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뭘 할 수가있어 씨발아 ㅋㅋ
석사 잡일.. 이거 맞나요..?
34 - 같은 연구실 선후배나 지도 교수님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아닌, 커뮤니티에 조언을 구하는 것부터 이미 연구랑은 거리가 멀다고 생각되어 이런 댓글을 작성함. 만약 진짜로 석사 1 학기로 돌아간다면, 하루 4 시간 자고 쉬는 날 없이 연구에 매진해서 실력을 더 키울 거 같음
여러분들이 석사 1학기로 돌아간다면 뭘 하실건가요?
14 - 교수님의 역량이 부족할리는 없을텐데..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21 - 연구자의 인생주기를 보면 조교수때 가장 열심히 해서 부교수때 최고치를 찍고 정교수 되면 내리막이 되기는 합니다. 이는 몸이 노화되고.. 정교수가 될 때 쯤해서 자식들 문제와 부모님이 아프신 문제 등등 사회개인적으로 가장 삶이 복잡한 시기 입니다. 복잡한 시기에 몸의 노화가 같이 오니 보통은 지도도 같이 떨어 집니다. 글쓴이 들의 문제는 미국도 마찬가지고 어디서 박사를 하든 발생하는 문제 입니다. 지도교수가 아주 디테일하게 팔로업을 안 하면 생기는 문제인데, 결국엔 본인이 챙겨야 합니다.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23 - 제가 다른 교수님께 들은 말 중에
엄청 잘하는 포닥이 멍청해보이면 넌 박사를 해야되고
엄청 잘하는 교수가 멍청해보이면 넌 교수를 해야된다고 하셨습니다
나쁜 쪽으로 말하는 게 아니라 그럴 능력이 올랐다는 겁니다
그렇게 성장하는 거라고 그리고 자기는 그렇게 교수가 되었다고 이 분이 석박을 spk에서 하셨는데 첫 포닥하고 바로 교수 되셨습니다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12 - 타대지원도 기막힌데 증명서까지 ㅋㅋㅋ
인턴을 하면서 타대에 원서 넣기
8 - 익명 커뮤라고 기본적인 예의도 없고..
여러분들이 석사 1학기로 돌아간다면 뭘 하실건가요?
9 - 글쓴이 님의 상황은 안타깝지만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 것 같네요. '무조건 펀딩 잘 주는 곳으로 가세요' 와 같은 근거없는 일반화는 공감되지 않네요. 보통은 글쓴이같은 상황을 많이 겪진 않습니다. 연구 핏을 보고 가는게 제일 중요하고, 펀딩을 포함한 재정적 상황도 확실히 해야 하는건 맞지만 우선순위는 압도적으로 연구핏이 높다고 봅니다.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5 - 찐따세요? 알잘딱갈센 좀 하세요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22 - 배 곯아가며 좋아하는 공부, 즐거운 학업을 진행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직접 겪어보고 얘기하는 조언은 진지하게 생각해볼 가치가 크죠. 펀딩컷 등 현재 미국 상황은 트럼프라는 인물에 의한 최초의 사태로, 예전경험 '라떼는' 식으로 판단할만한 것도 아닙니다. 글쓴이 말대로 배곯지 않은 후에 학업도 할수 있는것이라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8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2 - 보통 동양인 남자는 다른 인종에게 인기가 정말 없습니다. 이성으로 볼 확률은 희박하니 (우리가 흑인 여자 보는것과 비슷하려나요) 괜히 상처주지 마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9 - 구글이나 유튜브에 asian guy invisible만 쳐도 끝없이 쏟아져나옵니다. 데이팅앱에서 가장 좋아요를 적게 받는 그룹도 asian male이고요. 저도 동양인 남자지만 자기객관화는 해야죠...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9
이공계출신 미래에는 무조건 박사가야된다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뭐가 틀린건지좀 짚어주세요
2020.09.16

안녕하세요 학부생 나부랭이 입니다.
요즘 아래와 같은 생각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선배님들...제 생각이 뭐가 틀린것인지 짚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과거 부모세대에는 사회전반적으로 기술력도 ㅎㅌㅊ에 고등학교만 나와도 일자리 빵빵하고 열심히 일해서 먹고살수 있었는데,,
지금은 개나소나 대학감. 솔직히 사회적인 상황만 놓고보자면 지금의 대졸이랑 부모세대의 고졸이랑 비숫한것처럼 보임.
더군다나 이공계 학부에서 전공서적으로 백날 배워봐야 깊이있게 공부하는 애들은 손에 꼽을정도고 실제 산업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도 알수없음.
기술은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변하고 고도화되고있음. 학부생이 할수있는 일은 솔직히 없다고봐도 무방함.
혹자는 빠르게 취업해서 업무를 배우는게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실험하고, 연구하는것보다 가치있다고 하며, 학사들도 경력이 쌓이면 박사급을 씹어먹을수 있다고 말함.
그런데..... 학부생 주제에 산업현장에서 빠르게 배워봤자 박사급 인재들의 전공지식과 데이터 분석능력등은 따라잡을 수 없다 생각함.
아무리 기업의 양산기술과 학계에서의 연구는 다르다 하더라도, 전공분야에 대한 능력은 학계출신들이 출중하다고 생각함.
앞으로는 고도화된 기술력과 전문성을 가지고있는 이공계 인력들만 살아남을것이라 생각함.
또한 AI기술력+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통해서 고졸, 전문대, 학사들은 칼바람의 길에 놓일것이라 생각함.
구글에서도 인력을 뽑을때 여러 요소중 코딩실력과 알고리즘문제풀이 실력등을 90%이상 반영한다고 함.
한 분야의 진짜 기술자들을 뽑는 식으로 기업체들이 채용 시스템을 바꿔나가는 중임.
실제로 요즘 채용트렌트를 보면 석박사급들을 요구하는 기업들이 상당히 많이 보이고
몇몇 기업들은 몇년전부터 학사는 뽑지도 않고 대놓고 석사 이상부터 지원하라고 못박아놓음
하이닉스의 몇몇 직무는 석사 이상만 배치한다고도 함..
결국 전공지식과 기술력이 빠방한 박사급들만 살아남을것으로 봄.(물박사 제외)
---------------------------------------------------------------------------------------------------------------------------
막연히 위와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요...
제 생각이 뭐가 틀린것이고 어떠한 부분이 오류인지 지적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3 8 20322
이공계는 대학원이 필수인가요 김GPT 2 12 4800
문과 학부 나와서 공학 박사 중인데 김GPT 2 6 7635-
8 12 11933
이공계 석사생활을 잘못보냇으면 김GPT 0 10 1715
미래에 대한 고민 김GPT 1 7 2224-
1 15 5082
박사까지 하는 것이 옳을까요 김GPT 1 6 2564-
0 5 2059 -
69 57 10761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 명예의전당 311 24 61943-
66 18 2214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137 - 대학원 오지 마세요 제발 경고합니다
168 - 학부연구생인데 연구실에서 사고쳤어요..하..
17 - 이재x xxx. ㅅcㄲ 좋냐?
37 - 연구실 빌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9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25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28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94 -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18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2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16 - 연구실 내 인간관계(왕따)
7 -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pk 분들은 번역기나 gpt 안쓰시겠죠..?
25 - 원래 박사는 행정일이 많은게 정상인가요...?
14 - 여러분들이 석사 1학기로 돌아간다면 뭘 하실건가요?
15 -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13 - 석사 신입학인데요 실험실 팀원들이 어렵네요
12 - 남자들 군대가는게 커리어적으로 진짜 개손해다
12 - 신임 교수님들 워크로드
7 - 궁금한데 미국 포닥 가기 어려움?
12 - 저년차의 논문 읽기와 작성에 관하여 ...
9 - 인턴을 하면서 타대에 원서 넣기
30 - 중경외시 4.0/4.5 spk 서류탈인가요
9 - 근무 시간, 연구실적 때문에 동기랑 비교 됩니다
13 - 내향형 연구자의 눈물…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방통대생 미국 유학
8 -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6 - Spk 분들은 번역기나 gpt 안쓰시겠죠..?
25 - 원래 박사는 행정일이 많은게 정상인가요...?
14 -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13 - 석사 신입학인데요 실험실 팀원들이 어렵네요
12 - 남자들 군대가는게 커리어적으로 진짜 개손해다
12 - 궁금한데 미국 포닥 가기 어려움?
12 - 저년차의 논문 읽기와 작성에 관하여 ...
9 - 인턴을 하면서 타대에 원서 넣기
30 - 중경외시 4.0/4.5 spk 서류탈인가요
9 - 근무 시간, 연구실적 때문에 동기랑 비교 됩니다
13 - 내향형 연구자의 눈물…
7

GIST 대학원에서 2025학년도 가을학기 전형 원서접수를 진행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자세히 보기
2020.09.16
2020.09.16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