되네요. 따로 학교에서 수업으로는 가르치지 않는 분야라서요.. 학교도 연구실이나 이런것들이 잘 되어있지않아서 학교 내에서 무언가를 얻기 조금 힘든 상황입니다.. 많은 경험을 해보신 김박사넷 선배님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하실지 궁금합니다. 오늘 오랫동안 고민을 해서 정신이 없어 글이 두서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ykssh 대학원 선택 김GPT 0 9 1502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1 13 1713
대학원 분야 결정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3 6 774-
0 7 1221
냉정한 판단 부탁드립니다... 김GPT 5 15 3167
대학원 고민입니다. 김GPT 0 6 1589-
0 6 945 -
0 8 914 -
0 8 1366 -
413 75 56250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320 101 90818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79 43 4702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3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3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7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1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4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4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9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38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2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20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50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4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8 - AAAI Phase 2
15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10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4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1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1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3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3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3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7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1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4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4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9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38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2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20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50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4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8 - AAAI Phase 2
15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10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4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1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1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3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3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