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PI인데 상위 9%이네요, MDPI라서 안좋은지 vs. 그래도 상위 9%좋은것인지 아는분 있으면 말씀부탁드립니다. 논문들 읽어봤는데 제 분야는 얼마 없어서 일부만 읽어보았고 평이한 SCIE 수준같아보이긴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8.28
일단 한가지 사실은, 요 몇년 사이 한국 대학들이 임용시 MDPI 이기만 하면 논문실적으로 인정해주지 않는 추세로 돌아서고 있습니다. 해외는 대학도 많고 나라도 많은 관계로 딱잘라 이렇다 하기 어렵지만 한국보다는 '정량평가'를 하지 않는 편인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MDPI 면 덮어놓고 거부하는 쪽과 그래도 개중 괜찮은 저널들이 있고, 아주 훌륭하지는 않은 결과들을 손쉽게 발표하기 좋은 정도라는 쪽으로 나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상위 9%라는 정량실적이 필요한 경우 (아마도 대부분 한국 임용시장) 에는 MDPI를 쓸 이유가 없고, IF 등 정량평가보다 학계의 전통적인 reputation 을 신경쓰는 경우에도 MDPI를 고집할 이유는 없는거 같은데요 (IF 등은 떨어지더라도 reputation이 훌륭한 전통 저널들이 많으므로)
대댓글 1개
2025.08.28
감사합니다:) 이러나저러나 mdpi의 한계가 명확하군요
2025.08.28
1) 단순히 그해의 if가 중요하다기 보다는 유지가 되느냐가 중요합니다. 2) 그리고 요즘은 연구재단에서 공지 때린 이후로 mdpi는 내지 말자는 분위기 입니다. 실제 mdpi 국내 논문 수가 반토막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25.08.28
대댓글 1개
2025.08.28
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