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실험과 연구는 어떤 느낌으로 다가 다른거죠?

2025.02.17

4

488

글에서 실험은 힘든데 연구는 재밌다는 글이 좀 와닿지가 않아서요. 대학원 진학 고민중인 사람입네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2.18

실험에서 나온 결과들로 분석 하는건 재밌지만 밤새서 노가다하는건 싫은거죠. 실험 했는데 데이터 쓰레기처럼 뽑허도 그렇구요.
실험 노가다하고 실험결과 잘뜨기나 기도하고 뒷정리하고 재고채우고 누가 좋아하겠어요

2025.02.18

제가 만약 그런 말을 했다라고 치면, 연구는 좀 더 넓고 긴 호흡을 가진 활동이고 실험은 그 연구 안에 들어가는 자잘한 노력들이라고 볼 것 같아요. 내가 가지고 있는 큰 질문을 꾸준히 추구해가는 그 큰 흐름에서의 과정은 보람차고 재미있지만, 그걸 하기 위해 들어가는 수많은 실험과 시행착오는 참 고통스러운 순간들이죠. 운동선수와 같지 않을까요? 좋은 경기내용을 만들고 성취를 하는 것은 재미있지만 그걸 위해 매일 아침 새벽 훈련을 나가는 것은 여전히 고통스럽죠. 결국 1의 보람찬 순간을 위해 99의 고통스러운 순간을 감내해나가는 것이 어떤 일이든 그 일에서 의미를 추구하고, 직업정신을 갖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2025.02.18

연구는 좀 더 폭 넓게 얘기하는 것 같고, 뭔가 깊은 생각이 요구되는 과정이 대다수인 것 같습니다.
(물론 단순 공상만으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절대 아님.)

반면 실험은 장비 셋업, 시약, 실험 과정 설계, 분석(데이터 분석 말고 시료 분석도 포함) 등
생각 외로 육체적 노동과 시간이 많이 소요 됩니다.

실험실마다 다르고 분야마다 다르지만 실험 1 사이클 끝내는 데에 하루 넘게 걸리는 경우도 있고, 30분 걸리는 경우도 있고 편차가 다소 큽니다만
실험 소요 시간 말고도 분석 같은 경우도 은근히 시간 많이 잡아 먹습니다. 과제 평가 기간에는 몰려서 1주면 결과 받을거 4주 걸린 적도 많아요.

그리고 논문 투고 이후에 리뷰어들의 답변까지 학수고대하는 그 시간...

이래서 결과론적인 것보다 과정에서 흥미를 느끼는게 롱런하는 것 같네요. 결과는 그에 대한 보상이고...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