ㅋㅋㅋㅋ이건 솔직히 ist애들이 쌍욕 밖고 가도 무죄임. 작성자분이 너무 터무니 없는 소리 나열하긴 했음. 거기서 열심히 하는 애들이 호구도 아니고 지방대3.2짜리도 오는 렙을 누가 가려고 하겠음
2023.07.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부산 경북 3.2는 자대 교수님도 꺼려하실 듯한데...그 젊으신 박사님도 애둘러 표현하신거지 속마음은 이 학생 받기 싫다일듯요..
2023.07.23
교수님이 뽑고 싶어도 서류에서 탈락할것 같습니다. sci 논문실적이 있으면 비벼볼 수 있을것 같네요...
2023.07.23
'3년 이상의 공백기, 늦은 나이와 고시를 하느라 대학 학업을 거의 포기하다시피 하여 3.2/4.5 정도의 학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취업 상담을 할 때마다 차라리 대학원을 가는게 어떠냐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 아니 진짜 대학원이 회피처도 아니고 이딴 마인드로 오지 마세요. 지방대에 나이많고 학점도 공부 전혀 안한 학점이고 자대도 안받아줄 상황인데 왜 가만히 있는 ist를 가져다 데는거지
대댓글 1개
2023.07.23
심지어 배터리 이러네ㅋㅋㅋ 하..
2023.07.23
저도 경북대 전자과 출신 Uni 대학원생인데 소위말하는 간판과에서 3.8/4.5에 학부연구생 랩실 경험은 있으셔야 비빌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성급한 쇼펜하우어*
2023.07.23
연세대, 고려대 학연산 과정도 일반대학원 소속이고 타 지원자와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합니다. 고로 그 학점으로는 못 가요.
2023.07.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삭튀할줄 알고 복사해놨음. 다른 사람들을 위해 박제. -------------------------------------------------- 현재 충청권 정출연에서 인턴을 하고 있는 부산/경북 출신 학부생입니다. 한 때, 고위공무원이신 부모님을 동경하며 고시에 많은 시간을 쏟았고 결과적으로 20대에 실패라는 오명을 남긴 채 포기를 하고 다른 길을 모색하기 위해 많이 돌아다니며 상담을 받았습니다. 3년 이상의 공백기, 늦은 나이와 고시를 하느라 대학 학업을 거의 포기하다시피 하여 3.2/4.5 정도의 학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취업 상담을 할 때마다 차라리 대학원을 가는게 어떠냐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연구가 뭔지 알아보기라도 하자는 마음으로 6개월짜리 정출연 인턴에 지원하여 현재 약 한 달 정도 계약 기간이 남은 상태입니다.
여기서는 학연산 과정으로 고려대/연세대/충남대/한양대 로의 진학을 추천하시는데 뭔가 학연산 과정은 학교 소속도 아니고 정출연 소속도 아니다 보니 붕뜨는 느낌이 강했고, 차라리 학생들을 케어해주시는 것이 최우선 순위인 교수 밑에서 학위를 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여 풀타임 석사 진학을 마음에 두고 있습니다.
운좋게 열정있는 젊은 박사님께 배정을 받아 같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여러 실험 장비들을 직접 사용하면서 합성한 샘플의 XRD, TGA, XPS, ICP, TEM-EDS 측정을 하고 직접 그래프 피팅을 하고 그 연구를 바탕으로 세미나도 자주 진행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열정이 넘치시는 젊은 박사님과 함께 연구를 계속 진행하며 학위도 하고 싶은 생각이 있었지만, 박사님께서는 아직 학생을 받아서 학위 과정을 책임질 능력과 자신이 없다고 하시며 다른 높은 직급의 박사님을 PI로 정하고 학연산 과정을 하거나 자대 또는 spk ist yk 정도의 학교를 노려보라고 하십니다.
2023.07.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제 이어서 -------------------- 그래서 우선 거리 상 가까운 Unist나 Dgist를 노려보려고 하는데, 내년 3월 입학을 위한 컨택이 너무 늦은 것이 아닌지, 그리고 학점이 발목을 잡을 것 같아서 주저하며 그냥 자대나 갈까 하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특히나 원하는 랩실이 배터리인지라 요즘 핫하다보니 그냥 자대로 갈까 하는 마음이 드네요
우선 공인 영어 점수라도 받아놓아야겠다는 생각을 해서 토익 900점과 오픽 AL을 얼마 전에 취득한 상태인데 선생님들의 의견은 어떠한지 여쭙고 싶어서 이렇게 길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3.08.31
위에 글들에 너무 상처 받지 마시고 도전해보세요. 연구에는 이론적으로 하는 연구 말고도 실험을 통해 본인의 생각과 논리를 증명하는 방향도 잇습니다. 학점 이 낮으면 이론적으로 깊은 연구를 하기는 힘들겠지만 인턴하면서 하신것 처럼 실험을 하는 연구실에 한번 지원해보세요. 하지만 좋은 지도교수님을 못 만나면 인생이 엄청 힘들어질수도 잇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9.19
댓글들 반쯤 보고 그냥 체념했었는데 컨택 잘해서 yk 풀타임으로 다니고 있습니다 응원 감사합니다!
2023.07.23
2023.07.23
2023.07.23
2023.07.23
2023.07.23
2023.07.23
대댓글 1개
2023.07.23
2023.07.23
2023.07.23
2023.07.23
2023.07.23
2023.08.31
대댓글 1개
2023.09.19
2024.06.15