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 진학의 꿈을 가지고 있는 학부 3학년입니다. 저는 학부 1학년때부터 자대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고 있어서 논문도 읽어보고 교수님과 면담도 많이 해봤습니다. 점점 졸업학년이 다가올수록 주변의 조언아닌 조언에 휘말려서 제 목표인 대학원을 포기하게 될까봐 겁납니다. 혹시 연구/논문/대학원 관련된 주제의 서적을 추천받을수 있을까요? 읽고 마음을 다시 잡아보려합니다 저는 의지가 굳건한데 주변 친구들과 지인들이 굳이 대학원을 왜가냐 그먕 취업허지 등등 함부로 말해서 많이 힘듭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7.09
보통 내가 라면을 끓여먹겠다고 하면, 젓가락정도는 나무 젓가락이라도 내가 준비하든, 사가지고 라면을 끓이는 법을 알려달라고 하는데. 남겨주신 질문은 젓가락을 어디서 사나요? 젓가락좀 구해주세요 라고 하는 것 같아요.
최소한 내가 어떤 분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 정도는 본인이 판단하시고 물어보는걸 추천드립니다. 학부 3학년인데 아직도 이걸 말 못하시면 좀 늦은 감이 있어 보이네요.
대댓글 5개
2024.07.09
김박사넷이 처음이라서 글을 길게 써도 되나 싶어서 생략했었는데 생각해보니 제일 중요한걸 빠뜨렸네요.. 전공은 바이오 이공계쪽이구요 연구는 단백질 공학쪽으로 하고 싶습니다. 저는 전공관련 서적이 아닌 단지 대학원을 고민하고 있는 사람이 읽을만한 책을 추천받고 싶긴 합니다.
2024.07.09
무슨 과목을 공부할지 알면 서적은 검색해보면 되는거 아닌가요?
2024.07.09
연구를 하고 싶다가 아니라 학부때 듣는 과목이 무엇인지 기초가 부족한거 같고 인터넷 검색을 할 정도의 의지가 전혀 없으신데 그냥 대학원은 전혀 안 맞아 보이네요
2024.07.09
제가 말을 오해하게 했나봐요 댓글을 읽고는 전공을 말씀드려야 할것 같아서 전공을 언급한거지만 저는 전공관련 서적은 충분히 읽어봤습니다. 제 현재 상황에 맞춰서 추천받고 싶다는 뜻이였습니다. 취업과 진학의 갈림길에 서있는지라 저조차도 확신이 안서서 혹시 이와같은 책이 있으면 추천을 부탁드린다는 뜻이였습니다. 저는 책으로 위안을 많이 얻는 편인지라 책을 추천부탁드린다고 말씀드린겁니다. 인터넷 검색도 충분히 해봤지만 대학원생들이 많은 커뮤니티다보니 저와 상황이 비슷했던 선배들이 읽은 책이 있지않을까 싶어서 글을 올린것 입니다. 댓쓴이님께 추천해달라고 하는건 아니니 추천해줄것 아니시면 나무라지 마시고 그냥 지나가 주세요
2024.07.11
셰익스피어님 전공관련 서적이 아니라, 대학원 자체나 연구에 대한 책이 읽고 싶다고 하잖아요. 다른 사람 비판하기 전에 글을 안읽는 본인 습관도 한번 되돌아보는게 어떨까요?
2024.07.09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대댓글 3개
2024.07.09
개추
2024.07.09
직접 주변 선배에게 묻는게 빠르겠지만.. 간접경험이라도 원하면 이 책 추천해요
2024.07.10
이제야 봤네요 추천 감사합니다ㅎㅎ
점잖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4.07.09
그냥 인턴을 하세요 그게 빨라요
대댓글 1개
2024.07.10
학연생 말씀하시는거죠??원하는 랩에 자리가 없어서요..ㅜ
2024.07.10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ㅋㅋㅋ 책 유명하죠 추가로 과학 논문 쓰는 법 이라는 책이 있는데, 저는 이 책도 추천드려요. 논문 작성하며 정말 도움 많이 받았어요 참고로 댓글을 처음 써보는데, 김박사넷이 익명이라 그런지 좀 쎄게 말씀 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작성자님 글 쓰신거 보면 딱히 문제되거나 오해할만하게 쓰시진 않았어요. 대학원 입학 전 흔들리지 않게 마음을 다잡을 수 있는 책 추천해달라고 하신 거 다 알겁니다 ㅎㅎ 개인적으로는 책도 좋지만 늘 왜 대학원을 가고싶은지 스스로 돌아보는게 어떨까 싶어요! 개인마다 동기를 어디서 받는지 다르니까
2024.07.10
현직 교수인데 대학원은 흔들리면 안가는게 맞아요. 누가 때려죽여도 간다는 생각으로 가도 힘든 곳입니다.
2024.07.10
근데 마음을 왜 다잡아야 할까요? 그럴때는 다잡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들여다 보셔야 합니다. 왜 내 마음이 흔들리는 것인지.. 방향을 정해놓고 내 마음의 파동을 다잡기만 하면 나중에 생각보다 힘드실 수 있으세요.
2024.07.09
대댓글 5개
2024.07.09
2024.07.09
2024.07.09
2024.07.09
2024.07.11
2024.07.09
대댓글 3개
2024.07.09
2024.07.09
2024.07.10
2024.07.09
대댓글 1개
2024.07.10
2024.07.10
2024.07.10
2024.07.10
2024.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