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연구실의 환경 및 지도교수님과 관련하여서는 200% 만족하나, 아무래도 학교의 네임밸류도 무시할 수 없기에, 미국으로 유학을 가는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하기 스펙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고, 미국 재료공학 분야 지원이 어디까지 가능할 지 궁금합니다.
학사 학점 총점 3.4/4.5 전공 3.52/4.5 석사 학점 총점 4.4/4.5 (자교 대학원)
논문 실적 국외 SCI 17건 (1저자 7건 중, Q1 4건 Q2 1건) 특허 실적 국내 출원 2건 교내 최우수 논문상 등 수상 5건 국제 학회 참가 4건 중 1건 포스터 발표상
이 밖에도 6-7 건의 과제에 참여한 이력이 있습니다.
졸업 시기 즈음 해서, 1저자 논문이 2-3건 추가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10.21
논문 실적이 좋아서 T30안으론 무난히 가능 할 것 같고, 컨택 열심히 하고하면 T10도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대댓글 3개
2024.10.21
지원 예정 대학은 아래들 입니다. 조금 더 아랫레벨의 대학도 apply를 해야할까요?
UC berkeley northwestern Harvard stanford caltech U of michigan Pennstate Univ perdue Univ Univ of illinois georgia tech UCSB UCSD cornell Univ Univ of pennsylvania Michigan state Univ
2024.10.21
조금 더 넓게 쓰셔야 할 거 같긴 합니다. T20 정도로 보이는데 T30~50에서도 3~4군데는 같이 지원하는게 좋아보여요.
2024.10.21
명시된 사립학교들이 미국내 탑 사립이라 합격률이 10프로가 안되기도 하고, 주립대들 또한 T15 안쪽이기 때문에 예측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미네소타, 오하이오,A&M 같은 주립대 라인까지 알아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제 경험상 인터네셔널이기 때문에 논문 실적이 다른 경쟁자들에 비해 많다고 할지라도 학점이 상대적으로 약하시고 추천서의 파워가 상대적으로 약할 가능성이 크기때문에 접수 범위를 조금 넓히는게 낫다는 생각입니다.
오만한 아르키메데스*
2024.10.21
워낙 실적이 좋아서 컨택만 잘하시면 탑10도 거뜬히 하실 것 같습니다. 주변에 관련 대학교 출신 선배나 후배가 있으면 맛있는거 사주면서 여쭤보세요.
2024.10.21
연구 경험은 엄청나셔서 못 갈것 같지는 않습니다. 미박을 어느 학교에서 뭘 누구와 하느냐는 운도 필요합니다. 미국은 선컨택을 많이 하지는 않지만 관심있는 연구실과 학교가 있으면 해보시는게 좋고 잘 안된다면 최대한 지원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2024.10.22
열심히 살아온 것에 대해 박수를 드리고 싶으나, 학부-석사 만으로 어떻게 1저자가 7개가 나올 수 있는 건가요..? 해당 분야가 아무리 빠르게 출판을 한다고 해도, Q1,2수준이면 좋은 편인데 물리적으로 가능한지 의문.
상수는 맞으나, 제가 faculty라면 너무 양적으로 압도적인(?) 성과에 대한 의문부호가 생길 거 같아요.
대댓글 2개
2024.10.23
글쓴이 님의 실적이라면 학교도 많이 궁금할거고 그건 면접으로 확인할것 같네요.
2024.10.23
네 맞아요. Admission을 못 받을 거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데, 면접에서 1저자로 출판한 연구에 대해 오히려 더 딥하게 들어 올 수도 있을 거 같네요.
2024.10.21
대댓글 3개
2024.10.21
2024.10.21
2024.10.21
2024.10.21
2024.10.21
2024.10.22
대댓글 2개
2024.10.23
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