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요약: 기본적인 수학능력 + 하기 싫은 일 얼마나 참고 할 수 있냐.(노예와 책임감 그 사이)
대학 학점 보다 수능이 더 중요한 건
가장 공정하고 객관적이고 가장 기초적이기 때문임.
대학은 교수한테 좀 잘보이면 A- 나올꺼 A+ 주지, 비슷한 수준끼리 모아놔서 1~2문제로 A 될꺼 B되지, 족보 있어서 선배한테 잘 보이면 학점 잘 나오지
이렇게 공정하지 않은 시험이 또 없을 수가 없음.
가장 중요한건 하기 싫은 일 참고 할 수 있냐 인데,
10대 때 안 돼있으면 그 습관 안고쳐짐.
대학원 와보니까 학벌 세탁 목적으로 대학원 온 애들이 능력도 없으면서 불평불만 많고
귀찮은거 안할려 그러고 툭하면 탈주하고 그러더라.
이게 전형적인 MZ 특성이랑 이어지는데 그래서 그런지 요즘 교수님들 20대들 잘 안 뽑을려 그러더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6개
부지런한 프랜시스 크릭*
2023.09.20
대부분 내용에 동의하지만,
10대 때 습관 안고쳐진다는부분은 동의못함.
목적(동기) 없이 공부하는 수능과 셀프모티베이션 되어서 하는 연구는 천지차이
능력없는 애들이 불평불만하는 것 보다 능력없는 애들이 아무것도 안하는게 더 심각함.
대댓글 6개
2023.09.20
고쳐진다 쳐도 그걸 검증할 방법이 수능만큼 모두가 공감하고 객관적일 수단은 없다고 봅니다.
부지런한 프랜시스 크릭*
2023.09.20
뭔소리임 대학원생 맞음? 대학원 들어온 이상 논문실적이 모두가 공감하고 객관적인 검증할 방법인데.
수능평균 5등급학생이 네이쳐본지 단독 1저자로 출판해도 그런말 할 수 있음?
2023.09.20
검증 이라는거는 연구실 들어오기 전 사람들을 얘기하는건데 님이야 말로 뭔 소리 하는거임. 이미 연구실 들어온 사람을 왜 검증하고 앉았음. 그리고 만에 하나인 경우 가지고 논점 흐리지 마셈. 그런 경우가 보편적이면 몰라 어쩌면 하나 나오는 케이스까지 다 고려해서 글 쓰라고 하면 무슨 글을 쓸 수가 있음.
부지런한 프랜시스 크릭*
2023.09.20
뭔소리임. 아무도 님한테 글쓰라안했음. 나는 10대때 검증가지고 동의 못한다 했고 이 말은 수능의 한계점을 말하는거임.
그리고 만에 하나인 경우가 세상을 바꾸는거임. 노벨상을 받는 연구자글이 보편적인 경우임? 님은 연구할 자격이 없음
2023.09.22
어느정도 맞지만 충분히 대학가서도 바뀝니다 그리고 공부랑 연구는 아무 관계가 없다 라고는 못하긋지만 그리 큰 영향은 없더라고요
실제로 계속해서 1등하던 친구가 연구하라하니 오히려 더 못하는 경우도 왕왕있고 반대인경우도 봤어요.
2023.09.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리있는 말인데. 5등급맞고 네이쳐 쓸수야 있지. 가능성이 지극히 낮은게 문제지만. 그런 경우가 주위에 있으면 아니라고 해더되는데 아마 없을걸. 있다고해도 일반화하면 안되지. 학벌컷을 일반화하지말라면서 가능성이 희박한건 일반화하는 이유가 뭘까
자상한 버지니아 울프*
2023.09.20
보통 이런분들이 가장 내세우는게 학부부심이죠
2023.09.20
아 근데 이건 적어도 대학원에서는 내가 반례를 너무 많이 봤기때문에 절대 동의할 수 없음
대댓글 6개
2023.09.20
사람은 원래 본인이 경험한 내용만 쓸 수 있기에 내가 경험한 내용 중에서 쓸 수 있는거지 경험하지도 않은 내용에 대해서는 쓸 수 없기에 님이 공감을 못한 부분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함. 내가 잘못된것도 아니고
부지런한 프랜시스 크릭*
2023.09.20
ㅇㅇ 그래서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위험하다고 딱 작성자를 두고 하는말임
2023.09.20
학벌컷 있는 연구실 교수님들 싸잡아서 광역딜 하고 있네 ㄹㅇ 위험한 사람이네
2023.09.20
광역딜은 본인이 하고계신거 같네요. 지금 작성자는 '신념을 가진 무식한 사람'을 보고 '학벌컷 있는 랩 교수들'이라고 해석한 것이잖아요? 대댓글은 '딱 작성자를 두고 하는 말이다'라고 했는데 말이죠.
2023.09.20
학부가 안좋은 사람들이 발광하고 있는건가.. 학부랑 논문실적만큼 상관관계 큰건 없는거 같은데 본인은 탑실적 내고 졸업한 사람이고. 대부분의 경우 학부가 좋으면 머리가 잘 돌아가고 실험을 스마트하게 해서 논문 쓸 거리를 잘 만듬. 학부가 좋으면 국어 외국어 능력도 좋으니 논문도 잘 써서 좋은곳에 퍼블리쉬함. 반면에 학점은 그보다 훨씬 상관관계가 낮음. 지방대 출신들이 YK이상 대학원 가려면 당연히 학점은 좋아야됨. 근데 지방대에서 학점 좋은애들 대부분 그냥 선배한테 족보만 받아서 학점 받은거로 의심될 정도로 지식수준 처참하고 실험도 못 함. 물론 지거국 정도에서 수차석 급이면 열심히 하고, 실력도 좋을 수 있겠지만 학점만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었음. 학부도 좋고 학점도 좋으면 당연히 에이스 후보이겠지만, 학부냐 학점이냐 둘중 하나면 나는 무조건 학부임. 학부가 좋은데 학점이 낮으면 조금 게으를 수는 있으나 (나도 그럼) 일을 잘해서 일을 적게 하고도 성과는 잘 낼 수 있음. 학부는 낮은데 학점이 높으면 극소수 케이스는 일을 열심히 하고 머리도 뒤늦게 깨우쳐져서 성과도 잘 내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열심히는 하지만 머리가 부족해서 성과는 안나옴. 열심히도 안하고 학벌세탁만 하려는 경우도 흔함. 반박하려면 본인학부, 수능%까고 얘기하자. 참고로 나는 수능 상위 0.5%다.
2023.09.22
나는 0.49%인데 치킨 맛있음
2023.09.20
요즘 교수님들 20대들 잘 안 뽑을려하면 도대체 몇살을 뽑으려함?
대댓글 2개
2023.09.20
'잘' 안 뽑을려 한다===ㅇ '안' 뽑을려 한다 ===x
2023.09.20
요즘 교수님들은 MZ 비선호하고 경력직 4-50대를 선호해요.
2023.09.20
석사 기준 입학 시점이 20대가 아닌 사람과 20대인 사람의 비중이 비교가 됨? 후자가 압도적으로 많을텐데 ‘안’ 뽑으려 한다는 말은 동의가 어렵네 ㅋ
2023.09.20
이거맞음 내 동년배들 교수라서 들은건데 요즘은 30대를 훨씬 선호한다함
대댓글 1개
명석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3.09.21
90년대 초반생 매년 70만명 출생아수 90년대 후반생 매년 50만명 출생아수 03년생 40만명
90초반년생 상위 15퍼 10만등 = 수원대 평택대 03년생 상위 15퍼 6만등 = 건국 경희 동국 라인
ㅋㅋㅋㅋㅋ 심지어 90년초반에는 의치한 지금정원 반밖에안됨.
요즘은 학벌이 무의미한정도
2023.09.20
TOP 20 대학에 진학할 정도 학생이면 노력 한다는 가정하에 뭘 해도 잘 할 수 있을듯.
2023.09.21
"교수한테 좀 잘보이면 A- 나올꺼 A+ 주지" 어느 개잡대가 학점을 지맘대로 주나
대댓글 5개
2023.09.21
15개 대학 중 A학점을 가장 많이 준 학교는 동국대로 71.4%였다. 10명 중 7명이 전공과목에서 A학점을 받았다. 중앙대(71.2%), 연세대(70%)가 그 뒤를 이었다. 다음은 이화여대(67.7%)와 서울대(66%), 숙명대(64.3%), 한국외대(62.9%), 건국대(59.9%), 경희대(59.8%), 고려대(59.7%), 서울시립대(58.8), 서강대(57%) 순이었다.
여기서 개 잡대? 좀 찾아보고나 덤비지.... 내가 저기 중 한 군데임
IF : 1
2023.09.21
리스트 중 잡대 비중 높네. 저중 하나면 sky는 아닐거고. 생각하는 거나 말하는 논리는 대학생 수준도 안되지만.
나 SPK현직인데, 나이로 특정 학생을 선호/비선호 한 적은 아직 없다. 35이상이면 별로지만.
그리고 대학원 입학에서 제일 중요한 기준은 GPA지. 왜냐면 제일 최근 지표니까. 물론 학벌에 따라 보정이 들어가긴 한다. SPK에서 3.5면 지거국 기준 4.0이랑 체감상 비슷하다.
근데 수능이 제일 공정하고 객관적이란 근거는 딱히 없다 공정/객관성만 따질거면 더 나은 지표도 많아. 100미터 달리기, 턱걸이, IQ, 기타 등등.
무엇보다 Relevant하질 않잖아! 일단 수능 점수라는게 4-6년 전 기록이고, 지식을 습득해서 문제를 잘 풀면 되는 수능과, 자신의 문제를 찾아서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 연구 능력 사이에는 상당한 갭이 있지.
2023.09.21
성적산출을 기준없이 바꿔준다는걸 지적햇더니 A를 많이주는 학교를 가져오네
명석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3.09.21
저정도면 저출산 뻥튀기 학벌+ 코로나 학점 인플레로.
그냥 운좋게 대학갔다는거같은데,
90년대초반이면
수원대 평택대 가셨을듯
2023.09.21
대학원생 후배들 퍼포먼스 및 지능 보면 Spk 3.5 하고 지거국 4.0 절대로 안 비슷합니다. 특히 의사소통과 기본 재능의 측면에선 정말 차이가 큽니다.
초인기랩은 모르겠지만 Spk 상위 랩에서 학부생 받을때 과고생 조졸자 다 들어간 풀의 자대생 3.5는 결코 만만한 재능의 애들이 아니었고 빈번히 들어오지도 않습니다.
Spk 3.5인 학생이 뺀질거리면서 연구실적이 안나올수는 있기 때문에 지거국 과탑 정도 대학원생의 아웃풋이 결과적으로 좋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만,
이런식으로 올려치기하는건 행복회로입니다.
2023.09.21
시간 아깝다. 이런 수준 낮은 글을 읽었다니....
2023.09.21
인간 사회에서 힘이던 능력이던 부던 차별이 없던적은 없었지만, 현실을 받아들이고 차별해소를 위해 노력하는거랑 차별을 지향하는거랑은 다른문제라고 봅니다. 말마따나 현대사회가 이래서 님이 이딴 똥글쓰고 살아남는거지 중세에 태어났으면 비리비리한 몸 끌고 귀족들 똥이나 받으셨을거잖아요.
씩씩한 피보나치*
2023.09.21
지방 대학 출신 대학원생에게 이겨볼 만 한게 수능 점수 밖에 없으신가 봅니다
2023.09.21
김학사넷이네
도도한 플라톤*
2023.09.21
한줄요약: 기본적인 수학능력 + 하기 싫은 일 얼마나 참고 할 수 있냐.(노예와 책임감 그 사이)
대학 학점 보다 수능이 더 중요한 건
가장 공정하고 객관적이고 가장 기초적이기 때문임.
대학은 교수한테 좀 잘보이면 A- 나올꺼 A+ 주지, 비슷한 수준끼리 모아놔서 1~2문제로 A 될꺼 B되지, 족보 있어서 선배한테 잘 보이면 학점 잘 나오지
이렇게 공정하지 않은 시험이 또 없을 수가 없음.
가장 중요한건 하기 싫은 일 참고 할 수 있냐 인데,
10대 때 안 돼있으면 그 습관 안고쳐짐.
대학원 와보니까 학벌 세탁 목적으로 대학원 온 애들이 능력도 없으면서 불평불만 많고
귀찮은거 안할려 그러고 툭하면 탈주하고 그러더라.
이게 전형적인 MZ 특성이랑 이어지는데 그래서 그런지 요즘 교수님들 20대들 잘 안 뽑을려 그러더라
대댓글 1개
명석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3.09.21
ㄴㄴ
수능이나 내신도
그 해당년도에서 나누는거지.
모든 년도 통합으로 생각해보면
90년대후반부터는 학벌이 무의미
90년대 초반 국숭세단 = 90년대 한성서랑 백분위가 같음
2023.09.21
내가 만났던 지거국 차수석들은 진짜 처참했었음 나는 학점 안좋은편인데도 내가 다 떠먹여줘도 이해를 못하더라...아닌사람도 있겠지만...
2023.09.21
박사 커뮤에 이런글 올라오는거 볼때마다 어린 작성자분이 한심해서 한숨만 나오네요...
김박사넷이 아니라 김학사넷으로 고쳐야되지 않을까...?
명석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3.09.21
글쓴이가 90년대 후반학번에 최소 연고 한성서 라인이라고봐줘도
90년대 초반학번으로보면 국숭세단임.
그냥 학벌뻥튀기된 시기에 잘태어난거지 실력은 없는게 뻔히보임.
90년대 초반생 매년 70만명 출생아수 90년대 후반생 매년 50만명 출생아수 03년생 40만명
지거국 학점 높은 학생들도 당연히 연구 잘 할 수 있고 잘하는 사람 많죠. 젊은 학생들 모두 열정과 무궁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학벌 글들을 보면 우려되는 건 실제로 대학원 1년차, 2년차 학생들 사이에서는 학벌 차이가 나는 경우 분명 실력 격차가 보이고 유의미한 연구 성과 차이도 보이는데 이러한 언급 자체를 아예 부적절한 것으로 취급한다는 겁니다.
실력 차이를 메우고 유의미한 연구 성과를 내려면, 우선 자기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데, 거의 학벌 얘기만 나오면 논박과는 무관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기는 합니다
2023.09.22
그 조그만 나라에서 spk니 지방대니 뭐니 갈라치기 줄세우기 ㅋㅋㅋ 미국에서도 mit니 주립대니 이런 줄세우기도 안하는데 출산율 0.7퍼라 10년 20년뒤면 어찌될지 궁금하네ㅋㅋ
대댓글 2개
2023.09.22
0.7
2023.09.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에서 줄세우기 하는애들 보면 아시아애들 ㅋㅋㅋ
2023.09.22
모든대학생이 수능보고 대학가냐 진짜 이런저능아가 뭔 연구야
대댓글 1개
2023.09.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집이 거지인데 나름 열심히 공부해서 어렵게 정시로 괜찮은 학교 들어갔나봄 ㅋㅋㅋ 자기 부모를 탓해야지 누굴 탓하냐
2023.09.23
나름 논리전개했는데 나름 이네
2023.09.23
다른 건 동의 못 하는데. 수능이 하기 싫은 일 하는 능력이라는 건 정말 공감한다. 특정 과목만 1, 2 등급이고 그 외 5등급 이하였던 경우 대학 와서도 전공 A, 교양 다 C~Bㅋㅋㅋㅋ
2023.09.24
여기 지잡이 만선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3.09.24
김박사에 열등감에 쩐 댓글이 왜많은지 이글보고 알았다 ㅋㅋㅋ
2023.09.25
역시 김박사넷은 재밌어
2023.09.27
그겨슨 you가 학계에 있고 고용주의 입장이 되어본적이 없기 때문
2024.04.16
사회 생활이나 제대로 해보고 글을 싸지르시길... 오르비도 아니고... 연구 실적이 없는데 학벌?? 연구가 만만해 보이나요??
2023.09.20
대댓글 6개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2
2023.09.24
2023.09.20
2023.09.20
대댓글 6개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2
2023.09.20
대댓글 2개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대댓글 1개
2023.09.21
2023.09.20
2023.09.21
대댓글 5개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대댓글 1개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대댓글 5개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1
2023.09.22
대댓글 2개
2023.09.22
2023.09.22
2023.09.22
대댓글 1개
2023.09.23
2023.09.23
2023.09.23
2023.09.24
대댓글 1개
2023.09.24
2023.09.25
2023.09.27
2024.04.16
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