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는, 학부 학벌이 현실적으로 중요하다고 해서 학부 따지는 게 당연한 줄 아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2024.07.17
17
7465
대충 생각해도 '학문'의 전당인 대학원에서의 성과보다 수능 성적을 우선시하는 '학계'는 정상이 아니란 건 알 수 있는데,
그런 풍조에 반발하기는커녕 주류가 동조, 기여나 하고들 계시니 웃기네요.
'이미 학부 학벌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걸 낸들 어쩌랴?'
그건 그냥 패배주의고, 님들 한 분 한 분부터가 애초에 익명의 고학벌의 가상인격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는 것에 절여 있는데 당연히 "이미" 그렇게 되어 있고, 될 수밖에 없죠.
대한민국 학계의 미래가 참 밝습니다.
분명 이 글에는 저의 학벌이나 열등감 따위에 대한 비하성 댓글이 달릴 거예요. 그러면 그를 통해 자연스레 방증이 된 거죠.
여러분이 학부 학벌 얘기만 나오면 얼마나 집착하고, 시간 낭비, 에너지 낭비까지 할 정도로 미쳐 있는지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4.07.17
하시고자 하는 말씀에 대략적으로 동의는 합니다만, 이 커뮤니티는 석사/박사 후 취업을 원하는 어린 학생들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사실을 모르고 글을 쓰신 것 같습니다. 여기서 대한민국 학계의 미래를 걱정하면서 혀를 차봤자 "그런 얘기 할거면 하이브레인넷 가세요." 하면서 시큰둥해 할 사람이 훨씬 많을겁니다.
2024.07.17
무슨 말씀인지는 알겠으나, 제가 글들을 보고 이해한 것과 매우 다르네요. 대학원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은 특성 상, 대부분의 학벌은 '학부 학벌'이 아닌 '대학원 학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학벌'이 통용되는 사회를 비판해야지, 어디 그 비난이 '학부 학벌'로 한정되서야 되겠습니까. 저는 오히려 '학벌'이라는 토대 위에서 이제 '학부 학벌'을 넘어 있지도 않은 '대학원 학벌'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고 있는 상황이 개탄스럽네요.
2024.07.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여기에서 따지는 학벌은 대학원 학벌입니다. 이 또한 비판받아야 마땅하구요
대댓글 2개
2024.07.17
오히려 학부 학벌이 더 중요하다고 할때도 많죠. 원글 작성자가 좋은 대학 (최소 서성한) 나오고 글을 쓰는거면 몰라도 본인이 낮은 대학 나오고 저런글 쓰는거면 자격지심일 뿐이 되는거죠. 예쁜여자는 예쁜여자 욕 안하듯이, 고학벌은 고학벌 안까죠 보통.
2024.07.17
학부 학벌이 더 중요하고 말고를 떠나, 게시판에 말도안되는 학벌 논쟁'들'이 있는데 대부분 대학원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콕 찝어 '학부 학벌' 만 문제라고 하는 것은 매우 이상한 것 같네요.
2024.07.17
학부는 기본이고 대학원 학벌이 중요하다는거죠 ㅋㅋ 그런데 학부 별개로 연구를하고 논문을쓰고 연구자로서 역량은 단순 주입식 위주 공부로 가는 학부 학벌과는 별개의 역량이라는거임.
2024.07.17
개인적인 느낌에 따르면.... 어중간한 곳에 있으면 학부니 어느학교 출신이니 이러면서 따지는거 같고 최상위권에서 일을 하고 있으면, 같은 학교출신이면 잠깐 반가운 정도이고 그이상 그이하도 아닌거 같던데 지금 현재 연구 잘하고 있는 사람이 깡패이지, 고등학교때 공부 잘한걸로 따지는 사람 있으면 내주위에 있는 사람들도 다 손절 칠듯
2024.07.18
skp 학부 이하인 김박사넷 사람들은 열등감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거 지적하거나 돌려말하면 난리치더라구요
대댓글 1개
2024.07.18
취지에 동감하는 것은 아니나 SKP 학부 이하면 SKP도 포함입니다.
2024.07.18
미국이 모델인데 당연한 거 아니겠어요~ 미국도 아이비리그 있잖아요, 미국이 더 합니다. 모델을 프랑스로 했으면 서울대는 예전에 없어졌죠, 미국에서 대학 나온 사람들이 보면 웃기는 소리죠 ㅎ 미국의 주립대보다 못한 대학들인데 하고 ㅎㅎ
2024.07.18
학벌이 전부인 한국에서 머 어쩌겠나요
만만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4.07.18
대한민국 학부 학벌은 사실상, 실질상 카스트에 해당함. 수능, 내신에 학부모나 학생이 쏟는 에너지는 인생 전체의 70%임
IF : 1
2024.07.18
그나마 연구직이 실적으로 경쟁하기 때문에 제일 공정한거야. 20살도 아니고 학부 학벌 징징징 하는거 좀 신기함. 다른 분야(특히 문과 쪽)에 비해서는 정말 학벌 안따지는데. 여기서 학벌 얘기하는 애들은 참 세상 물정 모르는거 같아. 실력+실적만 있으면 지방대 박사도 카이스트 교수 되기도 하는게 연구직이야. 어떤 분야는 그냥 학교 이름 보고 바로 서류 탈락인 곳도 얼마나 많은데 거기에 비하면 얼마나 연구직이 그나마 공평한건데...
2024.07.18
닉네임 말고 인증된 학부 학벌 뜨게 만들면 좀 고쳐지지 않을까요 ㅋㅋ
2024.07.19
아 그래서 돈되고 현실적인 좋은 연구 많이들 하셨어여? 뭐했는지 한번 봅시다. 국민들이 만족하고 기억에 오래 남을만한?? 있나요들? 연구마음보다는 학교 부심이 강한 분들만 가득하고 안되면 선배탓 옆 사람탓 교수탓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4.07.17
2024.07.17
2024.07.17
대댓글 2개
2024.07.17
2024.07.17
2024.07.17
2024.07.17
2024.07.18
대댓글 1개
2024.07.18
2024.07.18
2024.07.18
2024.07.18
2024.07.18
2024.07.18
2024.07.19
2024.07.19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