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AI 분야 탑티어 학회에 1저자로 논문 개제할때 지도교수의 기여도

2025.02.06

20

2478

안녕하세요. 저는 인공지능분야 석사생인데 이번에 첫 논문을 곧 제출할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쪽 석/박사 하시는분들중에 탑티어 학회 (neurips,CVPR, ACL , ICCV 등) 에 1저자로 논문내보신 분들께 궁금한게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할때 여러분 연구와 해당논문에서 지도교수님의 기여는 어느정도 였나요...?
연구실마다,지도교수님마다 다 다르겠지만 저는 원래 이렇게까지
나 혼자하는게 맞나...싶을정도로 지도교수님 기여가 적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5.02.06

제목 초록 봐주세요

2025.02.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목은 봐주니깐 1프로?

2025.02.06

영작부터 논문 구조까지 전부

2025.02.06

저도 제목이랑 얘가 뭐했는지 정도 봐주시는듯 어차피 본인연구 본인이 제일 잘 알테니

2025.02.06

몇주 전에 갖다 주는거 아니면 봐주기 힘들죠

2025.02.06

뭘바라세요...? 연구는 자기가 하는겁니다 논문도 1저자가 쓰느겁니다 ㅎㅎ

대댓글 1개

2025.02.06

지도교수를 이해시키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025.02.06

케바케인게 박사들 많고 대형랩인 경우 진짜 한번 쓱 읽는 경우도 많고 신생랩이나 젊은 교수님들은 엄청 세세하게 봐주시기도해요.
저같은 경우는 신생랩이라 주에 미팅 1회씩하면서 하이레벨 코멘트 많이 주셨고 논문 작성하면서는 글 논리나 표현 엄청 많이 피드백해주셨습니다. 솔직히 교수님이랑 공동1저자 느낌으로 일했어요.
점잖은 아담 스미스*

2025.02.06

연구실에사람많으면 제목커멘트만해주시는분도 봤음.
설카가 이게 더 심한것같음. 어차피 학생들잘하고 교수들은 펀딩따느라바쁘고

대댓글 1개

2025.02.08

어차피 학생들 잘한다니.. ㅠ 거기서 레버리지를 만들려고 phd하는 걸텐데 그렇게 놔두면 100 성장할거 10 성장하겠죠.

2025.02.06

제목하고 Abstract만 손봐주셨어요

2025.02.06

다들 엄청난 학생들이시네요

2025.02.07

개제->게재

2025.02.07

논문 주제 선정, 피어리뷰, 연구 방향 조율은 혼자하기 어려운 부분이라..

2025.02.07

드디어 이런소리가 나오는구나 ㅋㅋㅋㅋㅋㅋㅋ 한국 학계가 망한 이유

2025.02.08

대학원에 다니지 말고 혼자 하셔도 되겠는데...

2025.02.08

말만 봐서는 교수가 필요 없는 수준인데 얘네 왜 딥시크 못 만들고 있냐?

2025.02.08

교수님 오버리프에 상주하세요 ㄹㅇ 교수님없었으면 못썼어요

2025.02.08

제목, 본문 언어적 표현 교정 해주시고 그 외 연구 내용은 터치 안하심
점잖은 아담 스미스*

2025.02.14

현실적으로 한국은 교수가 너무많은걸해야서 그럽니다.
학생들이 돈을 많이내는것도 아니고
국가가 연구비퍼주는것도아니고
서류작업이 적은것도아니고
교수를 많이 뽑아주는것도 아니고

교수님이 많이봐주신분들은 소규모랩실이거나 편딩이 많이없는 랩일확률이 높고 (교수가 젊고 애없어서 힘이넘치는 것도 한몫)

제목만봐주는분들은 외적으로 할일이 많으신 랩일겁니다. 대신 그런랩은 펀딩이나 연구실시스템이 다른곳보다 낫습니다. 이런장단점 고려하는게 대학원고르시고, 이미 고른후라면 자신의 연구실이가지는 장점을 잘 취사선택하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