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 해외 박사 그런거 학벌 이제 의미 없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본인이 뭘좋아하고 뭘먹고 살지가 더 중요합니다. 그거나 찾으십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1개
2025.01.05
미국에서 박사하는 입장에서는 왜 그런 생각하셨는지, 그곳 분위기 어떤지 궁금합니다 저는 한국 박사 곧 마치는데 어떤 연유에서 말씀하시는지 짐작하면서도 현지 분위기가 궁금하네요
대댓글 1개
2025.01.06
미국 박사대우가 아주 개판입니다. 박사도 엄청나게 많고요 전세계에서 박사들이 포닥하려고 몰려듭니다. 교수임용은 특정 신규 과가 아닌이상 힘들고요. 전문박사 (PharmD, DPT, PA, DNP, OTD, Chiropractor, 약사, 물리치료사, 수술의사보조, 간호사, 작업치료사, 카이로프락터 등 2년~3년 걸리는 연구 박사 아니신분들도 밖에선 박사라고 하고다니십니다) 특히 한국 어르신들이 PhD 랑 Doctorate professional 이랑 별 구분 못하십니다. 미국 박사는 몇년 기약이 있는것도 아니고 중도포기 많이 해요. 술자리 나가면 절반이 박사입니다. 박사끈내도 문과나 순수과학쪽은 할일이 없고요 응용과학이나 회사 취직 가능합니다. 회사에서도 월급은 경영과 학부졸업생이나 비슷하고요, 연구에 연자도 모르는 경영학 석사가 머리 꼭대기 위에서 시키는 대로 연구비 끊어지기도 하고 프로젝트가 사라지기도 하고 개판입니다.
2025.01.06
맞는말인데 쓸모없는말 느낌..
당장 학벌이 의미없다는 쿨내나는 이 글부터 별 내용은 없으면서 '미국에서 박사하는' 본인의 학벌은 제목 맨앞에 들어가있네요..
대댓글 2개
2025.01.06
본인의 학벌을 자랑하려고 맨앞에 써둔게 아니라 먼저 학벌 안 드러내면 태클걸릴거 같아서 써둔거 아닐까?
2025.01.06
김박사넷에서 태클피하는것조차 논리대신 학벌의 권위로 해결하는데 어디서 뭘한들 학벌없이 할 수 있을까요?
2025.01.06
미박중인데 공감함
2025.01.06
학위 자체만 목표로하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박사가 달리 박사가 아닙니다. 적어도 본인 분야의 미해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랜 노력을 기울였다는 경험이 일생에서의 새로운 과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적어도 박사 이전의 본인과 비교해서는....
대댓글 1개
2025.01.06
이건 맞아요 저도 그렇게 느껴요. 남들 인정 받거나 취직 걱정이 참 생계가 달리니 걱정이지만, ( 굳이 남들한테 말하지 않지만 ) 그런 능력을 갖춘 제 자신에게 자신감도 생기고 자부심도 느낍니다.
2025.01.06
객관적인 실적이 우선이기 때문이죠. 학회 몇 년 가보면, 어느 학생이 잘 성장했는지 아닌지 잘 알게되죠.
2025.01.06
미박도 미박 나름임 탑스쿨이냐 지도교수가 대가냐 그게 중요하지 뭔
2025.01.06
미박했는데 공감 못함
2025.01.06
미국 기업은 몰라도 국내대기업에서 학벌 차이 못느낀다면 본인부서가 핵심부서가 아닐가능성이 높음. 치열한 개발부서들 보면 누구하나가 특출난 실력으로 두각을 드러내기 힘든 구조이기 때문에 학벌의 힘이 굉장히 쎄게 작용하는걸 볼수 있을겁니다.
2025.01.06
그건 님 재학 중인 학교가 Top10이 아니여서 그런거죠
2025.01.06
본인이 연구를 별로 안 좋아하시는 거죠..
2025.01.06
안녕하세요 작성자입니다. 이전 글들에 대해 학벌에 대해 이야기하길래 저도 한마디 했습니다. 저도 학벌을 예전에는 중요시했지만, 막상와보니 전혀 아니더군요. 한국에서 석사까지하고 미국으로 박사로 넘어와서 한국과 미국 둘다 경험해본 입장에서는 본인이 뭘 해야할지 아는게 제일 중요하고 그에 대한 실적으로 객관적인 판단 및 평가를 받는게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댓글에 뭐 학벌이 안좋아서 그런다 하길래 간략 배경을 말씀드립니다. 저는 Top10 2곳 풀펀딩 합격했지만 테뉴어 안받은 교수님이셔서 거절하고, top20-30에 있는 학교에 재학중입니다. 제가 학벌을 계속 중요하시했었다면 랭킹에만 집중하지 않았을까요. 지도교수님이 센터디렉터이셔서 센터도 크고 펀딩규모도 큽니다. 그래서 매년 top5 박사출신들이 방문연구원으로 와서 저희 연구실에 경험하러 옵니다. 물론 top50,100에서도 오고, 유럽에서도 옵니다. 그런걸로만 봤을때도 그 학생들은 학벌을 중요하시는것보단 본인이 관심있는 분야가 있으면 어디든지 가서 배우는 자세가 더 중요한 것 같네요.
어떤 분께서 본인이 연구를 별로 안좋아하시는거죠 라는 말은 도대체 제가 쓴 글을 토대로 뇌의 사고방식에서 어떻게 나왔는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올해도 좋은 하루 되세요.
대댓글 3개
2025.01.06
'......막상와보니 전혀 아니더군요'라고 하셨는데 학벌이 가지는 외형에 대한 영향력 감소는 모르겠지만, 보통 높은 학벌을 나온 사람들이 어디서든 잘 해 나가는 걸 보면서. 학벌이 가지는 의미는 그런 높은 학벌을 가지게 된 개인의 노력과 역량에서 보면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2025.01.07
일단 학벌보다 실적, 본인의 research interest/passion이 중요한건 맞지만 아카데미아 자체가 탑X 대학 위주로 돌아가기때문에 학벌이 전혀 의미없다는 철학적인 대답같네요. 미국에서도 탑 몇몇대학 출신들이 교수직 독식하는데 의미없지는 않은거같습니다 (행복말고 커리어)
보통 "막상와보니 전혀 아니더군요" 는 hsm이나 분야 t3 정도는 가고 말할 자격이 있어보니는데 가지도않고 top 20~30 가놓고 말할수있는지;; 그리고 어떤 pharmD md jd등이 본인 박사라고 말하고 다닙니까? 미국경력 20년동안 그런사람 한번도 못봄. 그리고 phd 아니더라도 다양한 박사학위에서 연구하고 논문쓰고 디펜스하는 학과가 많은데 너무 근시안적인듯
2025.01.06
이 말이 맞음. 왜 그런지 댓글에서 다 나오고있음. 연구를 계속 하는게 중요한데 다들 박사 이후의 취업만 생각해서. 어느 대학 어느 교수님 이런것만 신경쓰는것만 봐도 이미 끝물이라는 증거 아닐까? 박사는 연구 하고싶은 사람이 가서 연구를 하는 것만으로 만족해야함. 취업 이야기 나오는 시점에서 이미 끝물인증
2025.01.07
동의합니다. 해외 박사도 실적 안나오면 취업 힘듭니다.
2025.01.07
학벌이 의미 없다는 건 동의하지만, 그걸 찾는 게 쉽진 않죠
2025.01.07
알면 얼마나 안다고 맞다.. 틀리다.. 참 자신감들이..
2025.01.07
맞아요 ㅎㅎㅎ 본질은 자기가 정말 잘하는 연구분야에서 괜찮은 업적이 나오는거지, 학벌이니 뭐니 이것도 업적이 받쳐줘야 의미가 있죠
2025.01.07
정답입니다 본인 적성에 맞는 일 찾는게 제일 어려움
2025.01.08
학벌이 의미 없으면 해외 박사는 왜 하나요 ㅋㅋㅋ
2025.01.09
지도교수가 테뉴어 없다고 Top10을 안가는건 인생 살면서 처음 듣네요. 학벌을 중요시하는건 간판 그 자체 뿐이 아닙니다. 지도교수 네트워크가 훌륭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전세계에서 우수한 인재가 매학기 쏟아져들어옴. 연구하다 학식 같이 먹으러가는 연구실 친구들이 잘풀린 애는 아이비리그 교수임용된다고 생각해보세요. 인적 네트워크 중요합니다. 그리고 미국 주요 연구기관이나 국내 리턴한 교수님들 출신학교 보셈..95%가 탑스쿨임.
“학벌”이 다가 아니죠. 근데 누구 커뮤니티 위주로 학계가 움직이는지는 님도 잘아실것같아여
2025.01.10
미국 탑2에서 박사중인데 별로 공감되지는 않네요.. 위에 피타고라스님이 하신 말에 동감합니다. "SPK, 해외 박사 그런거 학벌 이제 의미 없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본인이 뭘좋아하고 뭘먹고 살지가 더 중요합니다." 라고 하셨는데 제 주위 분들을 보면 본인이 좋아하고 뭘먹고 살지 치열하게 고민한 분들이 결국 미국탑스쿨에 오는 것 같습니다 (국적 상관x). 물론 박사 출신 학교가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작성자님 말씀에 부분적으로 동의하는데, 제 경험상 통계적으로 보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2025.01.10
정답
2025.01.11
의미가 없으면 왜 그렇게들 따지나요
2025.01.13
맞는 말인데 마치 사람은 물만 먹고는 살 수 없다는 말처럼 정답 범위가 너무 넓어서 엔트로피 변화가 없는 말이네요~
2025.02.28
학벌이 다다? x 학벌이 중요하다? o 그외에 실적 및 교수의 영향력으로 학벌 커버가 가능한가? o
학벌이 다는 아니지만 학벌이 좋은곳이 대체로 실적도 좋고 교수의 영향력도 좋으니 학벌이 1차적으로 좋은건 맞습니다. 물론 본인이 좋아하는 분야를 해야 성과가 좋고 하겠지만. 좋아하지않는 분야인데 박사까지 하는 것도 이해는 잘 가진 않습니다
2025.01.05
대댓글 1개
2025.01.06
2025.01.06
대댓글 2개
2025.01.06
2025.01.06
2025.01.06
2025.01.06
대댓글 1개
2025.01.06
2025.01.06
2025.01.06
2025.01.06
2025.01.06
2025.01.06
2025.01.06
2025.01.06
대댓글 3개
2025.01.06
2025.01.07
2025.01.08
2025.01.06
2025.01.07
2025.01.07
2025.01.07
2025.01.07
2025.01.07
2025.01.08
2025.01.09
2025.01.10
2025.01.10
2025.01.11
2025.01.13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