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대학원 석사 공공정책학 vs 국제보건정책학

2023.10.23

4

569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 수도권에 있는 중하위권 대학을 나와서 현재 washington dc에 있는 두 군데의 대학을 붙어 다음 해 봄 학기에 진학 예정입니다. (한 군데는 공공정책학과 다른 한 군데는 국제보건정책학을 붙었습니다)

제가 하고 싶은 일은 나중에 여러 국가의 정책을 비교하고 연구해 꼭 필요한 국가나 지역에 쓸 수 있게 돕는 사람이 되고 싶은데요

정책 중에서도 가장 관심 있는 정책은 보건 정책입니다. 코로나 때 미국으로 교환 학생을 가고 그곳에서 대외 활동을 했는데 이때 미국에서의 열악한 보건 상황에 놀랐고 이 부분을 더 공부해서 효과적인 코로나 정책이나 보건 정책을 지역에 적용할 수 있게 만들고 싶습니다.

그런데 제가 학부 전공이 영문학이고 보건 관련 활동은 많이 해보지도 않아 사실 욕심만 있지 보건 정책이라는 것에 대해서 많이 알지 못합니다.

제가 추구하는 곳과 정말 잘 맞는 곳은 국제보건정책학인데(강의계획서에 나와있는 수업이나 학과 목표 참고), 또 교수님들의 논문을 보니 저랑은 거리가 먼 것 같고 공공행정학에 있는 교수님들의 연구가 오히려 저와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1. 이러한 상황에서 제가 앞서 설명한 보건 정책을 통한 외교를 하겠다고 국제보건정책학을 가는 것이 맞을 지 아니면 공공 정책학을 들어가 보건 정책을 선택하는 것이 맞을 지 궁금합니다.

2. 미국에 가고 싶은 이유는 공부하는 것이 좋아서도 있지만 제가 미국에 있을 때 스스로 더 결단이 서고 제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좋았고 또 영어도 쓰면서 공부하고 싶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오랫동안 미국 석사 진학을 두고 고민하다 보니 굳이 미국에 석사를 가야 할까. 그냥 한국에서 보건이나 행정 쪽 석사 나와서 취직할까라는 생각이 드는데 박사님들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3. 마지막으로 공공정책학이 석사인 미국 학교에서 데싸 수업을 무료로 3개 정도 들을 수 있고 들으면 너한테 certificate준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이게 과연 저한테 얼마나 도움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길고 두서없는 질문이지만 그래도 저에게 답해주시면 정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3.10.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쎄요 정책/행정으로 대학원 온 꽤 보긴 했는데 다 외무/행정고시로 공무원으로 몇년 일하다가 온 친구들이었네요... 아니면 의미가 있나요? 졸업 후 진로가 어떻게 되시는건지......

대댓글 3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