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연구실은 학교가 아니라 회사에 더 가깝고 연구 프로젝트 수행해서 '실적을 내야 하는' 공간이지 학과방이나 동아리방이 아닙니다...
언제까지 버텨야 할지 답답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5.03.07
글쎄요, 본인이 대학원에 맞는지 아닌지 확인하는 과정인데 그것조차 못하게 하나요. 물론 가벼운 마음으로만 지원하면 안되겠지만요. 누가 뭐 학연생 한테 크게 기대하는것도 아닐거고 분위기만 해치지 않는다면 괜찮다고 보는대요.
대댓글 1개
2025.03.07
분위기를 해쳐서 하소연 좀 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 학부생들은 학부기초에 충실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연구실에서도 있어봤는데 학연생 시작 시점이 이를수록 대학원에서 안좋은 태도만 배워왔더군요.
정말 뛰어난 학생이 아닌 이상 학부생에게 시켜봐야 연구보조나 기초공부 시킨게 다인데, 그걸 주도적으로 수행한 연구경험이라고 착각한다거나...
2025.03.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생에게 너무 빡빡하게 하지 마세요......다 도망가면 님한테도 좋을거 없어요
2025.03.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사 수준의 attitude 가진 학연생이 이 세상에 존재히려나요?
2025.03.08
대학생 애들한테 그렇게 빡빡하게 굴고 싶나...
2025.03.08
댓글들 보니 연구실에서 [연구] 글자만 꺼내도 배제 당하는 그런 연구실이 있다고 들었는데 진짜 있긴 하나보네.
2025.03.08
대학원 연구실이 회사에 더 가깝다는 건 누구 생각인가요? 동의하지 않습니다.
2025.03.08
ㅋㅋ
2025.03.08
학과방이나 동아리방이 맞다는 건가요? 댓글보니 너무 충격적이네요.
대댓글 3개
2025.03.08
회사에 가깝지 않다가 학과방이나 동아리방이 맞다는 건가요?
2025.03.10
모 아니면 도인가요? 님 사고방식을 보니 너무 충격적이네요
2025.03.16
표현에 대해서는 정정할게요. 무조건 학과방이나 동아리방으로 생각을 한다는것이 아니고요. "A:회사"라는 표현과 "B:학과방이나 동아리방" 표현이 두 상반된 개념을 위해 차용된 것이겠죠. 댓글을 보니 (attitude 기대마라, 빡빡하게 굴지 마라) 학생들이 A와 B중 연구실을 B에 더 가깝게 보는것 같아 충격적이라는 거에요. 연구실이 A와 B중에서는 당연 A에 더 가깝겠죠. 그 장비들과 인건비는 지도교수가 죽어라 연구과제 따서 다 돈으로 장만하는 겁니다. 학부학생들이 거기서 무슨 기여를 했죠? 그 자원들을 준다면 그에 맞는 양심적인 의무는 가져야죠. 그게 성실성이고, 댓글들 보니 무슨 그런 개념이 전혀 탑재가 안되어 있으니 당연히 충격적이죠.
2025.03.08
자기 자리, PC 주고 경우에 따라 인건비도 받는데 attitude 기대하지 마라, 빡빡하게 굴지 마라. 연구에는 관심없고 그런 혜택 노리고 오는 학생 대부분인거 아는데, 적어도 양심은 있어야죠?
대댓글 2개
2025.03.08
자기 자리, PC, 인건비 혜택 받으려고 연구실 인턴 한다고요? ㅋㅋ
2025.03.16
그런학생이 아니면 정말 다행인데, 얼마전 hibrain에 학생이 글을 올렸더군요. "찍먹" 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알바하느니 랩에 자리주고 돈주고, 대학원생처럼 확실한 requirement가 있는것도 아니니 얼마나 좋냐고. 최상위권 학교에 가까워 질수록 그런 학생이 적겠지만, 중위권 혹은 그 이하만 가도 거의 대부분 그런 마음으로 오는 학생이 대부분이라는 것이 저의 판단이에요. 랩미팅때 보면 이 발표를 위해 정말 몇시간이나 투자했을까 싶더군요. 양심껏 그런 학생들은 오지 마세요. 스스로 창피한줄도 좀 아시고요. 뭐 모든 학생이 그렇지는 않다는것에는 동의해요.
2025.03.08
다 배워가는 과정입니다. 윗사람들 말대로 학부생한테는 취업을 할지 대학원을 갈지 결정할수있는 과정이에요. 저도 처음에 개별연구생들에게 시간썼다가, 그런학생들 몇명 본 이후에는 저또한 가벼운마음으로 대했습니다. 적당히 봐주고, 또 적당히 상담해주고요. 연구실분위기도 개인적으로 너무 딱딱한게 좋지만은 않을수도 있어요. 저는 학위받고 미국 탑스쿨(top3) 나와있는데 여기는 더더욱 학부연구생들에 기대치가 없어요. 랩에 포닥은 혼자라서 지도교수(젊은 조교수)가 저한테 의지많이하는데, 지도교수나 저나 그냥 학생들 경험해보는걸 목표로하고 랩에오든안오든 신경안써요. 그중 연구욕심 많아서 눈에띄는 몇명만 끝까지 데리고갈생각하죠. 특히 한명은 GPA도 거의 만점인데도 연구도 열심히해서 탑컨퍼에도 공동주저자로 같이 썼는데 이친구는 미래에 정말 유명해질것같은 생각이드네요. 우리랩으로 박사진학하면 좋겠네요 ㅎㅎ
2025.03.07
대댓글 1개
2025.03.07
2025.03.07
2025.03.08
2025.03.08
2025.03.08
2025.03.08
2025.03.08
2025.03.08
대댓글 3개
2025.03.08
2025.03.10
2025.03.16
2025.03.08
대댓글 2개
2025.03.08
2025.03.16
2025.03.08
대댓글 2개
2025.03.08
2025.03.09
2025.03.08
2025.03.09
2025.03.16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