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루트가 어떻게 되시나요? 대부분 한국으로 돌아오시죠? 돌아오신다면 대부분은 사기업 취직하시죠? 미국에서 취업은 요즘 힘드니..?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10.04
미국에서 박사하고, 포닥까지 하면서 2 ~ 3년 경력 좀 쌓으면서 국내 유명 연구원 + 교수 임용 노릴거 같은데요. 어지간한 연구원들은 걍 프리패스일듯. 미국에서 기업 가는건 나름 좋은 기회긴 하지만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잘 안뽑을거 같긴 함.
2025.10.05
1순위는 교수, 2순위가 연구원, 3순위가 사기업으로 보임. 참고로, 교수 되는 것으로 본다면, 한국 교수 되는 것이 미국 교수되는 것보다 더 어렵다고 알려져 있음.(미국은 정년보장 받기 힘들고, 한국은 이변이 없으면 정년보장 받음)
유명대학의 한 연구실의 경우, 한국사람 대략 20여명 중 절반 조금 넘게 정도는 한국대학교수 되었고, 3명이 미국대학교수, 창업 1명, 미국 회사 1명, 한국 회사 1명, 관점에 따라 잘 안 풀린 2명 정도로 보임.
대댓글 1개
2025.10.07
우리랩이네ㅋㅋ
2025.10.05
보통은 사기업가시구요. 거기서도 잘풀려야 교수 정출연으로 들어오십니다.
2025.10.05
교수 정출연으로 돌아오는게 1순위인거 같습니다.
2025.10.05
한국 사기업도 들어가기 힘듭니다 요즘은
대댓글 1개
2025.10.06
진짜 무기력하네
2025.10.05
이번에 트럼프가 H1-B 비자 신청료를 대폭 올려서, 미국 대학이나 기업 취업이 당분간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25.10.06
무직도 많아요
2025.10.09
spk 는 아니고, 기계과 t5 대학 학부+박사 중인데 주변보면 취직 걱정은 없다고...보시면 될꺼같아요. 박사쯤 하다보면 졸업쯤에는 NIW 신청 했거나 신청 조건은 맞춘 경우가 대부분이고, H1B 보다는 NIW로 신분 해결 하시는분이 많기도 해요.(미국 내에 남아있을꺼라면) 사실 나와서 보면 한국에 교수로 임용 노리는게 난이도 대비 그렇게 메리트가 있나 싶네요. 교수 노리시는 분들 보면 대부분 포닥+ 미국 R1대학(100~150위권)에서 임용되신후, 실적 내셔서 그 위로 옮기시다 한국 인서울 노리시거나 하시는데, 그에 빈해서 미국 사기업쪽이 훨씬 쉽긴합니다. 금전적으로 차이도 최소 2배~4배는 나구요. 위의 루트로 niw 신청해뒀다면요. 신청한 상태면 opt3년 안에 보통 나오기 때문에 회사쪽에서도 박사급은 h1b에 대한 부담은 없이 뽑는것 같습니다. 한국 사기업의 경우엔,,, 돌아가실 분들은 95프로 이상 문제없이 취직 하십니다. 저희같은 경우엔 한국 사기업들에서 리크루팅 와서 산학장학금, 서류전형 면제, 인턴 등 홍보하고 가시는데, 1년에 10곳 정도에선 오는 것 같습니다. 삼성은 sds 라던가 전자라던가 금융계열사들이라던가 라는식으로 따로 오는데, 한화나 두산같은 곳은 그룹에서 오는듯. 다만 와서 찍고 가시는 학교들 목록 보면 8~20개 학교 정도 일정 짜셔서 오시는데 목록을 보면 학교의 전반적인 대학원 순위와, 학교 규모를 보고 오시는듯해요. 순위가 높아도 학생수가 적으면 근처에 다른 학교가 있지 않으면 따로 찍고 가시진 않는듯. 그래서 학생 수 적은 곳(작은 사립)은 순위가 높아도 잘 안가는듯요? 물론 mit는 다 들르시는듯
2025.10.04
2025.10.05
대댓글 1개
2025.10.07
2025.10.05
2025.10.05
2025.10.05
대댓글 1개
2025.10.06
2025.10.05
2025.10.06
20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