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대 대학원' 을 1년 동안 고민하다가 더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대학원을 진학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늦게 결심한 탓에 대학원 컨택 시기를 놓쳤다고 생각하여, 다음 컨택 시기를 노리고 있어요.
1년의 휴학 기간 동안 부족한 어학 성적을 쌓고, 랩실 컨택과 학부 연구생 인턴 생활을 할 계획입니다. (*2학기에만 열리는 재수강 과목이 있어 휴학은 1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휴학 상담하면서 교수님께 이를 말씀드렸더니, 대학원을 진학하기 위해서 휴학하는 건 시간이 아깝다고 하시더라구요. 아직 늦지 않았고 지금이라도 컨택 시도를 하라고 말씀하시네요 ㅜㅜ
정말 대학원을 진학하기 위한 휴학은 아까운 시간인가요 ..?
선배님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8.20
가고싶은 특정 랩실에 진학하기 위해서 1년을 기다리는 게 아니라, 막연하게 대학원을 가기 늦은 거 같다고 판단돼서 1년을 휴학하는 것은 좀 아닌 거 같은데요 ?
사실 카이 제외 25년 1학기 대학원 공식적인 접수도 시작 안 했는데 포기하긴 이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박사를 무조건 하신다면 또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 석사 하고 졸업하는 것을 생각하신다면 50%의 기간인데 손해가 크지 않나 싶어요
대댓글 1개
2024.08.20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아직 어느 랩실에 가고싶다는 결정을 하지 못한 상태에요
랩실 선택은 신중히 해야한다는 생각에 알아보는 것만 시간이 오래 걸리네요...
일단 당장은 관심있는 분야 랩실 교수님께 면담 신청이라도 보내봐야겠어요 ..!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8.20
젊은 나이라서 시간 아까울거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8.20
저도 1년이나 쉬는 건 아깝다고 생각했는데, 또래들보다 스펙을 더 쌓고 싶어서 계속 휴학 고민이 되네요 ㅜㅜ.. 조언 감사합니다!
2024.08.21
지금 완전히 저랑 똑같은 상황이신데, 제가 다른 대학원생이랑 상담해보니까 , 원하는 랩실에다가 '25학년도 전기에 해당 랩실에서 인턴을 하고, 25학년도 후기에 대학원 입학을 하고싶다' 이런 식으로 하라는 조언을 들었어요. 저는 연구 경험이 없는데, 머리부터 디미는 게 좀 안 좋아 보여서요 근데 학부 졸업 후 인턴 자체가 어렵다는 이야기들을 봐서(학부생 인턴 신분이 아니라 연구원으로 따로 들어가야 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만약 학부 졸업 후 인턴이 실제로 불가능하다면 그냥 지금이라도 부랴부랴 컨택해보려 합니다. 늦었는데 뭐 어쩌나요 그럼 디밀어야죠
대댓글 2개
2024.08.21
조언 감사합니다 ㅜㅜ 사실 저도 걸리는 부분 중 하나가 졸업하고 난 상태에서 인턴을 할 수 있을지가 걱정이었거든요..
혹시 졸업유예 생각은 안해보셨나요 ..! 저는 혹시나 컨택이 안된다면, 유예해서 대학생 신분 유지하려구요
2024.08.22
https://phdkim.net/board/free/61041/ 이거 제가 올린 글인데 댓글 한번 보실래요? 그리고 졸업유예는 생각 못해봤어요 제가 상담한 대학원생은 언급하지는 않아서 ㅋㅋ 근데 괜찮아 보이는데요 ?? 유예해서 뭐 돈이 더 나간다거나 꼭 학부인턴만 가능하다던가 이러지만 않다면요 저는 제가 쓴 글 마지막 댓글처럼 파트타임 인턴 가능한지를 확인해보려 해요
2024.08.20
대댓글 1개
2024.08.20
2024.08.20
대댓글 1개
2024.08.20
2024.08.21
대댓글 2개
2024.08.21
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