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자로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

2024.07.27

13

2866


저희 교수님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고 하시네요.
본인의 능력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하셨습니다..

교수들끼리 식사하면 연구얘기는 하나도 안하고
그 집 자식 얘기, 연구랑 하나도 상관 없는거, 시덥잖은 얘기들
결국 그런 것이 중요하다고 하시네요.

저는 일단 스스로의 능력향상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랩실 사람들과 비즈니스적으로만 생활하고
논문, 실험, 분석에만 몰두하면서 2년반을 보냈는데
능력은 그렇게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고 하셨어요.

저는 랩실사람들과 수다떨고 술먹는 시간보다 논문읽고 공부하는게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스스로를 고립시키며 악으로 했는데
이게 아니었나 봅니다ㅠㅠ

공부보다는 같이 어울리고 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게 맞나요?

그래도 실력이 중요할 것 같은데 중요하지 않다니..
사회성은 부족한 것은 맞아서 개선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은 하는데
랩원들과 성향이 안맞아서 어려운 것 같습니다ㅠ

교수님은 싫어도 친해져야 한다 무조건 그러시는데
참 어려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저는 할 일 잘하고 그냥 비즈니스적으로라도 잘 지내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7.27

능력과 실력은 기본석으로 당연한거고, 올라가면 실력없이 살아남는사람은 없음. 거기에 더해 사회성, 레퓨테이션, 인품을 갖춰야 하는 것이지, 입으로만 먹고살수 있는 세상이 아니라고 생각함. 애초에 상대로부터 내 실력에 대한 레퓨테이션을 얻지 못하면 좋은 관계가 성립하기도 어려움.

사회성이 기준미달이면 혼자 똑똑이여도 세상살기 팍팍한건 맞지만 애초에 똑똑이가 아니면 입구컷임.

IF : 1

2024.07.27

사생활 이야기를 막 하면 나중에 말도는데요??? 사상 검증이라도 하려 하시나?? 꾸밈 없는 사람 뭐 이런 거 판별하고싶어하는거 같아보이네요. 그런데 사람은 저마다 기준으로 보이고 싶은 모습을 정하는데…. 너무 다 오픈하는 것도 병이에요. 적당히 얘기 안 할 거 안 하면서 살아야지, 듣는 사람도 안괴롭고 관계가 유지되요. 너무 보이고 싶지 않은 부분 까지 파고들려는 사람도 경계해야 합니다. 자기 자신을 못 지키게 되요.

2024.07.27

교수 정도 레벨이 되면 스스로 연구할 능력은 충분히 갖춘겁니다. 랩을 꾸려 제대로 돌리려면 과제를 수주해야하는데, 혼자 골방에 틀어박혀서 과제 따 내기는 거의 불가능해요. 여기저기 원치 않아도 네트워크를 해야합니다. 특히, 요즘 정부에서 강조하는 집단과제, 글로벌 과제를 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죠. 능력, 실력이 중요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전문성은 박사 또는 교수의 기본인 것이고 그 안에서 또 살아남으려면 싫어도 네트워킹은 필수적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시면 되겠습니다.
명석한 카를 가우스*

2024.07.27

틀린 말 아니고 오히려 교수 안에서도 실력이 나뉘는데 동일 실력이면 우직한 사람보다 실력 살짝 부족해도 친화력 좋은 사람이 더 잘나감

2024.07.27

사회성 부분에서 우려되는 부분이 많에 언급돼서 돌려서 얘기하신 건 아닐까요? 연구는 당연히 기본인거니

2024.07.27

아무리 능력이 좋아도 남의것 뺏고 인성 안좋은 인간들은 나중엔 아무도 같이 일하려고하지 않는다

2024.07.27

거기에 담긴 속 뜻은 '연구능력은 기본이고' 입니다.

2024.07.27

어떤 상황에서 교수님이 저 말을 했는지가 관건이겠네요.

단순히 밥먹다가 연구자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고 설교하신거면 앞선 댓글처럼 생각하면 되는거고,

그게 아니고 트러블이 있어서 오피스에 불려가서 진지하게 하신 말씀이면 그건 본인이 랩실 사람들과 비지니스 관계로 지낸것이 아니라 트러블을 쌓으면서 살고 있던 겁니다. 본인은 그냥 비지니스관계였다고 생각하겠지만요.
동료가 째만 같이 술 안마신다고 교수님께 말한것은 아닐것이지 않겠습니까? 당연히 연구에 협조도 안되고, 본인 잇속만 챙기는 행태가 있으니 교수님께 말한 것이겠지요.

이러한 후자의 경우면 그건 교수님이 착하게 할한거지 커뮤니케이션을 잘해서 동료와 짝짜쿵 친하게 지내라는 뜻이 아니라 기본만 하자, 제발 사람답게 하자. 라는 뜻입니다...

2024.07.27

위에도 언급이 되어있지만, “교수가 될만한 능력이 있어 교수로서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간에서는..이라는 전제조건이 있어보입니다.

본인이 쓴 글에서 “교수“를 학생이나 포닥으로 치환하면 말이 안된다는 걸 느낄겁니다. 그게 맞아요. 다만 나중에 교수가 되시고 나면 교수님 말 같이 그쪽 능력이 필요해집니다. 부족하다고 느끼면 늦어버리니 미리 그쪽 능력을 키워두셔야 합니다.

2024.07.27

의도를 파악해보자면 글쓴이가 너무 사회성 없이 랩 구성원과 잘 지내지 못해서 하신 말씀 아닐까요...? 물론 실력이 중요하지만 강조 차원에서 하는 말씀인 것 같네요.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실력이 중요한건 맞는데

그 말을 하는 상황은 아마 그런상황이 아니었을거같음

말귀 못알아듣는거 보면 사회성을 강조할만한 상황같음ㅋㅋㅋㅋ

2024.07.28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모든 곳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2024.07.29

실력은 기본이고 커뮤능력이 제일 중요한듯
연구 특성상 혼자 할수 있는 연구보다 그렇지 않은 연구들이 훨씬 많음
인간한테 주어진 시간은 한정 되어있음
그래서 모든 지식과 노하우를 경험하고 다 머리에 담아낼수 없으니 연구에는 대부분 누군가의 협력이 요구 되는 경우가 빈번함
타인과 협력할때 커뮤 능력이 떨어지면 연구 결과가 산으로 갈때도 많고, 서로 오해해서 연구가 틀어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이 경험함
충분히 상대방을 이해하고 대화해서 연구 외적으로도 파악해서 소통하는게 중요함
비지니스적으로 내 할거만하고 내 기준에서 판단하면 상대방이 오해하기 딱 좋음
연구하면서 제일 힘든건 실험이라기 보다 인간 관계와 소통의 문제인것 같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