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란 직업은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1.25

11

1285

기본적으로 일하는게 즐거운 직업이다. 삶이 곧 일이고 일이 곧 삶이다. 그러니 대학원생들한테 욕먹는 직업이긴 하고 교수 입장에서도 학생들의 마인드가 참 답답하긴 하지만...ㅎㅎ
뭣모르는 사람들이 교수 워라밸 안 좋다고 하던데 교수는 아무리 빡세게 일해도 자기가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딱히 워라밸을 따지면서 일하지 않는다. 사실 워라밸을 따진다는건 일이 너무 재미없다는 반증이다. 일하는건 자기 라이프가 아니라고 생각하니까 워크와 라이프를 분리해서 보는거고 일이 끝나야 비로소 자기 삶이 시작되는거지. 그런 삶은 사실 교수라는 직업밖에는 가져본 적 없는 입장에서 보면 좀 불행한 삶인 것 같다. 잠자는 시간 외 절반을 직장에서 일하는데 인생의 절반이 그냥 꾸역꾸역 날려버리는 시간이라니...
사실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그 워라밸을 챙기려면 그것도 가능하다. 욕심을 버리면 된다. 극단적으로, 일주일에 수업 6~9시간만 해도 연봉 1억을 받을 수 있다. 사실 연구하지 않는 교수는 직무유기하는 것이고 본인은 그런 삶은 재미없어서 관심도 없지만...이런 삶도 저런 삶도 선택해서 (먹고 살만큼 충분히 벌면서) 살 수 있다는 것도 교수의 커다란 장점 중 하나이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01.25

ㅎㅎ부럽네요

2025.01.25

좋은 교수님이네요.
부럽습니다.

2025.01.26

수업만으로 연봉1억은 어떤식으로 가능하시다는건지 궁금하네요. 연구수당이나 논문인센없이 찍기는 어려운 수치일텐데요.. 한참 연차가 쌓이고 나서라면 몰라도요.

대댓글 1개

2025.01.26

연봉 상위대학은 부교수 레벨에서도 기본급으로 1억이 되긴 합니다. 조교수 레벨은 불가능하구요. 아마 글쓴이는 부교수 레벨 이상인 듯 하네요.

2025.01.26

교수님이신가봐요 ㅋㅋ

2025.01.26

마르크스가 인간이 소외되는건 일로 자아실현이 불가능하기때문이라했음.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아실현이 가능한것은 자본가와 전문가인데 현대사회 유일한 전문가가 교수직이지. 일에서 자아실현을 한다? 근데 연봉도 높고 사회적 지위도 최상이다? 그냥 미친거임

2025.01.26

교수라는 직업이 워라밸이 안 좋다? 그럼 도대체 어디가 좋다는 거임.

2025.01.26

삶을 일에 완전히 몰입시키는 것도 하나의 선택이지만 그 선택을 마치 다른 선택보다 우월한 것처럼 포장하는 건 위험함

대댓글 2개

2025.01.27

원글은 스스로 합리화하는거처럼 보여요
아무리 좋아하는일이라도 직업이되면 힘들다는말이 괜히있는데 아닌데요

2025.01.27

ㅋㅋㅋ교수해보면 압니다. 출근하기 즐거운 직업이에요.

2025.01.27

글 잘읽었습니다
저도 교수라는 직업이 워라밸을 따질 직업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